☞인성교육

열두 달 세시 풍속을 통해 본 우리 문화

심산멘토 2017. 11. 15. 23:40


열두 달 세시 풍속을 통해 본 우리 문화

 


제 1장 세시기

 

1.동국세시기(東同國歲時記)란?

. 18세기 후반 출현

. 우리의 문화를 자주적으로 담은 책.

.우리의 풍속을 배울 수 있음

. 동양과 서양의 고전 

 

2. 세시기 내용

. 원일, 입춘

. 정초의 세시행사

. 정월보름

. 기타 정월세시풍속

. 태음태양력과 24절기

. 세시기에 나타난 우리문화

 

3. 세시기의 출현

  1. 세시기록이 중요한 이유

. 과거의 세시풍속들은 농경사회에 기초함

. 산업사회인 오늘날에도 세시 풍속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임

 

4. 동국세시기의 뜻

. 1년 중 계절에 따른 사물이나 행사 등을 열거한 책

. 세(歲) 1년

. 시(時): 사계절

   (세시가 있는 지역=계절이 있는 지역)

. 동국(東國): 중국 동쪽의 나라 즉, 우리나라

 

5. 중국에서 언급된 세시기

. 예기(禮記)의 월령(月令) 등 고전에 나타나는 세시의 의미 →제왕이 대통을 이어가는 선후

. 선왕들의 정치가 갖는 근본인 천도에 따라 인사의 절을 세우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

. 후세의 저술은 농가일용,여염풍속 →민사 즉, 왕정의 인식

 

6. 우리나라 3대 세시기

. 유득공 → 경도잡기

. 김매순 → 열양세시기

. 홍석모 → 동국세시기

   (1911년 조선광문회에서 위 3가지 책을 합편 발간한 세시기 3종)

. 동국세시기의 원사본은 홍승경의 기본

. 열양세시기는 박은식의 기본

. 경도잡지는 광문회본 장본

   →합본 발간 후 3종의 책은 가장 많이 인용되는 대표 세시기가 됨


7. 동국세시기

. 저자: 홍석모(1781~1857)

. 간행년도: 1840년경전후

. 책의 구성과 내용

    - 매달의 풍속을 왕실. 양반, 서민 순서로 기술함

    - 각 달의 끝부분 <월내>라 하여 그 달의 특정한 날을 지정할 수 없는 세시 내용들을 담음

    - 마지막에는 윤달의 풍속 간략히 정리함

    - 세시 내용마다 <형초세시기>등 중국의 예를 들어 근원을 밝히려함


8. 동국세시기 내용의 특징

. 서울 사람인 홍석모는 시절음식과 서울 풍속을 주로 다루면서 전국적인 풍속을 언급함

. 홍석모의 시 문류를 통해 알 수 있듯 생활의 여유에서 나오는 끊임없는 여행과 폭넓은 독서 등이 저술을 가능하게 함

. 18세기 후반의 지식인의 고민과 호기심이 작용함

 

9. 동국세시기 책

. 연세대 도서관에 소장본(가장 정확한 내용담고 있음)

 

 

 제2장 동국세시기의 저자 홍석모

 

 

1 홍석모의 집안

. 서울 명문가문인 풍산 홍씨 추만공파 자손임

. 추만공 홍영(1584~1645) 우러사 이정구의 사위이며, 예조참판을 지냄

. 영안위 홍주원(1606~1672) 홍영의 아들이며 선조의 부마,

   혜경궁 홍씨의 부친 홍봉한의 고조부가 됨

 

 2. 홍석모의 생애

. 1817년 7월29일 출생, 1857년 10월19일 작고

. 묘소는 천안군 서면 용암리 봉서산에 위치함

. 호는 도애, 문집으로 도애집이 있음

. 1804년 생원이 되었고 음사로 남원부사를 지냄

. 1795년 부인 청주 한씨(1780~1857)와 혼인

 

3. 동국세시기에서 다른 주요 항목-음식

. 귀밝이술, 묵은나물만들어먹기, 보름날 약밥, 복쌈,부럼깨물기,세주,세찬,시루덕,오곡밥,승검초,진상등이 있음

. 다양한 음식류들을 열거하면서 가장 많은 항목을 차지하고 있음

. 시절음식에 대한 언급이 많이 보임 → 양반 사족들의 보양에 대한 관심으로 해석

 

4. 동국세시기에서 다른 항목- 점품,주술적인풍속

. 점풍과 주술적인 풍속은 주로 정월에 집중되어 있지만 다른 달에도 간혹보임

   →주요 관심사로 언급되고 있음

 

5. 동국세시기와 다른 두세시기

. 경도잡지와 열양세시기 - 서울 풍속에 집중되어 있음

. 동국세시기- 전국적인, 특히 지방풍속들을 다양하게 소개함

 

6. 동국세시기와 중국의 세시기

. 형초세시기 - 동국세시기에서 가장 많이 인용한 중국의 세시기

                  - 초나라 풍속 36종 수록

                  - 중국 육조시대 후베이지방과 후난지방의 연중행사와 풍속을 기록한 책

                  - 6세기 중엽에 양나라 종름이 편찬함

 

 

제3장 정월 한해를 준비하며

 

. 정월(한해 준비)  .2월~9월(농사) . 10월(겨울나기 준비)

1. 정월- 한해를 준비하는 달

. 우리나라 세시풍속의 절반이 담겨 있음

. 한 해의 시작(농한기)이기 때문에 정월에 다양한 풍속을 행함

. 정월 초하루. 보름 등

. 원일과 입춘

 

 

2. 정월에 나타나는 세시풍속

. 원일- 으듬 날, 설 , 음력

. 입춘 -봄의 시작

. 24절기의 처음에 해당 양력- 원일과 입춘- 음력과 양력의 조화

 

3. 원일- 새해 첫날, 설날

. 의정대신 및 모든 관원이 임금에게 새해 문안을 드림

. 설날 아침, 집안 사당에 나아가 새해가 되었음을 고하고 제사 지내는 것을 차례라고 함

. 설날에 벌어지는 일들에는 세자가 붙음

 - 세장,설빔,세배: 어린이들이 새옷으로 단장하는 것 집안친척 어른들을 찾아 뵙고 인사드리는 것

 - 세찬: 찾아온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만든 시절 음식

 - 세주: 손님에게 대접하는 술


3. 관직자

. 새해 행사로 집을 비우기도 하지만, 청탁을 막기 위해 집에 있어도 만나주지 않기 때문에 미리 대문에

  마련해 둔 옺칠한 쟁반위에 명함을 놓고 가게 하였는데, 이 명함을 세함이라고 함

 

4. 떡국

. 가례 떡, 또는 흰떡(백병)을 얇게 엽전 두께만큼 썰어 장국에다 넣고 끊인 다음 쇠고기나 꿩고기를 넣고

  후춧가루를 쳐서 조리한 것을 떡국(병탕)이라고 함 → 동국세시기에 여러가지 설명이 있음

 

5. 세시풍속에 담긴 주술적 요소

. 사대부 일반 백성들은 바람벽에 닭 그림과 호랑이 그림을 붙여 액을 물리침

. 후한시대 학자 동훈이쓴 <문례>

. 중국의 세시기인<형초시시기>

 

5. 세시풍속에 담긴 주술적요소

. 나이가 삼재에 든 사람 집에는 매 세마리를 그려서 문 상방에 붙임

. 삼재법: 해당하는 해에 각각 삼재가 듦

. 뱀띠, 닭띠,소띠: 해.자.축 3년간

. 원숭이띠, 쥐띠 용띠: 인.묘.진 3년간

. 돼지띠.토끼띠.양띠: 사.오.미 3년간

. 범띠.말띠.개띠: 신.유.술 3년간

. 이러한 복설을 믿고 매 그림을 사용하여 액을 예방함

. 누구나 9년이 지나면 주기적으로 삼재에 들고, 삼재 동안은 삼가고 꺼리는 일이 많음

 

6. 덕담

. 친구나 젊은이를 만나면 '올해는 꼭 급제하시오" "관직을 나아가시오" "득남하시오"

  "돈 많이 버시오"등 독담을 건네며 서로 축하함

 

7. 청참

꼭두새벽에 거리로 나가서 어떤 방향에서 들려오든 상관없이 처음 듣는 소리로 한해의 운세을 점침

             - 구체적인 기록이 없음

 

8. 오행점

. 다섯 개 나무 조각에 금.목.수.호.토 오행글자를 각각 새겨 장기 알과 같이 만듦, 그것들을 던져 자빠지고

엎어진 상태를 보고'점사'라고 부르는 점꽤를 얻어 새해의 신수를 점침

 

9. 윶놀이

. 오행점과 유사

. 정초행사로 오행점과 윶놀이가 함께 행해짐

  <64개 조합에 따라 '점사'가 있음>

. 윷놀이가 점괘의 기능을 한다는 것은 오행점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의미함

. 윷판 윷이 지나가는 점이 28개 28수으 별자리 상징

. 가운데 추는 우두머리 별자리

  <태양의 운행을 통해 그 해의 신수를 점침>

. 윷놀이는 놀이+저치는 행위

. 최 단기: 동지(겨울운행). 최 장기: 하지(여름운행)

. 윷판을 하늘로 보는 하나의 상징성

 

10. 그외의 세시풍속

. 한해동안 머리를 빗을 때마다 빠진 머리카락을 모아 빗접 안에 넣어 두었다가 설날 해질 무렵을

  기다랴 문밖에서 태움 →전염병을 물리치는 효과가 있다고 믿음

. 야광이란 구신이 그믐밤에 인가에 내려와 아이들의 신발을 신고가면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하여

  아이들은 신발을 감추고 일찍 잠들거나 체를 마루 벽.섬돌 사이에 걸어놓았음

  → 야광귀신이 신발 생각을 잊은 채 체 구멍 수를 세다가 닭이 울면 그만 가버린다고 함

 

. 법고:스님들이 북을 치며 시가지를 돌아다님

. 모연문: 사주를 한 자의 이름과 내용을 기록 → 모연문을 펴 놓고 염불을 하면 구경꾼들이 다투어 돈을 던짐

 

 11. 홍석모가 기록한 새해 첫 행사

. 임금에 대한 시나들의 새해문안

. 각 집안에서 장만하는 복식, 음식, 그림 등 소개

. 여러 관행이나 복설, 민간신앙 등을 중국 풍속과 비교

 

12. <동국세시기>에 담긴 궁중 풍속의 서술 배경

. 홍석모의 친천들은  당대에 쟁쟁한 위치에 있었음

. 정조 임금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배출한 집안임

. 궁중 풍속에 대해 많은 정보가 있었음

 

13. 입춘- 봄의 시작

. 입춘날 대궐에서는 춘첩자를 붙임

. 중국의 세시기인<형초세시기>에도 등장함

   <입춘날에는 (의춘>이란 두 자를 문에다 붙인다. 의춘: 봄이 옴이 마땅하다>


14. 입춘날 붙이는 대련

. 일반 사람들은 집 기둥이나 문 상방에 대련을 붙였음

. 동국세시기의 대표적인 3가지 대련

.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經): 입춘에 대길하고 계절 따라 경사 많아라.

. 수여산 부여해: 수명은 산같이 재물은 바다같이 되어라

. 거천재 래백복: 온갖 재앙은 가고 모든 복은 오라


15. 입춘날의 행사

. 봄을 맞이하고 축하하는 의미의 입춘첩을 만드는 것이 가장큰 행사 (1년동안 입춘을 붙이기도 함)

. 춘첩자: 왕실에서 사용했던 문구들을 모아 둔 책

. 삼두매: 머리가 세 개인 매는 재액을 쫒는 벽사의 기능(목판에 새겨 대량생산이 가능. 부적의 기능)

 

16. 인일(人日)

. 초이렛날: 사람에 대해 점을 친다고 하여 생긴말

               초하루~초엿새- 짐승과 가축을 점침

. 임금은 각신들에게 동인승을 선물

  (동인승) 작고 둥근 거울 같은것, 자루가 달려있고 신선을 개겨 넣음

17. 상해일과 상자일

상해일- 돼지날: 정월의 첫번째 해(亥)자가 들어가는날

상자일 -쥐날; 정월의 첫번째 자(子)자가 들어가는날

" 돼지를 그슬리자" "쥐를 그슬리자"

 

18. 묘일과 사일

묘일: 토끼날: 무명실을 차고 다니면 재앙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함, 외부사람과 나무로 만든 물건을 받아들이지 않음

사일: 뱀날: 이날은 이발하지 않음, 긴 형체의 뱀이 집안에 들어오는 것을 꺼림

그 외: 초하루부터 엿새간 치는 점의 대상

 

19. 정월보름

. 약밥: 신라의 풍속으로 "동경잡기"에 소개함

  " 신라 소지왕 10년 정월 15일 왕의 천천정 행차 때 까마귀가 날아와 왕을 일깨워주어 그 덕으로

    왕이 화를 면하게 됨

  " 보름 하루전날, 짚을 군대깃발인 둑기 모양으로 장대위에 묶고 그 안에 벼, 기장 피,조의 이삭을 넣어

     싼 다음 목화를 그 장대 끝에 매달아 집 곁에 세우고 새끼줄을 사방으로 벌려 고정시키는 것을 말함

 

. 벼 낟가리(화적): 보름 하루 전날 짚을 군대깃발인 둑기 모양으로 장대위에 묶고 그 안에 벼,기장.피.조의

                          이삭을 넣어 싼 다음 목화를 그 장대 끝에 매달아 집 곁에 세우고 새끼줄을 사방으로 벌려

                          고정시키는 것을 말함

 → 잘 익은 형상을 만들어 풍년을 기원함

. 추령: 남녀 모두 나이에 따라 그 해의 운수를 맡아본다는 아홉 직성의 하나인 나후직성을 만나게 됨

          그런 해를 맞이한 사람을 위해 풀로 만든 허수아비인을 만듦

. 부럼깨물기(작절): 이른 아침 날밤 호두.은행.잣.무등을 개물면서 기원

                      "일년 열두 달 동안 아무 탈 없이 평안하고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 주세요"

. 귀밝이술(유롱주): 청주 한 잔을 데우지 않고 마시면 귀가 밝아짐

. 더위팔기(매서): 아침 일찍 일어나서 사람을 불러 다음과 같이 말함 " 내 더위 사라" →그 해에는 더위를 먹지 않음

. 과일나무 시집 보내기(가수)

  과일나무의 가지 사이에 돌을 끼우면 과일이 많이 열림

. 연날리기: 다음과 같은 문구나 이름을 연 등에 써서 연줄을 끊어 날려보냄 " 누구 몸에 있는 액운이 소멸되라"

                  → 연과 함께 액을 멀리 보낸다는 의미

. 달맞이(영월) 달보기

  - 남보다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이 재수가 있다고 함

   ( 붉은달: 가뭄, 흰달: 많은비)→달이 뜰 때의 모양, 크기,출렁거림, 뜨는 위치의 높고 낮음 등을 보고 점침

.편싸움(변전)

 숭례문(남대문), 돈의문(서대문) 소의문(서소문)의 삼문 밖 주민들, 아현 일대 주민들이 편을 가른 다음

 몽둥이를 들거나 돌을 던지며 고함을 치며 서로 달려들어 만리동 고개 위헤서 접전함

 →삼문 밖편승리- 경기 일대에 풍년, 아현편승리- 전국 팔도에 풍년

. 안택경: 보름날 전부터 장님을 불러다가 안택경을 읽히며 밤을 지새움

  →액을 막고 복을 기원하는 것으로 경기,충청지역에 많이 나타남

 

<정월 보름의 세시풍속>

. 풍년을 점치는 농가의 점풍 행사

. 서울과 시골의 각종 집단놀이를 소개

. 특히 지방별로 특색 있는 풍속을 소개

다른 두 세시기에서 없는 '동국세시기'만의 장점

지푸라기로 만든 사람모양: 제웅

(동국세시기에는 한자어로 추령,처용)

 

<정월 여성들의 놀이>

  조선시대-부계사회

. 여성이 소외된시대

. 남자들이 묘 제를 간 사이 여자들기리 놀던 관행이 있음(윶놀이,담소,밥이나 떡 해먹기)

. 다리밟기- 조선 전기는 남녀가 어울려 밟음, 유교 정착후 남녀가 날을 나눠 행함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경험이 사람 잡는다  (0) 2017.11.21
잡은 고기에는 미끼를 주지 않는다.  (0) 2017.11.17
추천 영화  (0) 2017.11.13
“나는 최고로 운 좋은 사나이"   (0) 2017.11.11
걱정하지 않습니다  (0) 2017.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