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당

생왕묘지(生旺墓地) 계통별 기질 진로적성

심산멘토 2020. 10. 31. 13:34

                             생왕묘지(生旺墓地) 계통별 기질 진로적성

 

사주 지지(地支)의 생왕묘지(生旺墓地) 구조를 분석하면 기질과 진로적성을 판단할 수 있다.가령,지지(地支)의 구조가 삼합(三合)이나 방국(方局)의 구조로 짜여 있으면 성공 가능성이 높고 통근(通根) 투간(透干) 투출(透出)이 되면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또한 지지(地支)의 구조가 축인묘(丑寅卯)라면 축(丑)은 금기운(金氣運)을 거두어 들이므로 목(木) 전문가 타입이다.지지(地支)의 구조가 진사오(辰巳午)라면 진(辰)은 수기운(水氣運)을 빨아들이므로 화(火) 전문가 타입이다.

 

 

지지(地支)의 구조가 미신유(未申酉)라면 미(未)는 화기운(火氣運)을 거두어 들이므로 금(金) 전문가 타입이다.지지(地支)의 구조가 술해자(戌亥子)라면 술(戌)은 토기운(土氣雲)을 거두어 들이므로 수(水) 전문가 타입이다.사주 구조가 위와 같이 짜여지면 전문가 스타일이므로 특정 분야에서 일인자가 될 수 있다.삼합과 방국을 구분하는 방법은 쉽지만 육합(六合)과 방국(方局)을 구분하는 방법은 쉽지 않다.가령 월지가 축(丑)이고 일지가 자(子)일 경우에 자축합(子丑合)을 하면 방국(方局)이 아니다.

 

 

방국(方局)은 세력과 계절이 중심이므로 방국(方局)이 되려면 반드시 월지(月支)에 자오묘유(子午卯酉)와 같이 왕지(旺地)에 해당하는 오행이 있어야 한다.천간은 오행과 육친끼리의 합(合)이 중요하지만 지지는 어떤 자리와 충(沖)을 하였느냐가 중요하며 그 다음이 합형파해(合刑破亥) 순이다.대운이나 세운에서도 충(沖)이 먼저 일어나고 합(合)이 나중에 일어난다.충(沖)이 되면서 동시에 합(合)까지 되면 충(沖)의 영향력은 줄어든다.

 

 

사주 원국과 대운 세운 등에서 합(合)과 충(沖)이 동시에 일어날 경우는 완충 작용이 되므로 잘 해석해야 한다.

 

 

                        인신사해(寅申巳亥) 생지(生地) 기질 진로적성

 

 

인신사해(寅申巳亥) 생지(生地)의 특성은 다른 오행을 잘 생(生)해 준다는 점이다.가령 생지(生地)인 인목(寅木)은 화(火)를 생(生)하여 인오술(寅午戌)이 되지만 왕지(旺地)인 묘목(卯木)은 화(火)를 잘 생(生)하지 않는다.생지(生地)는 생산,출산,제작 등 시작한다는 뜻이 있으며 움직임과 활동력이 강한 역마성(驛馬性)을 지니고 있다.또한 인신사해(寅申巳亥) 생지(生地)는 지장간(地藏干)이 모두 양오행(陽五行)이기 때문에 꿈틀거리는 야망이 강하므로 해외 무역업,여행업,운수업 등 활동성이 강한 직업이 적합하다.

 

 

인신사해(寅申巳亥) 생지(生地)는 미래지향적이고,자오묘유(子午卯酉) 왕지(旺地)는 현실적이며,진술축미(辰戌丑未) 묘지(墓地)는 과거지향적이다.인신사해(寅申巳亥) 생지(生地)는 개척 정신이 강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창조력이 우수하다.인신사해(寅申巳亥) 지장간(地藏干) 여기에는 모두 양(陽) 오행인 무토(戊土)가 있으며 이는 거푸집과 같아서 임시로 사용하는 형태가 된다.단,사화(巳火)는 사중 무토(巳中 戊土)가 여기에 해당하지만 화(火) 기운의 세기가 강한 편이다.

 

 

인신사해(寅申巳亥) 생지(生地)는 여기보다 중기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를 반긴다.가령,인목(寅木)의 중기는 병화(丙火)이므로 인오술(寅午戌) 삼합(三合) 작용을 한다.천간에 병화(丙火)가 투간(透干)되면 지지의 인목(寅木)은 목(木) 작용보다 화(火) 작용을 많이 한다.인신사해(寅申巳亥)는 변화를 즐기는 기분파이고,자오묘유(子午卯酉)는 변하를 싫어하는 오뚝이파이며,진술축미(辰戌丑未)는 생각이 많은 비밀파이다.같은 합(合)이라도 인오합(寅午合)은 적극적이고 공격적인데 반해 오술합(午戌合)은 소극적이고 수비적이다.

 

 

인신사해(寅申巳亥)는 충(沖)을 매우 싫어하며 합(合)을 좋아한다.충(沖)이 일어나면 자기 뜻대로 앞으로 전진하지 못하기 때문에 감정 기복이 커진다.인신사해(寅申巳亥)가 격국 용신(格局 用神)이 되면 독립적이고 개척적인 성격으로 새로운 환경에 도전 정신이 강하다.사춘기 청소년과 같이 순진하고 호기심이 많으며 행동대장 역할을 한다.

 

 

인신사해(寅申巳亥) 중에서 인목(寅木)은 지장간(地藏干) 중기인 병화(丙火)를 활용하려고 하며 사화(巳火)는 지장간(地藏干) 중기가 경금(庚金)이라 실속적인 결실을 추구한다.생왕묘지(生旺墓地) 구조에 대한 단식 판단 보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확장 능력을 키우면 정확한 통변(通辯)에 도움이 된다.심산멘토의 新패러다임 명리적성학은 교재로 출간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