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당

용신(用神) & 전생 성적표

심산멘토 2017. 6. 13. 20:20

         

                      용신(用神)


 

1. 용신의 개요(槪要)

 

1.1 의의: 용신(用神)은 사주 팔자의 核心이다. 사주 전체의 형상을 살펴서 중화(中和) 또는

힘의 균형에 이르록 작용하는 오행이다. 용신은 定하는 것이 아니고 찾는(探索)

것이다. 용신의 역할은 격국과는 달리 사회성으로서 행운(行運)과 관련지어 취길

피흉(取吉避凶)함이다.

 

1.2 어떻게 찾나:

 

① 억부(抑扶)용신법 - 사주의 강약을 파악, 70% 정도 적용

② 조후(調候)용신법 - 계절(여름,겨울)에 국한, 한난조습, 20% 정도 적용

③ 병약(病弱)용신법

④ 통관(通關)용신법

⑤ 전왕(傳旺)용신법

 

1.3 어디에서 찾나: 사주의 身强, 身弱을 파악한 후

①사주원국 또는 ②지장간에서 찾는다.

 

1.4 강약의 구분 : 일간과의 관계에서 다음의 조건이 2개 이상 해당하면 强, 아니면 弱

① 득령(得令) : 月支가 印星(편인, 정인) 또는 比劫(비견,겁재) 일 것

② 득지(得地) : 日支가 印星(편인, 정인) 또는 比劫(비견,겁재) 일 것

③ 득세(得世) : 일간, 월지, 일지를 제외한 것중 인성과 비겁이 3개 이상일 것 (5분의 3)

 

1.5 용신과의 생극

① 用神 : 나의 사주가 중화 또는 균형을 잡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것.

② 喜神 : 용신을 생하는 것이어야 하며, 일간을 극하지 않는 것. 용신 다음으로 필요한 것.

③ 忌神 : 용신을 극하는 것.

④ 仇神 : 희신을 극하는 것.

⑤ 閑神 : 상황에 따라 좋은 것(용신쪽)이 되기도 하고, 나쁜 것(기신쪽)이 되기도 하는 것.

 

1.6 대운과의 관계

 

① 木 용신: 인묘진년에 發福하고, 해자축년에 開運한다.

② 火 용신: 사오미 , 인묘진

③ 土 용신: (진술축) , 사오미

④ 金 용신: 신유술 , ( 진축미)

⑤ 水 용신: 해자축 , 신유술

 

2. 억부(抑扶)용신법

 

2.1 身强 → 抑

 

→ 직접적으로 나를 극하는 방법이 있고, 간접적으로 내가 생하는(=泄氣) 방법이 있다.

→ 용신이 剋도 있고 洩도 있을 때에는 월지 자리에 있는 것 또는 월지를 극하는 것으로 한다.

 

1) 印星이 많아서 신강한 경우 : 財星에서 용신을 찾는다. (재극인)

2) 比劫이 많아서 신왕한 경우 : 官星에서 용신을 찾는다. (관극아)

3) 인성과 비겁이 같이 있는 경우 : 食財官 중에서 찾는다.

 

2.2 身弱 → 扶

 

→ 인성이나 비겁을 찾는다.

→ 인성과 비겁이 같이 있는 때에는 왜 신약한지 원인을 찾는다.

 

1) 食傷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 인성에서 용신을 찾는다. (인극식)

2) 財星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 비겁에서 용신을 찾는다. (아극재)

3) 官星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 인성에서 용신을 찾는다. (관생인)

 

4) 식상, 재성, 관성이 같이 있는 경우 :

 

① 인성이나 비겁중 좀 더 타당한 것으로 택하든지,

② 겸용해서 용,희신 하나로 묶는다.

 

3. 조후(調候)용신법

 

≫ 신강하지도 신약하지도 않은 사주 즉, 인비와 식재관이 비슷할 때 적용할 수 있다.

 

≫ 겨울의 金 : 子月에 태어난 庚,辛 일간 : 신강,신약하더라도 우선적으로 火를 찾는다.

 

≫ 여름의 木 : 午月에 태어난 甲,乙 일간 : 신강,신약하더라도 우선적으로 水를 찾는다.

 

≫ 월지의 진,술,축,미는 한난조습을 따져본다. 

 

        辰丑{濕土, 寒冷} ⇒ 화, 목

        戌未{燥土, 溫煖} ⇒ 수, 금

 

≫ 억부의 용신이나 조후의 용신이 같을 때는 용신의 힘이 倍加되며,

    아닐 때는 용신간의 쟁탈로 힘이 떨어진다.

 

◎ 용신(격) 用神(格)

 

1. 印星이 많은 身强한 경우

 

1.1 인성이 대부분인 경우……재성(印衆用財格)

제1원칙으로 재성을 용신으로 한다. (재극인)

……인성(從强格)

 

1.2 比劫과 混在하는 경우………식신(食神生財格) 상관생재격

재성이 있긴 있는데 약한 경우 식신(상관)이 재성을 생조하면

식상을 용신으로 한다. (식생재)

 

………관성(印衆用官格) 인중용살격

재성, 식신(상관) 모두 없을 때 원칙은 (관생인)으로 안되지만

할 수 없이 관성을 용신으로 한다.

 

………관성(財滋弱殺格) 재관격, 재생관격

관성으로 용신을 하긴 하되, 재성이 약한 관성을 생조하는 때.

이 경우 재성을 희신으로 한다. (재생관)

 

2. 比劫이 많은 경우 ………

관성(正官格) 편관격

제1원칙으로 관성을 용신으로 하되 (관극아), 재성이 없어야 됨.

(⇔ 재관격)

 

………식신(食神格) 상관격

관살이 없거나 무력하고, 식신(상관)이 유력한 경우 식상을 용신

으로 하되 (아생식), 재성이 없어야 됨. (⇔ 식신생재격)

 

………재성(群比爭財格) 군겁쟁재격

관성, 식상 모두 없을 때 할 수 없이 재성을 용신으로 하는 것

인데, 비겁의 무리가 둘러싸서 재성을 다투는 형상으로 용신

 제일 무력한 용신(격)이다.

이 경우 식상을 희신으로 하고, 인성을 기신으로 한다.

……비겁(從旺格) 또는 一行得氣格

 

3. 食傷이 많은 경우 ………인성(傷官用印格) 상관패인격

 

제1원칙으로 인성을 용신으로 하는 것인데 (인극식), 만약

인성이(인생아, 화생토) 약할 때 인성을 생조해 주는 관성이

성립되었다면(관생인, 목생화) 관인상생격이 더 적합하다.

 

………비겁(傷官用比格) 상관용겁격

인성은 없고 비겁만 있을 때 할 수 없이 비겁을 용신으로 하는

것인데, 차선책으로 비겁을 찾다보니 상관용인격보다 덜 유력

하다. 이 격의 사주는 인,비의 운이 와야 발복을 하게 된다.

 

……식신(從兒格) 또는 兒又生兒格

인성이 많을 때비겁이 많을 때식상이 많을 때
제 1 (나를 극함)재성 (재극인)관성 (관극아)인성 (인극식)
제 2 (내가 극함)식신 (인극식)식신 (아생식)비겁
제 3관성재성
종 격인성비겁식신

 

⊙ 용신 격 用神(格)

 

4. 재성이 많은 경우 .........

비견(財衆用比格) 재중용겁격 또는 得比利財格

제1원칙으로 비견.겁재를 용신으로 찾는다. (아극재)

득비이재격은 비견을 취하여 재성을 누를 수 있어 이롭다는

의미.

……… 인성(財衆用印格)

비겁이 없어 할 수 없이 인성을 용신을 찾는다.

상관용비격과 같은 맥락이다.

 

……… 인성(貪財壞印格)

인성으로 용신을 찾는 것인데, 인성이 약하고 재성이 강한데

또 재성과 합하여 인성이 파괴되는 격. (재극인)

즉, 재성이 왕한데다 운에서 재운을 만나면 탐재괴인이 된다.

 

……… 재성(從財格)

5. 관살이 많은 경우 ……… 인성(殺衆用印格) 官印相生格

제1원칙으로 관성이 많으면 인성으로 하여금 설기하게 하는

것인데(관생인), 관인상생격은 더구나 그 인성이 일지에 있어

일간을 바로 생조해 주어(인생아) 매우 유력한 용신이다.

……… 비겁(殺衆用比格) 살중용겁격 또는 殺刃相停格

 

인성이 없어 할 수 없이 비견.겁재를 용신을 찾는다.

살인상정격은 陽일간을 중심으로 관살(편관)과 양인(겁재)가

서로 머무르는(= 合하는) 것으로 양인을 용신으로 한다.

……… 식상(食神制殺格) 상관제살격

인성은 말할 것도 없고 비겁마저 없는 상태에서 오로지 식신,

상관만 있을 때 할 수 없이 식상을 용신으로 찾는다.

즉, (식극관)으로 더욱 신약하게 되지만 차차선택으로 관살을

제어할 수는 있다.

……… 관성(從殺格)

 

6. 식재관이 혼재한 경우·…인성(身弱用印格) 또는 비견(身弱用比格)

 

식재관중에 어느 특정한 오행이 많은 것이 아니면서 신약한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인성을 용신으로 한다. 그러면 (관생인)

(인극식)으로 관살과 식상이 해결된다.

신약용비격은 인성이 없어서 부득이 비겁을 용신으로 한다.

·…합화(化氣格)

 

일간이 월간 또는 시간 合 化한 경우에 화하는 성분이 많으면

화하는 것을 용신으로 한다. 신약용인격과 구별해야 한다.

 

…· 월령(從勢格)

재성이 많은 때관성이 많은 때식재관이 혼재한 때
제 1 (나를 극함)비견 (아극재)인성 (관생인)인성(관생인,인극식)
제 2 (내가 극함)인성 (재극인)비겁 (관극아)비견
제 3식신합화
종 격재성관성월령

 




                    전생 성적표   



전생 성적표인 사주는 30%이며 환경과 노력에 의해 70%는 바꿀 수 있다.착하게 살면 안되고 바르게 살아야 한다.바른 분별력으로 살면 사주는 없어지고 인간이 사주를 만들어 가는 후천시대이다.타고 난 사주대로 사는 사람은 질량이 30%로 어리석은 사람이고,사주를 활용하여 사주를 지배하면서 사는 사람은 질량이 70%인 지혜로운 사람이다.제사,족보,매장 풍습 등이 사라지듯 미래시대는 사주대로 살지 않는다.


조상이 후손들을 이끌어 주는 선천시대가 아니라 후손이 사람을 이롭게 하면 그 공덕으로 조상들이 해탈하는 후천시대이다.벼는 읽을수록 고개를 숙이듯 사람도 진리의 지혜를 많이 흡수하여 내공을 갖추면 저절로 문리가 터져 겸손해지는 법이다.자기 사주가 아무리 나빠도 어떤 배우자를 만나고 어떤 사람들과 인연이 되느냐에 따라 사주는 변하므로 좋은 배우자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서는 실력을 갖춰야 한다


남편과 아내,부모와 자식은 전생의 빚쟁이 인연으로 오기 때문에 빚을 갚기 위해 서로가 희생을 하지 않으면 원수지간이 된다.부부가 살다가 이혼을 하게 되는 원인은 3:7의 원리로 한 사람에게 30%, 다른 사람에게 70%로 잘못이 있기 때문이며 일방적인 잘못으로 헤어지는 경우는 없다.이혼을 할 때 상대방을 탓하고 헤어지면 재혼을 해도 불행하게 된다.자식이 21세가 넘었는데도 간섭하면 간섭한 만큼 잘못 된다 


가치관과 이념이 없이 자식에게 재산을 물려주면 얼마 가지 않아서 그 재산은 탕진되고 만다.부모가 똑바로 사는데 자식이 잘못 되는 경우는 없으며 부모가 바른 분별력으로 살면 자식은 저절로 잘 된다.어려운 사람과 가까이 하면 자신도 어려워지므로 자신보다 30% 성공한 사람을 가까이 해야 어려움이 풀린다.잘난 척 하는 순간부터 죄가 시작되며 능력도 안되면서 좋은 차를 몰고 큰 집에서 살면 곧 어려워진다


비굴하게 무릎꿇고 빌며 성불을 바라지 않고 남 탓과 불평만 안해도 어려움이 풀린다.유명한 역술가에게 사주를 보고 좋아지는 느낌은 임시방편이며 질량을 갖추지 않으면 얼마 후에 다시 어려워진다.자신의 모순을 바로 잡기 위해 100일만 노력하면몸의 탁한 기운이 맑은 기운으로 변해서 얼굴색부터 좋아진다.이렇게 3년 동안 자신의 부족함을 반성하고 질량과 내공으로 실력을 키우면 어려움이 근본적으로 풀린다


지금까지 인간이 지식,재주,재물을 갖출 수 있었던 것은 땅의 힘을 받았기 때문이지만 앞으로는 공적인 일을 해야 하늘의 힘을 쓸 수 있다.돈을 벌어 부자가 되고 싶으면 돈을 목숨 같이 소중히 여겨야 하며 부자를 욕하지 말고 존중해야 한다.만족한 고객은 8명에게 그 사실을 알리지만 불만족한 고객은 최소 24명에게 그 사실을 토로한다.그러므로 10명의 친구를 만들기 보다는 1명의 적을 만들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청심고지(淸心高志) 

깨끗한 마음을 갖고 살아가면 목표한 바 큰 뜻을 이룬다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덕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사람들이 따르게 된다

 

낭중지추(囊中之錐) 

역량이 있는 사람은 가만히 있어도 실력이 저절로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