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진로컨설팅

진로 탐색 노하우 3단계

심산멘토 2018. 2. 21. 16:46


                            진로 탐색 노하우법 공개! 3단계로 탐색하라


대부분의 중학교에서 졸업식이 끝났다. 올해 중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약 2주 뒤면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3월이 되기 전까지 남은 시간은 단 1주일. 이 기간동안 예비 고1들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다. 바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깊이 있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 것. 고교 3년간 이뤄지는 모든 비교과 활동은 ‘진로’를 기반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대입에서는 독서활동, 봉사활동, 수상실적 등 다양한 비교과 활동에 참여했다는 사실 자체보다는 해당 활동이 학생의 진로나 희망 전공과 어느 정도의 연계성을 띄는지, 해당 활동을 통해 학생이 어떤 점을 배웠는지가 더욱 중요하게 평가된다. 고교 입학 전 비교과 활동 계획을 세우기 앞서 자신의 진로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해봐야 하는 것.


진로를 곧바로 결정하기에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어떤 직업들이 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예비 고1을 위해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되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 어떤 직업이 있는지부터 살펴보라


장래희망을 정할 때 단순히 남들이 하는 직업을 따라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정 직업이 명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 알지 못한 채 막연한 목표로 삼거나 변호사, 의사, 교사, 경찰 등 잘 알려져 있는 직업을 장래희망으로 결정하는 학생들도 많은 것. 하지만 이 경우 뚜렷한 목표를 세울 수 없을뿐더러 자신의 적성에 맞지 않을 수도 있다.


먼저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알아본 뒤 장래희망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현재 자신이 어떤 일에 관심이 많은지,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어떤 성향인지 잘 모르고 있는 학생이라면 다양한 진로 탐색 사이트에서 진로 심리검사나 상담을 받아볼 수 있다.


교육부가 운영하는 사이트 ‘커리어넷’에서는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진로심리검사를 제공한다. 직업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 직업가치관검사, 진로성숙도검사 등을 통해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 또한 진로문제로 고민하는 학생과 학부모를 위해 진로상담 신청도 받는다.


검사와 상담을 통해 어느 정도 적성을 파악했다면, 우리나라에 어떤 직업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커리어넷에서는 500여 개의 다양한 직업에 대한 정보를 공개한다. 또한 직업인을 인터뷰한 기사도 게재해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이 운영하는 한국직업정보시스템에서도 다양한 직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진로 심화 활동’을 하라


관심 있는 직업이나 분야에 대한 윤곽이 어느 정도 잡혔다면, 해당 직업이나 진로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나 강연을 들어보며 구체적인 진로 탐색을 해보는 것이 좋다.


유명 연사들의 강연 영상을 공유하는 ‘TED’가 대표적. 영상이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게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로와 관심분야에 대해 더욱 심화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김진훈 서울 숭의여고 진학지도부장은 “생명과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인터넷에서 생명과학 전문가나 자신의 롤 모델이 되는 사람의 강연을 직접 찾아 들어보라”면서 “강연을 통해 얻은 아이디어를 이후 고교 생활을 하면서 경시대회나 프로젝트 활동 등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TED 영상에서 생명과학자의 강연을 보고 유전자에 흥미를 느꼈다면 이후 동아리 시간에 ‘유전자 변이’에 대해 토론하거나 관련 실험을 진행해볼 수 있는 것이다.


○ 진로 체험 프로그램 통해 경험해보라


영상을 보며 관심 있는 직업 및 진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게 됐다면 해당 직업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 직접 체험해보는 것이 좋다.


여러 대학 및 지자체, 업체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해 업무를 경험해보는 것. 자신이 생각했던 방향과 일치하는지, 해당 분야가 적성에 잘 맞는지 등을 대략적으로라도 가늠해볼 수 있다.


진로체험 페스티벌에 참여하거나 각 지역에 위치한 청소년 진로·직업체험관 등을 방문해 다양한 직업을 직접 체험해보며 미래를 설계해보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