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
음양오행 사상은 음(陰)과 양(陽)의 소멸·성장·변화, 그리고 음양에서 파생된 오행(五行) 즉 수(水)·화(火)·목(木)·금(金)·토(土)의 움직임으로 우주와 인간생활의 모든 현상과 생성소멸을 해석하는 사상이다. 이러한 음양오행 사상은 중국의 전국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서로 독립되어 있던 음양설과 오행설이 결합된 것도 바로 이 시기로 여겨진다.
음양오행 사상은 고분의 벽화, 비석의 귀부(龜趺), 오경박사(五經博士), 역박사(易博士), 감은사지의 태극도형, 『삼국유사』의 음양사상이 나타난 설화 등의 존재로 보아, 이미 삼국시대에는 전해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음양오행의 조화 즉 우주만물과 인간의 조화를 중시한 음양오행 사상이 한국인의 정신과 일상생활에 어떻게 자리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오방색은 음양오행의 오행을 색으로 나타낸 것으로 목(木)은 청(靑), 금(金)은 백(白), 화(火)는 적(赤), 수(水)는 흑(黑), 토(土)는 황(黃)에 대응된다. 음양오행 사상에 따르면 흰색, 황색, 적색은 양(陽)이고 청색,흑색은 음(陰)이며, 각각의 색이 지닌 의미와 상징에 따라 오방신장, 오방처용무, 관복, 오방낭자, 오색실, 색동옷, 오곡, 단청, 화문석 등 우리의 의·식·주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오방색의 의미를 좀더 살펴보면, 먼저 청색은 동쪽·봄·간장(肝腸)·신맛·기쁨·인(仁)을 상징하며, 백색은 서쪽·가을·폐장(肺臟)과 코·매운맛·분노·의(義)를 상징한다. 적색은 남쪽·여름·심장(心臟)·쓴맛·즐거움·예(禮)를, 흑색은 북쪽·겨울·신장(腎臟)·짠맛·슬픔·지(智)를, 황색은 중앙·비장(脾臟)·단맛·욕심·신(信) 등을 상징한다.
오곡은 모든 곡식을 총칭하는 말이지만 특별히 벼·보리·조·콩·기장 등 5가지의 주요 곡식을 지칭하기도 한다. 오곡은 오행의 개념으로 해석되어 색으로 보면 노란색은 토, 푸른색은 목, 붉은색은 화,흰색은 금, 검은색은 수가 되고 맛으로 보면 단맛은 토, 신맛은 목, 쓴맛은 화, 매운맛은 금, 짠맛은 수가 된다. 또한 파종 시기와 열매 맺는 시기가 봄이면 목, 여름이면 화, 가을이면 금, 겨울이면 수,사계에 걸쳐 생기면 토가 되고 성장환경에 있어 물에서 자란 것은 수, 땅에서 자란 것은 토, 나무에 달린 것은 목, 밭에서 자란 것은 화가 된다.
그러나 오곡은 목, 화, 금, 수, 토의 어느 한 가지 기운만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고 2, 3개 이상의 기운이 합하여 자라며, 모든 곡식에는 토의 기질이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 오곡에 포함된 오행의 기운은 인간의 몸 속으로 에너지를 공급함은 물론 각 신체 내부기관의 기능을 돕고 건강을 유지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식기인 반상(盤床), 그릇, 수저 등으로 이루어진 한식 상차림에도 음양오행의 사상이 깃들여 있다. 차려진 음식이 놓이는 반상은 대부분 둥근 형태로 양(陽)을 상징하며 상의 다리가 4개인 것은 사방(四方)과 땅인 음(陰)을 상징한다.
둥근 그릇의 형태는 양으로, 그릇에 담긴 음식을 통해 하늘의 양기를 몸에 받아들이고자 했다. 또한 한 개의 둥근 숟가락은 양이고 2개의 긴 젓가락은 음으로, 수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음양의 조화를 의미한다.
그런가 하면 재질로 볼 때 반상은 나무이며, 수저와 그릇은 금·은·유기 등의 쇠나 흙으로 만든 도자기이고, 간장·국·찌개·동치미 등은 수기(水氣), 어육은 불에 굽거나 찐 것으로 화기(火氣)가 포함되어있다. 이렇듯 음식과 식기로 이루어진 상차림 하나에도 음양오행이 모두 구비되어 있어, 옛사람들의 섬세함과 음양오행 사상에 대한 추구를 짐작할 수 있다.
구분 | 장부 | 음식 |
목(木) | 간과 담낭 | 신맛 - 팥, 딸기, 포도, 모과, 사과, 앵두 등... |
화(火) | 심장과 소장 | 쓴맛 - 수수, 살구, 은행, 자몽, 상추, 홍차, 커피 등... |
토(土) | 비장과 위장 | 단맛 - 기장, 참외, 호박, 대추, 고구마, 인삼, 식혜 등... |
금(金) | 폐장과 대장 | 매운맛 - 현미, 율무, 배, 고추, 생강, 수정과 등... |
수(水) | 신장과 방광 | 짠맛-콩, 서목태, 밤, 수박, 미역, 소금, 마, 두유 등... |
상화(相火) | 심포장과 삼초부 | 떫은맛-옥수수, 조, 녹두, 오이, 가지, 토마토 등... |
표준 | 육장육부가 동일 | 골고루 |
(1)소육다채(小肉多菜) : 육식은 적게 하고 채소는 많이 먹는다. (2)소식다작(小食多嚼) : 식사를 적게 하고 잘 씹는다. (3)소염다초(少鹽多醯) : 염분은 적게, 식초는 많이. 나물을 무칠 때 염분을 적게 쓰고도 먹을 수 있게 하려면 식초를 조금 가해 주면 염분은 적어도 간이 맞는다. (4)소의다욕(少衣多浴) : 옷은 엷게 입고 목욕을 자주 한다. (5)소번다면(少煩多眠) : 근심은 적게하고 잠은 많이 잔다. (6)소욕다시(少欲多施) : 욕심을 적게 내고, 남에게 많이 베풀도록 한다. (7)소당다과(少糖多果) : 설탕은 적게 먹고 과일을 많이 먹는다. (8)소차다보(少車多步) : 되도록 차는 적게 타고 많이 걸어 다니도록 한다. (9)소언다행(少言多行) : 말은 적게 하고 실행을 많이 한다. (10)소분다소(少憤多笑) : 성은 적게 내고 많이 웃는다.
|
같이 먹으면 이로운 음식과 해로운 음식
사과와 당근은 같이 갈아서 흔히들 많이 마시죠, 체질별로 조금씩의 차이는 있겠지만 별로,,,,
같이 섞으면 해로운 음식 당근과 오이 |
섞어서 이로운 음식 |
'☞명리학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패러다임 실전 진로컨설팅 (0) | 2016.11.12 |
---|---|
출생월별 특징 (0) | 2016.11.08 |
역학 암기 도우미 (0) | 2016.11.07 |
부부 궁합 (0) | 2016.11.07 |
심산멘토의 신살(神殺) 직업적성 (0) | 2016.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