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당

명리학(命理學) 용어 공부방

심산멘토 2020. 8. 29. 23:58

명리학(命理學) 용어 공부방

 

 

가격(假格)

 

진격(眞格)이 아닌 것을 말한다. 모든 격(格)에는 반드시 진격과 가격이 있으나 진(眞)의 반대가 가(假)이므로 얼핏 생각하면 진(眞)과 가(假)는 그 의미와 형태가 정반대인 것 같으나 그런 것이 아니다.

 

가격이란 거의가 진(眞)같아 비슷하지만 어딘지 하자가 있어 진(眞)이 못되는 게 가격(價格)이다

 

가상관격

 

월지의 상관(傷官)이 아니고 신왕하여 기운을 설기할 때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이 추가되어 용신이 됐을 때를 말한다. 운에서도 식상운이 좋고 정인(正印)이나 편인(偏印)운은 아주 흉하다.

 

가색(稼穡)격

 

 무토(戊土), 기토(己土)의 일간이 되어야 하고, 생월이 진술축미(辰戌丑未)월에 생하여야 한다. 지지(地支)에 진술축미(辰戌丑未)가전부 있거나 전부 토(土)로 구성되며 갑을(甲乙)과 인묘(寅卯)의 극을 받지 않아야 가색격이 된다. 화토(火土)의 생조(生助)함을 좋아하고 목(木)의 극을 꺼린다. 사람됨이 신용이 있고 성실하며 경거망동 하지 않는다.

 

가색격(稼穡格)

 

사주(四柱)의 격(格) 정하는 법의 하나로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에 속한다. 이 격은 무기(戊己) 土日生이 지지에 진술축미(辰戌丑未) 土로 거의 구성되고 갑을인묘(甲乙寅卯)의 木이 없으면 이루어진다.

 

土는 본질이 만물을 생장(生長)시키는 바탕이다. 특히 초목백과(草木百果)는 흙에서 자라 열매가 맺는 고로 이 초목백과를 심고 가꾸는 근본지(根本地)라 해서 가색격(稼穡格)이라 한다. 이 격을 놓으면 동방(東方) 인묘진(寅卯辰) 木運을 크게 꺼리게 되며, 남방(南方) 사오미(巳午未) 대운을 가장 좋아하게 된다.

 

가종격(假從格)

 

 가종격이란 사주의 구성이 일간이 극히 약하고 약간의 일간을 돕는 오행이 있을 때 이것을 가종이라 하는데 이는 대운에서 나를 생하는 오행을 제거할 때 가종(假從)이 변하여 진종(眞從)이 된다.

 

가화격(假化格)

 

사주격국에 화격(化格)이 있으니 이 화격을 순수하게 이루는 것을 진화격(眞化格) 또는 화격(化格)·종화격(從化格)이라 한다. 이 화격을 이루는데 방해(妨害)하는 神이 있어 格이 순수하지 못하면 가화(假化) 또는 가화격(假化格)이라 한다.

 

갑기(甲己) 합화토(合化土)

 

을경(乙庚) 합화금(合化金)

 

병신(병신) 합화수(合化水)

 

정임(丁壬) 합화목(合化木)

 

무계(戊癸) 합화화(合化火) 등 다섯개가 있다.

 

()

 

십간(十干)이라고 하며, 또는 천간(天干)의 준말로 쓰인다.

 

천간에는 甲(갑), 乙(을), 丙(병), 丁(정), 戊(무), 己(기), 庚(경), 辛(신), 壬(임), 癸(계) 10개가 있어 십간이라 한다.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 및 그림 참조)

 

간지(干支)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합칭한 말이다.

 

간(干)에는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의 十干이 있다. 지(支)에는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의 十二支가 있다.

 

("간" 참조,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 및 그림 참조)

 

간충(干沖)

 

천간끼리 충(沖)하는 것을 의미. 즉 甲과 庚이 沖, 乙과 辛이 沖, 丙과 壬이 沖, 丁과 癸가 沖이다.

 

간합(干合)

 

천간합(天干合) 이라고도 하며, 열개의 天干이 서로 만나면 합하여 지는 것을 말한다. 합이라 함은 서로 좋아하는 관계를 말한다.즉 甲己合, 乙庚合, 丙辛合, 丁壬合, 戊癸合이다.("합" 참조)

 

갑목(甲木)

 

갑(甲)은 오행의 목(木)에 해당되니 나무의 기운을 말한다. 양의 기운으로 적극적이고 추진력이 있으며 선천적인 지도자 기질이 있다. 성품이 깨끗하고 남에게 베퍼는 자비심(慈悲心)이 많으며 어질고 착하다.

 

건록(建祿)

 

건록은 다른말로 임관(臨官)이라고 한다. 12운성(運星)중에 가장 기운이 왕성하고 활동적이다. 록(祿)이란 일한 만큼의 대가(對價)를 받는 것이니 요즈음 말로는 봉급(俸給)에 해당한다. 부모의 그늘에서 벗어나 자기의 의지대로 하고싶은 것을 마음껏 누릴 때이다.원칙과 정의를 좋아하고 자존심이 강하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겁살(劫煞)

 

겁살(劫煞)은 일명 대살이라고도 하며 오행이 절지(絶地)되는 곳을 말한다. 이 살은 살 중에서 가장 으뜸으로 작용하여 힘이 강하다. 이 살이 끼면 겁탈을 당하거나 재물을 빼앗기게 되며 일을 열심히 하고도 돌아오는 공이 적다. 노력하는 것에 비해 결과가 흡족하지 않고 재물을 많이 손실하게 된다. 또는 갑작스런 사고를 당하거나 관재나 구설에 말려드는 경우도 있다.

 

겁재(劫財)

 

겁재는 나의 일간(日干)과 동일(同一)한 오행이나 일간과 음양이 다른 때 나의 재물을 겁탈해 간다고 하여 겁탈할 겁(劫) 재물 재(財), 겁재라고 한다. 자매와 이복형제에 해당한다. 여자는 동서간이나 남편의 애인, 시아버지를 의미한다.

 

()

 

모든 역술(易術) 및 음양오행학(陰陽五行學), 그리고 상학(相學:관상,수상) 및 길흉술(吉凶術)에 있어 부귀빈천과 길흉화복·수요장단·흥망성쇠에 대한 형태를 술어(術語)로 간단히 표시한 것을 말한다.

 

격각살(隔角殺)

 

사주 신살(神殺)의 하나. 이 살이 있으면 부모 형제 곁을 떠나 먼 타관에서 방랑(放浪)하게 된다. 이 격각살은 생일과 생시로 보는데 十二支가 생일에서 생시가 한 칸을 건너뛰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격각살은 아래와 같다.

 

子日-寅時 丑日-卯時 寅日-辰時 卯日-巳時

 

辰日-午時 巳日-未時 午日-申時 未日-酉時

 

申日-戌時 酉日-亥時 戌日-子時 亥日-丑時

 

격국(格局)

 

사주학(四柱學)을 비롯하여 모든 음양오행(陰陽五行) 술서(術書)에 있어 어떤 조직에 대한 형태의 대명사(大名辭)이다. 그러므로 격국이 이루어지면 모든 길흉의 윤곽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격국(格局)에는 내격(內格)과 외격(外格)이 있으며 내격을 보통 격국이라고 하고, 외격을 특별격국이라고 한다.

 

경금(庚金)

 

경(庚)은 오행의 금(金)에 해당되니 돌, 쇠의 성질을 말한다. 양의 기운으로 명랑하고 개방적이며 사교적이다. 물질만능 주의가 많고 명예를 중히 여기고, 정의감이 강해 의리가 있고, 냉정한 면이 있다. 위엄이 있고 인정에는 약하다

 

경양금(庚陽金)

 

천간(天干) 경(庚)은 양금(陽金)에 속한다.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 및 그림 참조)

 

경칩(驚蟄)

 

이십사절기 가운데 세번째 절기이다. 음력 이월절이며, 양력으로는 매년 3월 5일 6일 사이에 든다. 경칩이란 벌레가 놀라 깬다는 뜻이다. 겨울잠을 자던 온갖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계수(癸水)

 

계(癸)는 오행의 수(水)에 해당되니 물의 성질을 말한다. 음의 기운으로 인정이 많고 정직하며 깨끗한 것을 좋아하며 학문연구심이 남다르다. 예술, 기술감각이 우수하며 창의력이 우수하다

 

고란과곡살(孤鸞寡鵠殺)

 

사주 살신(殺新)의 하나. 명(命)에 이 살이 있으면 남자는 상처(喪妻), 여자는 상부(喪夫)하게 된다. 아래와 같은 日辰이 고란과 곡살이다.

 

乙巳日 丁巳日 辛亥日 戊申日 甲寅日

 

고신과수살(孤辰寡宿殺)

 

고신살과 과수살이다.

 

고신살(孤辰殺)

 

남자의 명(命)에 해당되는 살신(殺神).

 

아래와 같은 경우가 고신살이다.

 

해자축(亥子丑-年日)-寅 인묘진(寅卯辰-年日)-巳

 

사오미(巳午未-年日)-申 신유술(申酉戌-年日)-亥

 

가령 남자가 亥子丑년이나 亥子丑日에 출생하고 사주 가운데 寅이 있으면 고신살이다. 위와 같은 고신살이 있으면 부모형제를 이별하거나, 결혼 후 아내를 이별하게 된다. 또는 자식이 없기도 하여 고독하게 지내는 명(命)이다. 특히 부부이별이 강조된다.

 

곡우(穀雨)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가운데 5번째 절기이며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다. 해마다 양력 4월 20일나 21일이 됨. 음력으로는 3월 중순으로,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해진다고 함. 이 무렵이면 초목의 잎이 파릇파릇 돋아나며 농민들은 농사로 바쁜 시기이다.

 

곡우란 오곡을 가꾸기에 적당한 비가 내린다는 뜻이다.

 

곤고(困苦)

 

처지나 형편이 고생스럽고 딱함. 곤란하고 고통스러움.

 

곤명(坤命)

 

남녀 구분법으로 여자를 칭하는 술어(述語).

 

곤(坤)은 땅이니 여자를 상징한다. → 건명(乾命-男子)

 

공망(空亡)

 

천간(天干)은 열 개이고 지지(地支)는 열두개가 되어 천간과 지지가 일정하게 진행하여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까지 보면 천간은 열 개를 다 사용하였으나 지지는 술, 해 두 개가 남았다. 여기 남아있는 두 개는 짝이 없이 비어있어 망했다고 공망(空亡)이라 이름 부쳐진 것이다

 

과수살(寡宿殺)

 

여자 사주에만 해당된다.

 

해자축(亥子丑-年日)-戌 인묘진(寅卯辰-年日)-丑

 

사오미(巳午未-年日)-辰 신유술(申酉戌-年日)-未

 

가령 여자가 亥子丑년이나 亥子丑일에 출생하고 사주 가운데 戌이 있으면 과숙살이다. 이 살은 고독을 의미한다. 사주에 있으면 남편운·자식운이 나빠 고독하게 지내는 명(命)이다.

 

이 살이 연지(年支)에 있으면 가장 가볍고, 月支가 그 다음이며 日支에 있음을 꺼리게 된다.

 

관귀(官鬼)

 

육효점(六爻占) 및 기타 오행생극(五行生剋) 관계에서 自新이나 世를 극하는 오행을 칭함.

 

관대(冠帶)

 

관대는 아이가 성장하여 관례(冠禮)를 올리고 성인식을 하며 관을 쓰고 관직에 오르는 것처럼 매사 생기(生氣)가 돌고 의욕이 가득하니 독립심이 강하고 정의(正義) 로우며 자존심(自尊心)이 강하다.사주에 관대가 없으면 공직생활이나 관직에서는 크게 현달하지 못한다. 자기 자신을 과신하거나 자기주장이 강하며 고집이 센 단점이 있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관성(官星)

 

정관(正官)·편관(偏官)을 합칭함 또는 정관

 

관인상생(官印相生)

 

일간(日干)인 나의 정관(正官)은 인수(印綬)를 생하고, 인수는 정관의 생을 받아 일주(日主)를 생하니, 정관과 인수와 일주는 상생(上生)관계가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살인상생(煞印相生)과 비슷하나 그 의의가 다르다. 살인상생은 칠살이 일주(日主)를 억압하므로 억압을 받는 일주가 인수를 用하므로 그 정신을 인수가 받아서 나(日主)를 생한다.

 

관인상생은 나의 귀성(鬼星)인 정관이 인수를 생하여 인수로 하여금 나를 생해 주니 칠살과 정관의 일주에 대한 감정은 다르다. 다만 인수 때문에 결과적으로 나(日主)를 생해 준다는 점은 마찬가지다.

 

관 재 (官災)

 

관아로부터 받는 재앙.

 

(卦)

 

오랜 옛날에 중국 복희씨(伏羲氏)가 지었다는 글. 천지간의 변화를 나타내고 길흉을 판단함.한 괘에 각각 3효(爻)가 있고, 효를 음양(陰陽)으로 나누어 8괘가되고, 이 8괘가 거듭하여 육십괘(卦)가 됨. 주역(周易)의 골자가 됨.

 

괘효(卦爻)

 

육십사괘에서 매개의 괘를 이루는 여섯 개의 획.

 

괴강

 

괴강이란 천강 진(辰)과 하괴(下傀) 戌의 준말인바 辰戌을 의미한다. 고로 괴강은 辰戌日이다. 이 辰戌이 붙는 것으로는 甲辰 甲戌 丙辰 丙戌 戊辰 戊戌 庚辰 庚戌 壬辰 壬戌의 10가지가 있으나 모두 괴강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壬辰 戊戌 庚辰 庚戌의 4가지만을 말한다.

 

괴강성은 길신(吉神)의 작용도 하고 흉신(凶神)의 작용을 하기도 하는데, 모든 길흉에 극단으로 작용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괴강이 사주에 있으면 대부(大富)·대귀(大貴)·폭패(暴敗)·재앙(災殃)·살상(殺傷)·엄격(嚴格)·총명 등의 극단으로 흐르기 쉽다.

 

이 살이 사주 일주(日柱)에 있으면 사람을 제압하는 살로서, 부귀영화가 최고에 이르게 되며 남녀 모두 똑똑하고 군인장성이나 교수, 예술가, 경찰총수, 법관, 기업체 사장들에게 많다.

 

사주가 신왕(身旺)하면 크게 출세를 하고 반대로 신약(身弱)하면 곤궁(困窮)하게 살며 각종 재앙이 많다.

 

괴강격(魁 格)

 

괴강격(魁 格)은 4일이 있으니 경진(庚辰)일, 임진(壬辰)일, 무술(戊戌)일, 경술(庚戌)일이다 진(辰)은 천강(天 ), 술(戌)은 하괴(河魁)가 되어 음양 절멸(絶滅)의 땅이다. 괴강격(魁 格)은 사주에 다시 괴강이 있으면 대권(大權)을 장악하는 운명이다. 경(經)에 이르데 괴강격(魁 格)은 무리중에서 남보다 뛰어나며발복(發福)이 빠르다. 괴강격(魁 格)은 사람이 총명(聰明)하고 문장(文章)력이 있고 일에 임(臨)하여 과단성(果斷性)이 있다. 괴강격(魁 格)이 대운에서 신왕(身旺)운을 만나면 발복이 크다

 

구설(口舌)

 

남의 입에 오르내려 시비하고 비방하는 말.

 

궁합(宮合)

 

미혼(未婚) 남녀가 장차 혼인하기 위하여 서로간의 생년월일시 즉 四柱를 대조하여 길흉(즉 부부간의 성격, 금슬은 어떠하며 일생 이별 없이 해로할 수 있는가)등을 알아보는 것.

 

궁합에는 납음(納音)으로 보는 법, 띠별로 보는 법, 사주(四柱) 간지로 보는 법 등이 있지만 가장 신빙성이 있는 것은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 간지(干支) 대조와 상생(相生) 및 삼합(三合), 육합(六合)이 좋다고 한다.

 

귀격(貴格)

 

귀하게 될 길격. 어떤 격(格)이 매우 훌륭함.

 

오행(五行)이 모두 있고, 중화(中和)를 이루었으며, 정관(正官)이 명랑한 격.

 

금극목(金剋木)

 

오행상극(五行相剋)의 하나. 나무는 금이나 쇠에 의해서 손상이 되는 이치로써 극(剋)의 관계이다.

 

(사주사전의 "상극관계표" 참조)

 

금생수(金生水)

 

오행상생(五行相生)의 하나. 바위에서 생수가 나온다는 것을 사실적으로 알고 있듯이 금(金)이수(水)를 생하는 관계이다.

 

(사주사전의 "상생관계표" 참조)

 

금수상관(金水傷官)

 

庚辛日生이 사주 가운데 壬癸亥子를 만나면 금수상관(金水傷官)이라 한다. 이 금수상관은 [관살(官煞)이 긴요하다] 하였다. 까닭은 사주가 金水로 구성되면 냉습(冷濕)해지기 쉬우므로 관(官)이 되는 丙丁火를 만나야 좋다는 뜻이다.

 

금수상생(金水相生)

 

金과 水는 상생관계다.

 

즉 바위(金)에서 생수(水)가 나오는 관계를 보면, 금은 수를 생하는 것이다.

 

("금생수" 참조, 역학사전의 "상생관계표" 참조)

 

금슬(琴瑟)

 

부부간의 정분(情分)이 거문고와 비파 소리처럼 떨어질 수 없는 다정한 부부관계. (금실이라고도 함)

 

금신격(金神格)

 

사주의 시지(時支)에 己巳 乙丑 癸酉를 놓으면 이 격이 이루어진다. 己巳 乙丑 癸酉時가 되려면 반드시 甲日이나 己日이라야 한다. 그러므로 甲己日生이 巳酉丑時 가운데 출생이면 이 격이 성립된다.

 

 이 격을 놓고 금신(金神-巳酉丑)이 왕하여 日主를 극하거나 日主의 기운을 몹시 빼내면(泄氣) 사주 가운데에서나 운에서 그 金을 억제하므로서 대귀하게 된다.

 

기토(己土)

 

기(己)는 오행의 토(土)에 해당되니 흙의 성질을 말한다. 음의 기운으로 남을 잘 믿지 않고 세심한 편이다. 종교가(宗敎家)에 많으며 직장이나 가정에 충실하다.

 

길성(吉星)

 

운명적으로 좋은 작용을 하는 성신(星神)의 총칭 → 흉성.

 

 

년주(年柱)

 

태어난 연월일시 중에서 년(年)에 대한 천간과 지지를 말한다.

 

년주(年柱)의운세

 

生年의 간지를 근(根)이라 한다. 이 년주가 운명상으로 작용하는 것은 초년(初年) 또는 일평생을 통한 운명이다. 가정적으로는 부모·조상에 대한 덕의 유무를 보고, 사회적으로는 윗사람 관계를 본다

 

단오(端午)

 

음력 오월 오일(五月五日)을 단오절(端午節)이라 한다. 이날 대궐에서는 쑥을 빚어 범(虎)의 형상을 만들어 대신(大臣)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공조(工曹)에서는 단오선(端午扇)을 만들어 궁중(宮中)과 재상(宰相)의 집에 돌렸다. 관상감(觀象監)에서는 천중적부(天中赤符-붉은 글씨로 쓴 부적. 내용은 천중적부를 궐내에 올려 문설주에 붙인다. 이는 상서롭지 못한 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예방함이다.

 

아이들은 창포탕(菖蒲湯)으로 얼굴을 씻고, 붉고 푸른 새옷을 입고, 창포뿌리로 비녀를 만들어 연지로 그 끝에 수복(壽福)이란 글자를 적어 머리에 꽂으면 온역(瘟疫)을 물리친다는 것이니 이를 단오장(端午粧)이라 한다.

 

당사주법(唐四柱法)

 

당사주는 당나라때 달마대사가 썼다는 것으로써, 년주를 기준으로 하여 보는 것이다. 보는 사람의 생년월일시에 따라 귀(貴), 액(厄), 권(權), 파(破), 간(奸), 문(文), 복(福), 역(驛), 고(孤), 인(忍), 예(藝), 수(壽)의 십이천성이 운명에 작용하는 것이다.

 

 

 

자년생(子年生)은 천귀성(天貴星)

 

축년생(丑年生)은 천액성(天厄星)

 

인년생(寅年生)은 천권성(天權星)

 

묘년생(卯年生)은 천파성(天破星)

 

진년생(辰年生)은 천간성(天奸星)

 

사년생(巳年生)은 천문성(天文星)

 

오년생(午年生)은 천복성(天福星)

 

미년생(未年生)은 천역성(天驛星)

 

신년생(申年生)은 천고성(天孤星)

 

유년생(酉年生)은 천인성(天忍星)

 

술년생(戌年生)은 천예성(天藝星)

 

해년생(亥年生)은 천수성(天壽星) 에 해당한다

 

 

 

그리하여 생년이 닿는 곳에 다시 正月을 붙여 귀·액·권·파·간·문·복·역·고·인·예·수의 순서로 출생일까지 돌려짚고, 생일 닿는 곳에 또 子를 붙여 십이지(十二支)순서로 위 순서를 돌려짚고, 생월이 닿는 곳에 또 初一日을 붙여 위 순서로 출생일까지 돌려 짚고, 생일 닿는 곳에 또 子를 붙여 십이지(十二支) 순서로 위 순서를 돌려 짚는다.

 

천귀-귀함, 천액-재액, 천권-권세

 

천파-파패, 천간-간지(奸智), 천문-학문·문재

 

천복-복록, 천역-풍상·활동, 천고-고독

 

천인-살상, 천예-재능·예술, 천수-장수·고독

 

생년은 초년운을 보며,

 

생월은 중년운을 보며,

 

생일은 말년운을 보며,

 

생시는 노년운 및 평생총운을 본다

 

대서(大暑)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12번째 절기이다. 음력 유월 중기(六月中氣)이며, 이음(二陰)이 생(生)하는데, 양력으로는 매년 7月 23∼24日 사이에 든다. 대서란 일년 중 가장 더운 때라는 뜻이다.

 

대설(大雪)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21번째로, 음력 십일월절(十一月節)이다. 양력으로 매년 12月 7∼8日 사이에 든다. 大雪이란 눈이 본격적으로 내린다는 뜻이다.

 

대운(大運)

 

사주(四柱)의 길흉을 판단하기 위한 十年間의 기준점을 말한다.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에서 그림 참조)

 

(서화당인생풀이의 만세력 참조)

 

대한(大寒)

 

二十四節氣 가운데 마지막 절기이다. 양력으로는 매년 1월 20일∼21일 중에 든다. 대한이란 겨울 중에 가장 추운 때라는 뜻이다.

 

도화살(桃花殺)

 

도화살은 함지살(咸池殺) 또는 목욕살(沐浴殺) 혹은 패신(敗神)이라고도 한다.

 

申子辰(年日)-酉 巳酉丑(年日)-午

 

寅午戌(年日)-卯 亥卯未(年日)-子

 

예를들면, 申子辰年日에는 사주 가운데 酉가 있으면 도화(桃花)다. 사주에 도화가 있는 사람은 이성(異性)을 끄는 매력이 있으며, 자신도 풍류와 낭만(浪漫)을 즐기게 된다.

 

동지(冬至)

 

24절기 중에서 22번째 절기다. 양력으로는 12월 22∼23일 사이에 든다. 동지란 겨울철의 가장 중간 절기로서, 동지(冬至)바로 전까지 음기(陰氣)가 왕성하다가 동지가 드는 날부터 양기(陽氣)가 비로소 왕성해진다.

 

동지 무렵이면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 이날부터 낮 길이가 점차 길어지고, 밤은 점차 짧아지게 된다.

 

득령(得令)

 

木火土金水 오행이 제 때를 만남. 즉 오행이 왕(旺)하는 때를 만난 것이 득령이다.

 

예를들면,

 

甲乙木 - 寅卯辰에 月生 -木이 봄을 만남

 

丙丁火 - 巳午未에 月生 -火가 여름을 만남

 

戌己土 - 辰戌丑에 未月生-土가 사계월을 만남

 

庚辛金 - 申酉戌에 月生 -金이 가을을 만남

 

壬癸水 - 亥子丑에 月生 -水가 겨울을 만남

 

三月의 辰土는 木을 간직한 土다.

 

六月의 未土는 火를 간직한 土다.

 

九月의 戌土는 金을 간직한 土다.

 

十二月의 丑土는 水를 간직한 土다.

 

그러므로

 

寅卯辰은 木旺節이다.

 

巳午未는 火旺節이다.

 

甲由戌은 金旺節이다.

 

亥子丑은 水旺節이다.

 

등사(騰蛇)

 

육신(六身)의 하나. 己日을 사령한 中央의 토신(土神)이다. 육신(六身)은 甲乙은 청룡(靑龍)·丙丁은 주작(朱雀)·戌日은 구진(句陳)·己日은 등사(騰蛇)·庚辛은 백호(白虎)·壬癸는 현무(玄武)라 한다.

 

만화방창(萬化方暢)

 

따뜻한 봄날에 온갖 생물이 한창 피어나 자람.

 

망신(亡身)

 

사주에 망신(亡身)이 있으면 일명 관부살(官符煞) 또는 파군살이라고 한다. 주로 주색(酒色)으로 다른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수치를 당한다는 살이다.두뇌가 총명(聰明)하고 성질은 급한 편이며 초년에는 여러 가지 일이 자신이 바라던 대로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독선적이고 이기적인 행동이 나타나서 일을 주도하는편이며 대기만성(大器晩成)하는 사람이 많다.

 

망종(芒種)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9번째 절기이다. 이날부터 오월 월건(五月月建)이 시작이 된다. 그리고 양력으로 매년 6월 6∼7일 사이에 든다. 모내기를 시작하고 보리가 누렇게 익으며 더위가 시작되는 때이다.

 

명리학(命理學)

 

명리학은 다른 말로 사주팔자(四柱八子)를 보는 법이다. 자기가 출생한 생년월일시를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인생의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학문이다.

 

명리학을 다룬 서적은 주로 아래와 같다.

 

당사주(唐四柱). 명리정종(命理正宗). 연해자평(淵海子平). 삼명통회(三命通會). 하락리수(河洛理數). 자평진전(子平眞詮).

 

적천수(適天髓). 궁통보감(窮通寶鑑). 자미두수(紫薇斗數). 오조결(五條訣). 조화원략 등 상당한 많은 서적들이 있다.

 

목극토(木剋土)

 

오행상극(五行相剋)의 하나. 나무는 위로 성장하면서 흙으로 뿌리를 내리지만, 흙은 뿌리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극(剋)의 관계이다. (사주사전의 "상극관계표" 참조)

 

목생화(木生火)

 

오행상생(五行相生)의 하나. 나무는 불을 만들기 때문에 목(木)은 화(火)를 생하게 하는이치이다. (사주사전의 "상생관계표" 참조)

 

목욕(沐浴)

 

목욕은 함지(咸池)또는 패지(敗地)라고 하며 색욕(色慾)과 구설(口舌)에 휘말린다고 하여 흉(凶)한 별로 생각한다. 사주(四柱)에 목욕이 있으면 일명 도화(桃花)살 이라고 하며, 사치(奢侈)와 허영(虛榮)을 좋아하고 주색(酒色)을 좋아한다. 사주(四柱)의 구성이 좋으면기술(技術), 예술(藝術), 문장(文章)이 우수하다.특히 여성에게는 색정(色情)의 신(神)이라 하여 주색과 색난으로 망신을 당한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목화상관(木火傷官)

 

갑기일(甲乙日)生이 사오미(巳午未)月에 생하거나 사주 가운데 丙丁巳午가 있으면 목화상관이 된다. 사주가 木火로 대부분 차지하면 건조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庚辛 관살이나 壬癸 인성으로 윤습(潤濕)해 주어야 길하다고 한다.

 

(墓)

 

묘는 장신(葬神) 또는 창고(倉庫)나 묘지(墓地)라고 하며 축적(蓄積)하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사람이 죽어서 관(棺)속으로 들어가는 격이라 폐쇄(閉鎖)적이고 융통성(融通性)이 결여 된 것으로 본다. 침착하고 내성적이며 재물(財物)에 대한 집착심이 강하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묘목(卯木)

 

묘(卯)는 오행의 목(木)에 해당되니 나무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이며, 地支 순번은 4번째이다. 절기로는 중춘(仲春)인 二月인데 짐승의 이름은 卯를 토끼라 한다.

 

묘미합(卯未合)

 

亥卯未가 三合이나, 卯가 未만 만나도 반합(半合)이 된다.

 

("반합" 참고, 역학사전의 "삼합오행조견표" 참조)

 

묘술합(卯戌合)

 

卯와 戌은 六合이 된다.

 

("육합" 참고)

 

묘신원진(卯申怨嗔)

 

卯와 申. 즉 토끼와 원숭이는 서로 원진(怨嗔) 관계가 된다.

 

("원진" 참고)

 

묘오파(卯午破)

 

지지(地支)의 묘(卯)와 오(午)는 서로 파(破)한다.

 

("파" 참고)

 

묘유상충(卯酉相沖)

 

卯와 酉는 서로 충(沖) 한다.

 

("충", "간충", "지지상충" 참고

 

묘유충(卯酉沖)

 

卯와 酉는 서로 충(沖)이 된다.

 

("묘유상충" 참고)

 

무계합(戊癸合)

 

戊와 癸가 만나면 합(合)을 이룬다.

 

("합" 참고)

 

무정지합(無精之合)

 

戊와 癸가 간합(干合)을 이루어 오행은 火로 변한다. 이 합을 무정지합(無精之合)이라 한다

 

무토(戊土)

 

무(戊)는 오행의 토(土)에 해당되니 흙의 성질을 말한다. 양의 기운으로 아무 환경이나 적응 능력이 우수하다. 심지가 깊고 신의가 강하며 효도하는 마음이 깊다. 자기중심이 강하고 직장이나 가정에 충실하다. 실속이 강하고 손해보는 일은 안하며 아첨을 싫어한다.

 

미토(未土)

 

미(未)는 오행의 토(土)에 해당되니 흙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이며, 未는 十二支 순서로 8번째로 六月에 해당한다. 띠로는未를 양이라 한다.

 

 

반안(攀鞍)

 

반안(攀鞍)살은 출전하려는 장군이 말안장을 준비하는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승진과 출세를 상징하며 좋은 운세로서 일명 금여록이라고도 한다. 또한 이것은 인생의 많은 역경과 고난을 극복하고 편안한 위치에 도달해서 자신의 과거를 돌아본다는 뜻도 된다. 이 살이 사주에 있으면 말솜씨가 뛰어나고 지도력이 있으며 임기응변(臨機應變)이 능하다. 또한 의식이 풍족하고 어떠한 상황에 처해도 슬기롭게 헤쳐나가는 융통성이 있다. 학생이라면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게 되고 사업을 경영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을 도와주는 사람이 많으며 하는 일이 순조롭게 발전한다. 또한 자식이 크게 성공할 수 있는 운이라고 할 수 있다.

 

반합(半合)

 

3개의 합되는 지(支)가 모두 만나면 삼합(三合)이라 하고 삼합되는 支에서 2개의 支가 만나는 것을 반합(半合) 또는 반회(半會)라 한다.

 

三合 半合

 

申子辰(水) 申子 申辰 子辰 (역시 水)

巳酉丑(金) 巳酉 巳丑 酉丑 (역시 金)

寅年戌(火) 寅年 午戌 寅戌 (역시 火)

亥卯未(木) 亥卯 亥未 卯未 (역시 木)

 

(역학사전의 "삼합오행조견표" 참조)

 

반회(半會)

 

반합(半合)과 같은 뜻

 

방국(方局)

 

("지지회방" 참조

 

백호대살(白虎大殺)

 

대살백호라고도 칭한다. 일명 오귀살이라고도 한다. 이 살은 갑작스런 사고로 피를 흘리고 쓰러지는 혈광사(血光死)에 해당되며,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아주 흉한 살이다. 사주 가운데 이살이 있으면 그살과 연관있는 육친에게 액(厄)이 이른다고 한다.

가령 甲辰日生이라면 백호대살이니 日支 辰은 甲日의 편재(偏財)요, 편재는 육친관계로 부친(父親)이다. 고로 부친이 병약하거나 일찍 사별(死別)하는 수가 있다는 것이다.

 

백호대살의 조견표는 다음과 같다.

戊辰 丁丑 丙戌 乙未 甲辰 癸丑 壬戌

가령 사주의 어느 곳에 있어도 백호대살이 된다

 

(病)

 

병이란 사람에 비유하면 늙어서 병이 들어 본래의 모습을 잃었다. 기력은 떨어졌으나 산전수전(山戰水戰) 모두 격은 터라 지모(智謀)는 출중하나 실행력은 부족하다. 조용하고 신체가 병약하다. 공상(空想), 망상(妄想)을 좋아하고 남을 돕는 것을 좋아한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병신합화수(丙辛合化水)

 

丙과 辛이 만나면 합(合-干合)이다.

 

병화(丙火)와 신금(辛金)이 丙辛合化하면 오행은 水가 된다.

 

("합" 참조)

 

병화(丙火)

 

병(丙)은 오행의 화(火)에 해당되니 불의 기운을 말한다. 양의 기운으로 명랑쾌활하며 비밀이 적고 개방적이다. 예의가 바르고 자존심(自尊心)이 강하다. 인자(仁慈)하고 너그러우나 참을성은 부족한 편이다.

 

복록(復祿)

 

원래의 봉록(俸祿)을 받게 됨

 

부귀겸전(富貴兼全)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여러 가지를 다 갖추어 완전함

 

비겁(比劫)

 

비견(比肩)과 겁재(劫財)를 합칭한 말.

일간(日干)과 오행이 같으면 비겁(比劫)이라 한다.

 

비견(比肩)

 

비견은 나의 일간(日干)과 동일(同一)한 오행일 때 나와 같다고 하여 견줄 비(比), 어깨 견(肩) 즉 나와 어깨를 같이 할 수 있다고 하여 이름 붙혀진 것이다. 음일(陰日)은 음(陰)을 보고 양일(陽日)은 양(陽)을 보고 나와 같은 오행이면 비견(比肩)이라고 한다. 나와 같은 고로 형제(兄弟), 친구라고도 한다

 

(死)

 

사(死)는 만물이 시들고 수명이 다하여 죽어있는 형상이다. 욕망과 희망이 없으며 적극성이 결여되어 마음은 착하고 매사에 순종적이고 동정심이 많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사유축금(巳酉丑金)

 

사유축(巳酉丑)은 삼합(三合)하여, 五行은 金으로 변한다.

 

(역학사전의 "삼합오행조견표" 참조)

 

사유축합금(巳酉丑合金)

 

巳酉丑이 三合으로, 오행은 金이다.

 

("사유축금" 참조)

 

사유합(巳酉合)

 

巳와 酉와 만나도 合이 된다.

이를 반합(半合)이라 한다. 오행은 金이다.

 

("반합", "반회" 참조)

 

사주(四柱)

 

태어난 生年 生月 生日 生時를 네 개의 기둥으로 보는 것이며, 간지(干支)로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의 4가지를 합칭한 말이다.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 그림과 "사주팔자" 참조)

 

사주팔자(四柱八字)

 

사주팔자란 태어난 생년월일시 즉, 생년을 연주(年柱), 생월(生月)을 월주(月柱), 생일을 일주(日柱), 생시(生時)를 시주(時柱)라 하여 四柱(네 기둥)라 하고, 생년월일시는 각각 천간과 지지(干支)로 되어 모두 여덟 글자로 구성되었으므로 팔자(八字)라 한다.

 

사주팔자에는 육십갑자(육갑)을 알아야 한다.

 

육갑은, 천간(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과

지지(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를

순서대로 짚어가면 60개 나온다.

 

사해상충(巳亥相沖)

 

지충(支沖) 또는 육충(六沖)의 하나로 巳와 亥는 서로 충돌하고 서로 대립관계가 된다. 뱀과 돼지는 서로 극이 되니 뱀이 불이고(巳火), 돼지가 물(亥水)이므로 물이 불을 이기는 형상(水剋火)이다.

 

("충" 참조, 역학사전의 "상극조견표" 참조)

 

사화(巳火)

 

사(巳)는 오행의 화(火)에 해당되니 불의 기운을 말한다. 양의 기운이고, 巳는 十二支 가운데 6번째이며, 절기로는 四月이다. 띠로는 巳를 뱀이라 한다.

 

살인상생

(殺印相生)

 

사주에서 편관(偏官)을 칠살(七殺)이라고 하여 나의 일간(日干)을 극제(剋制)하니 흉한 신이다. 이 때 식신(食神)으로 편관(偏官)을 극제(剋制)하거나 인수(印綏)로서 변하게 하여 흉신 노릇을 못하게 하는 방법중 하나로 후자에 속한다. 즉, 편관(偏官)은 인수(印綏)를 생하고 인수는 다시 나의 일간을 생하는 것이다.

 

삼재(三災)

 

유년신살이다. 삼재란 3가지 재난이 아니라 생년지를 기준하여 포태법(胞胎法)으로 따져 병(病)·사(死)·장(葬)이 닿는 삼년간의 재앙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예를 들어,

 

신자진(申子辰)생은 인묘진(寅卯辰)이 삼재

해묘미(亥卯未)생은 사오미(巳午未)가 삼재

인오술(寅午戌)생은 신유술(申酉戌)이 삼재

사유축(巳酉丑)생은 해자축(亥子丑)이 삼재가 된다.

 

삼합(三合)

 

지삼합(支三合) 또는 지지삼합(支支三合)의 준말이며,

신자진(申子辰), 인오술(寅午戌),

사유축(巳酉丑), 해묘미(亥卯未)가 삼합이 된다.

 

(역학사전의 "삼합오행조견표" 참조)

 

삼합금(三合金)

 

삼합(三合)으로 변하여 이루어진 金이니 사유축금(巳酉丑金)이라 한다.

 

("사유축금" 참조, 역학사전의 "삼합오행조견표" 참조)

 

삼합목(三合木)

 

삼합(三合)으로 변하여 이루어진 木이니,

즉 해묘미목(亥卯未木)을 삼합목이라 한다.

 

(역학사전의 "삼합오행조견표" 참조)

 

삼합방(三合方)

 

지지(地支)로 삼합을 이룬 방위.

즉 신자진방(申子辰方), 사유축방(巳酉丑方),

해묘미방(亥卯未方), 인오술방(寅午戌方)이다

 

삼합오행(三合五行)

 

십이지(十二支)마다 각각 고유의 오행이 있으나 支가 삼합을 이루면 본질적인 오행이 변화하여 다른 오행을 이룬다. 단 子午卯酉는 三合을 해도 오행은 같고, 그 오행의 氣가 왕성해진다.

 

申子辰一水 巳酉丑一金

寅午戌一火 亥卯未一木

 

(역학사전의 "삼합오행조견표" 참조)

 

삼형(三刑)

 

인사신형(寅巳申刑), 축술미형(丑戌未刑), 자묘형(子卯刑), 진오유해자형(辰午酉亥自刑:辰辰 午午 酉酉 亥亥)등 지형(支刑)을 일반적으로 삼형이라 부른다.

원칙적으로 寅巳申 丑戌未만 삼형이고, 子卯는 상형(相刑)이며, 辰午酉亥는 자형(自刑)이라 하지만 모든 형(刑)을 그냥 삼형 또는 삼형살(三刑殺)이라고 한다

 

삼형살(三刑煞)

 

음부경(陰符經)에 이르기를 은혜(恩惠)는 방해(妨害)하는데서 생기고 해(害)는 은혜(恩惠)에서 생기고 삼형(三刑)은 삼합(三合)에서 생긴다고 한다. ▶삼형살(三刑煞) 은 상충(相庶)다음으로 흉한살이다 ▶사주에 삼형살이 있으면 정신력이 강하고 다소 냉정한 편이며 고집이 세고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정의롭고 의리(義理)가 강한 사람이다. 나라를 사랑하는 애국심이 많고 권력을 갖거나 법을 집행하고 총칼을 잡는 군인, 경찰, 의사, 간호사, 법관에게 많다 몸에 흉터가 있거나 수술하게 된다. 삼형이 많으면 항상 동분서주(東奔西走)바쁘고 쉴 사이가 없다.▶시세형(恃勢刑) : 인사신(寅巳申) 삼형(三刑), 인(寅)형 사(巳), 사(巳)형 신(申) 인사신(寅巳申)은 오행의 록지(祿地)여서 자기 세력만 믿고 함부로 행동하다 화(禍)를 당한다.▶무은형(無恩刑) : 축술미(丑戌未) 삼형(三刑), 축(丑)형 술(戌), 술(戌) 형 미(未) 똑같은 형제끼리 서로 다툰다하여 은혜(恩惠)를 모른다. 위장병으로 고생하며 위경련 등에 조심해야 된다. 피부질환으로 고생한다.▶무례형(無禮刑) : 자(子)형 묘(卯), 묘(卯)형 자(子) 자(子)는 물에 속하고 묘(卯)는 나무에 속하는데 수생목(水生木)하나 자식이 어머니를 해(害)한다고 하여 무례(無禮)하다고 한다. 성격이 강하고 신장, 방광이 약하다.▶자형(自刑) : 진(辰)형 진(辰), 오(午)형 오(午), 유(酉)형 유(酉),해(亥)형 해(亥) 같은 글자 끼리 서로 싸운다고 자형이라고 한다. 스스로 비관하고 독립심이 약한 편이다.

 

상강(霜降)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18번째 절기이다. 추분과 입동사이의 절기이다. 양력으로는 10월 23∼24일 사이에 든다(음력 9월중). 상강은 서리가 내린다는 뜻이며 이날부터 오음(五陰)이 생(生)한다.

 

상관(傷官)

 

상관은 나의 일간(日干)의 기운을 설기(洩氣)하는 신이다. 나에게 가장 중요한 정관(正官)을 극제(剋制)하니 관을 상하게 한다고 하여 상관이 된다. 조모(祖母)에 해당하고 여자에게는 자식이 된다. 나의 기운을 외부로 발설하니 다른 사람보다 나은 재주가 있고 두뇌가 명석하며 예술성과 학문에 관심이 많다. 일간이 약하면 상관은 흉신(凶神)이 되고 일간이 강하면 오히려 길신(吉神)이 된다.

 

상관격(傷官格)

 

상관은 월지(月支)의 지장간(支藏干)의 오행이 천간에 투출되어 상관이 되는 것을 말한다. 상관격(傷官格)에 일간이 강하면 재성(財星)을 용신으로 하여 식상(食傷) 생재(生財)하는 것이 좋다. 이때비겁(比劫)과 인수는 꺼린다.

 

상관생재격

 

사주가 신왕하면 재성(정재, 편재) 또한 강할 때 나의 일간과 재성 사이를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이 통관시켜 줌으로써 나의 기운을 설기하고 재성을 튼튼하게 해주는 격.

 

상극(相剋)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五行은 서로 극하는 것이 있다.

금극목(金剋木),

목극토(木剋土),

토극수(土剋水),

수극화(水剋火),

회극금(火剋金)이 있다.

金은 木을 극하고, 木은 土를 극하고, 土는 水를 극하고, 水는 火를 극하고, 火는 金을 극하는 관계이다. ↔ 상생(相生)

 

(역학사전의 "상극관계표", "상생관계표" 참조)

 

상생(相生)

 

오행(五行)의 상생(相生)은 아래와 같다.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이 있다.

金은 水를 생하고, 水는 木을 생하고, 木은 火를 생하고, 火는 土를 생하고, 土는 金을 생한다.

 

(역학사전의 "상생관계표", "상극관계표" 참조

 

상생상극(相生相剋)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이니 아래와 같다.

 

상생(相生) - 金生水 水生木 木生化 火生土 土生金

상극(相剋) - 金剋木 木剋土 土剋水 水剋火 火剋金

 

역학사전의 "상생/상극 관계표" 참조

 

상충살(相沖殺)

 

사주의 살성(殺星)인데 子午相沖과 같은 상충이 아니다. 명(命)에 이 살이 있으면 남자는 질병 등 신액(身厄)이 있고, 여자는 산액(産厄)이 있다. 상충살은 아래와 같다.

 

子午生-八月 丑未生-九月 寅申生-十月

卯酉生-十日月 辰戌生-十二月 巳亥生-正月

 

생조(生助)

 

어떤 오행이 힘이 약하여 도움이 필요할 때 이를 생해주거나 같은 오행으로 그 힘을 거들어 줌. 가령 어떤 오행이 木이라면 水가 생(生)이요 木이 조(助)가 된다.

 

()

 

어떤 오행이 어떤 오행을 생해 주면 자연 그 기운이 빠지므로 설(泄) 또는 설기(泄氣)라 한다. 예를 들어 木이 火를 만나면 木生火로 木의 기운이 火에 빠진다.

 

설기(泄氣)

 

기운이 생. 어떤 오행을 생하려면 자연 그 기운이 생해 주는 오행에 빠진다. 예를 들어 水가 木을 만나면 水生木으로 水의 기운이 木에 빠져나간다. (泄)과 같은 뜻. 이날은 천지음양(天地陰陽)이 배합(配合)되는 날이니 무슨 일을 하든지 재앙이 사라지고 허물이 없다. 고로 출행, 혼인, 건축 및 수리하는데 대길하다고 한다.

 

甲年-己 乙年-庚 丙年-辛 丁年-任 戌年-癸

己年-甲 庚年-乙 辛年-丙 壬年-丁 癸年-戊

 

섬머타임(Summer Time)

 

여름 시간인데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낮 길이가 긴 여름부터는 출퇴근 시간을 빠르게 하여 효율적인 근무시간을 이용하고자 1951년 5월 1일부터 12시를 12시30분으로 30분 빠르게 앞당겨 사용하다가 여름이 지나면 이를 해제하여 종전과 같이 사용하여 왔다. 고로 명리학 추리상 사주(四柱)를 정할 때는 반드시 이 섬머 타임이 드는 해와 날짜를 참고하여 시간을 맞추어야 한다.

 

1951. 5. 1 ∼ 9. 8일까지      1954. 3.21 ∼ 9.21일까지

1955. 5. 6 ∼ 9.21일까지      1956. 5.20 ∼ 9.29일까지

1957. 5. 5 ∼ 9.21일까지     1958. 9. 4 ∼ 9.21일까지

1957. 5. 4 ∼ 9.19일까지     1987. 5.10 ∼ 10.11일까지

1988. 5. 8 ∼ 10. 9일까지

 

세운(歲運)

 

매년의 간지(干支)에 따른 1년간의 운수를 말한다.

 

 

소만(小滿)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8번째 절기이다. 입하와 망종사이에 드는 절기이다. 음력 四月의 중기(中氣)이며 양력으로는 매년 5월21∼22일 안에 든다.

소만부터 육양(六陽)이 生하는데 모가 한창 자라나며 만가지 초목이 한창 자라나는 시기이다. 이 때가 지나면 초목이 굳고 억세어지는데, 한창 무성하고 가득차기 전이라고 하여 소만(小滿)이라 한다.

 

소설(小雪)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20번째 절기이다. 十月中氣이며 양력으로 매년 11월22∼23일 사이에 든다. 눈이 조금씩 내리기 시작하는 때라는 뜻에서 소설이라 한다.

 

소한(小寒)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가운데 23번째 절기이며 동지와 대한 사이의 절기이다. 이날부터 음력 十二月의 월건(月建)이 시작되며 양력으로는 1월 6∼7일 경에 든다. 소한이란 겨울 절기중에서 가장 추운 때이다.

 

(衰)

 

한 낯의 뜨거웠던 태양이 일락서산(日落西山)하는 형상이니 달도 차면 기울고 꽃도 피면 시드는 이치이니 점점 기운이 떨어지는 것과 같다. 그러나 사주(四柱) 구성이 좋고 길성(吉星)이 도와주면복이 된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수극화

(水剋火)

 

오행상극(五行相剋)의 하나.

 

 즉 水는 火를 극한다. 물은 아래로만 내려가는 성질이 있고, 불은 반대로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어 서로 상반되며, 물이 불을 끄는 이치도 극한다고 할 수 있다.

 

(역학사전의 "상극관계표" 참조)

 

수목상관

(水木傷官)

 

임계일생(壬癸日生)이 인묘진(寅卯辰) 月에 생하거나 사주 가운데 갑을인묘(甲乙寅卯)의 식상이 있으면 이에 해당한다. 壬癸日生이 (傷官格)을 놓고 관살을 만나면 불길하다고 한다.

 

수목상생(水木相生)

 

水와 木은 상생관계다.

즉 물은 나무를 도와서 생해주니 물과 나무는 떨어질 수 없는 관계 로 볼 수 있다.

 

(역학사전의 "상생관계표" 참조)

 

수생목(水生木)

 

오행상생(五行相生)의 하나.

즉 나무는 물을 먹어야 사는 것이니 수는 목을 생하는 관계이다.

 

(역학사전의 "상생관계표" 참조)

 

순행

(順行)

 

육십갑자(六十甲子) 십이지(十二支)를 순서대로 돌려 짚는 것을 말한다.

 

순환상생

(循環相生)

 

사주 가운데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오행이 모두 갖추어져 生하고 생함이 끊임없이 되고 있음을 말한다. 즉 金生水,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식으로 오행이 어느 것에서부터 생하든지, 생하여 나가는 것이 막힘이 없다는 뜻이다.

 

술묘합

(戌卯合)

 

戌은 卯를 만나면 戌卯가 合을 이루어 五行은 火로 변한다

 

술미형(戌未刑)

 

축술미(丑戌未)는 삼형(三刑)이다. 형이라 하는 것은 부딪친 다는 의미이니 상대방과 서로 부딪쳐 서로가 손해를 보는 형상과 같다. 丑은 戌을 刑하고 戌은 未를 刑하고 未는 丑을 刑한다.

 

("형" 참조)

 

술오합

(戌午合)

 

인오술(寅午戌)의 三支가 三合이지만 戌은 午戌 또는 寅戌이 만나도 반합(半合)을 이루어 오행은 火가 된다.

 

술인합

(戌寅合)

 

인오술(寅午戌)이 三合인데 戌은 寅이나 午 하나만 만나도 午戌·寅戌로 半合이 되어 오행은 火로 化한다.

 

술토(戌土)

 

술(戌)은 오행의 토(土)에 해당되니 흙의 기운을 말한다. 양의 기운이며, 절기로는 九月의 늦가을이다. 十二支 가운데 11번째로띠로는 개에 해당한다.

 

술형미

(戌刑未)

 

삼형(三刑)의 하나로 戌은 未를 형(刑)한다

 

 

시간(時干)

 

시주에서 생시의 천간(天干)울 말한다.

 

시주(時柱)

 

태어난 연월일시 중에서 시(時)에 대한 천간과 지지를 말한다.

 

시지(時支)

 

시주에서 생시의 지지(地支)를 말한다.

 

식상(食傷)

 

식신(食神) 상관(傷官)을 합칭한 말.

즉 일간(日干)이 생(生)하는 자가 식상이다.

 

식신(食神)

 

식신은 다른말로 수성(壽星)이라고도 한다. 양일간(陽日干)은 양을 생하고 음일간(陰日干)은 음을 생한다. 식신은 재물을 생하는 근원이 되고 사람의 신체를 기르는 신이며 여자에게는 자녀의 신이기도 하다. 나의 일간을 극하는 신이 편관(偏官)인데 일간이 극을 받으면 장수할 수가 없다. 그런데 식신이 편관을 극하여 일간을 보호하니 식신 또는 수성(壽星)이라고 하는 것이다. 남자는 장모(丈母), 조모(祖母)이며 여자는 자식(子息)에 해당한다. 음식(飮食)과 나의 의지 언변술 등에 해당한다.

 

식신격(食神格)

 

월지의 지장간(支藏干)이 식신이 되고, 사주 천간에 투출되면 식신격(食神格)이 된다. 식신격이 파격이 안되면 수복(壽福)이 겸비된다고 하여 수성(壽星)이라고도 한다.식신격은 일간과 식신이 모두 강함을 좋아한다. 그리되면 재성(財星)을 보거나 재성(財星)대운에 크게 발전한다. 설령 대운에서 칠살(七煞)을 만나더라도 식신(食神)으로 살을 제거(除去)하게 되니두려워하지 않는다식신격은 일간이 약한 것을 제일 두려워한다

 

신강(身强)

 

일주(日主-日干)를 신(身)이라 한다. 즉 일주가 강한 것을 신강이라 한다. 인수가 많으면 신강이라 하고, 비겁이 많으면 신왕이라 구분하나 꼭 그런 것이 아니라 일주가 강해 있으면 신강 또는 신왕이라 하여 신강·신왕이 같은 뜻이다.

 

신금(申金)

 

신(申)은 오행의 금(金)에 해당되니 돌, 쇠의 기운을 말한다. 양의 기운이며, 十二支 가운데 9번째이고 띠로는 申을 원숭이라 한다.

 

신약(身弱)

 

사주일간이 강한가 약한가를 구분 하여 신왕(身旺), 신약(身弱), 중화(中和)라고 한다.판단하는 기준은 일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일곱 개 간지(干支)를 비교하여 나를 돕는 신이 몇 개인가를 보고 극하는 오행이 몇인가 보고 결정하는 것이다. 남성은 사주가 중간보다 약간 강해야 활동적이고 건강하며 남성미가 있다. 여성은 사주가 중화(中和)되고 약간신약(身弱)한 듯 해야 여성스럽고 가정 살림을 잘한다. ▷신약(身弱)사주 월지에 내가 생해주는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되는 경우는 신약하다고 한다. 그러나 월령 이외의 곳에서 인성(印星)이나 비겁(比劫)이 많을때는 별도로 보아야 한다. 월지에 나를 극(剋)하는 정관(正官), 편관(偏官)이 있는 경우는신약이라 한다. 나를 생(生)하는 오행보다 극(剋)하거나 설기(洩氣)하는 오행이많을 때 신약(身弱)이 된다.

 

신왕(身旺)

 

사주일간이 강한가 약한가를 구분 하여 신왕(身旺), 신약(身弱), 중화(中和)라고 한다.판단하는 기준은 일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일곱 개 간지(干支)를 비교하여 나를 돕는 신이 몇 개인가를 보고 극하는 오행이 몇인가 보고 결정하는 것이다. 남성은 사주가 중간보다 약간 강해야 활동적이고 건강하며 남성미가 있다. 여성은 사주가 중화(中和)되고 약간신약(身弱)한 듯 해야 여성스럽고 가정 살림을 잘한다. ▷신왕(身旺)사주 월지(月支)에 나와 같은 오행인 비견(比肩), 겁재(劫財)가 있는경우는 신왕(身旺)하다고 한다. 월지(月支)에 나를 생하는 오행인 정인(正印), 편인(偏印)이 있는 경우는 신왕(身旺)하다고 한다. 일간을 생조(生助)해주는 오행이 많으면 신왕하다고 한다. . 십이운성(十二運星)이 장생(長生), 건록(建祿), 관대(冠帶), 제왕(帝旺)이 많을 때

 

신자진삼합(申子辰三合)

 

地支 申과 子와 辰은 신자진(申子辰)으로 三合이 되어 물로 변하게 된다.

 

(역학사전의 "삼합오행조견표" 참조)

 

신자진합(申子辰合)

 

申과 子와 辰은 서로 어느 것끼리 만나도 合이 되어 물로 변하게 된다.

 

신자합(申子合)

 

申子辰 세 개가 만나면 三合이지만, 申과 子가 만나도 合이 된다.

五行은 水다

 

십간(十干)

 

10개의 천간(天干)을 칭한다.

즉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이다.

 

십신(十神)

 

십신은 나의 일간을 기준으로 하여,

비견:나의 일간과 똑같은 오행으로 음양이 같은 것.

 

겁재:나의 일간과 똑같은 오행으로 음양이 다른 것.

 

식신:나의 일간이 도와주는 것으로 음양이 같은 것.

 

상관:나의 일간이 도와주는 것으로 음양이 다른 것.

 

편재:나의 일간이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같은 것.

 

정재:나의 일간이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다른 것.

 

편관:나의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같은 것.

 

정관:나의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다른 것.

 

편인:나의 일간을 도와주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같은 것.

 

정인:나의 일간을 도와주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다른 것

 

십이운성(十二運星)

 

십이운성(十二運星)이란 포태법(胞胎法)이라고 하기도 하며, 불교의 윤회설과 같이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날 때 어머니 뱃속에 잉태(孕胎)되고 열 달 동안 자궁(子宮)에서 어머니의 양육(養育)을 받고이 세상에 태어나서 더러운 양수를 닦아내기 위하여 목욕(沐浴)을하고 성장하여 관례(冠禮)를 치루고 성인식을 하며, 사회에 나가 관록(官祿)을 먹고 인생의 전성(全盛)기를 누리다가 나이가 들어 기운이 점점 쇠약해지고 몸에는 병이 들고 신음(呻吟)하다 이 세상을 하직(下直)한다. 그리고 묘지(墓地)속으로 들어가고 기운이 완전히 끊어지고 다시 다음 세상에 남의 뱃속에 잉태되어 한 생애가 다시 시작되는 것이니 불교의 윤회(輪廻)사상과 12인연(因緣)법과 같고 사주에서도 오행의 강하고 약한 것을 십이운성(十二運星)에 비교해 보고 인생의 길흉을 판단한다.(사주사전의 "십이운성 조견표" 참조

 

십이지(十二支)

 

地支에는 동물의 열둘이 있으므로 이를 十二支라 한다.

 

즉, 子 쥐

 

丑 소

 

寅 호랑이

 

卯 토끼

 

辰 용

 

巳 뱀

 

午 말

 

未 양

 

申 원숭이

 

酉 닭

 

戌 개

 

亥 돼지 이다.

 

 

 

 

야자시(夜子時)

 

오후 11시에 0시 이전의 시간. 즉 子初.

 

(역학사전의 "주자시 야자시" 참조)

 

자시명자시(夜子時明子時)

 

야자시와 명자시는 똑같이 적용하는 책도 있고 구분하여 적용하는 책도 있으나 생년의 간지는 立春일을 기준하고 생월(生月)의 간지는 절입(節入)일을 기준하고 생일의 간지는 자(子)시가 기준이다.일(日)의 한계(限界)는 그날 24시32분이며 이 시간을 전후하여 야자시와 명자시로 구분한다. ▶야자시(夜子時) 그날 23시 32분부터 24시 32분까지를 말하며, 일진(日辰)은 바꾸지 아니하고 시간은 그 다음날 일간기준하여적용한다 ▶명자시(明子時) 00시 32분부터 01시 32분까지를 말하며, 시간은 그 날의 일간에 의하여 적용한다

 

(養)

 

양이란 어머니 뱃속에서 열 달 동안 부모의 보호를 받고 있는 아이와 같아 남에게 봉사하고 베프는 것을 잘하지만 인내심은 부족한편이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양금(陽金)

 

양에 속하는 금.

 

천간으로 庚이 양금이요, 지지로는 申이 양금이며, 괘상(卦象)으로는 건(乾)이 양금이요, 숫자로는 九가 양금이다.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 참조)

 

양남음녀(陽男陰女)

 

甲丙戊庚壬의 양간년생(陽干年生)의 남자와 乙丁己辛癸의 음간년생(陰干年生)의 여자.

 

양목(陽木)

 

양에 속하는 목. 천간으로 甲이 양목이요, 지지로는 寅이 양목이다. 숫자로는八이 양목이다. (사주사전의 "오행조견표" 참조)

 

양수(陽水)

 

양에 속하는 水. 천간으로는 壬이 양수요, 지지로는 子가 양수이며, 괘상(卦象)으로는 감(坎)이 양수요, 숫자로는 일이 양수이고 이가 음수이다.

 

양인(羊刃)

 

양인(羊刃)은 양간(陽干)에만 적용된다고 하여 양인(羊刃)이라고도 하는데, 녹전일위(祿前一位)를 원칙으로 하는 것과, 겁재성(劫財星)을 겸하게 되는 양간일(陽干日)의 양인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오행생극(五行生克) 원리로 볼 때는 양간에만 적용되어야 옳고, 신살학적(神殺學的) 입장에서 볼 때는 무조건 녹전일위(祿前一位)를 양인으로 취급하게 된다.

 

양인성(羊刃星)은 잔인한 칼날·창날을 상징하는 살성(殺星)이니 혹독(酷毒)·횡포(橫暴)·살상(殺傷)·혁명(革命)·강급(强急)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 양인성이 사주에 있어 그 힘이 강하면 일생 투쟁을 면치 못하는데 양인(羊刃)으로 용신(用神)하거나 살인상정(殺刃相停) 같은 귀격을 이루면 도리어 일약 출세한다.

 

양인가살격

 

월지에 양인이 있고 사주(四柱) 천간에 편관이 있어서 강력한 나의 기운을 누르는 것을 말하는데 사주가 이러하면 군인, 경찰, 법관, 체육인 등 무관계통에서 출세한다.

 

양인격(羊刃格)

 

양인격은 갑일(甲日)간에 묘월(卯月)생 경일(庚日)간에 유월(酉月)생 임일(壬日)간에 자월(子月)생이 된다. 병일(丙日)과 무일(戊日)의 오월(午月)생은 오중(午中) 기토(己土)가 있어 상관격(傷官格)과 인수격(印綬格)격으로 분류한다

 

양일간(陽日干)

 

천간에는 10개의 간이 있어 십간이라 한다.그 중에서 일간에 있는 음양의 성질을 말한다. 양의 성질 甲 丙 戊 庚 壬 음의 성질 乙 丁 己 辛 癸("십간", "음일간" 참조, 사주사전의 "음양오행조견표" 참조)

 

양토(陽土)

 

양에 속하는 토. 천간으로 戊가 양토요, 지지로는 辰, 戌이 양토이다. 숫자로는五가 양토이다. (사주사전의 "오행조견표" 참조

 

양화(陽火)

 

양에 속하는 화. 천간으로 丙이 양화요, 지지로는 巳가 양화이다. 숫자로는 二가양화이다. (사주사전의 "오행조견표" 참조)

 

역마

 

여기저기 돌아다니기를 좋아하며 임기응변(臨機應變)에 능하고 재능이 뛰어나다. 이사나 자리 변동이 많고 여행이나 출장 등도 빈번하다. 직업으로는 여행사, 무역업, 외교관, 운수업, 신문, 방송, 통신, 광고업 등에 진출하면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역마가 공망이면빈 수레와 같아 바쁘기만 하고 실속은 없으며 가난하게 산다. 재성(財星)이 역마이면 재물을 쉽게 구하며 어진 아내를 얻게 된다. 역마가 충(庶)을 만나면 항상 분주하고 수고롭다. 甲子辰(年日)-寅 巳酉丑(年日)-亥 寅午戌(年日)-申 亥卯未(年日)-巳 생년을 기준하기도 하고 생일을 기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甲子辰年生이 사주 가운데 寅이 있으면 역마가 된다. 또한 申子辰日生이 年支, 月支, 時支에 인이 있으면 역마가 된다.

 

역학(易學)

 

주역(周易)의 원리 및 주역에 관계되는 것을 다룬 학문.

 

일반적으로 주역 및 음양오행, 육갑법과 길흉술서를 「역학」이라 알고 있다.

 

연간(年干)

 

연주에서 생년의 천간(天干)을 말한다

 

연지(年支)

 

연주에서 생년의 지지(地支)를 말한다.

 

염상(炎上)격

 

병정(丙丁)일간이 되어야 하고, 생월이 사오미(巳午未)월에 생하여야 되고, 지지(地支)에 사오미(巳午未)의 기운과 인오술(寅午戌)삼합 화국(火局)이 되어야 하고, 사주(四柱)에 임계(壬癸)나 해자(亥子)의 극을 받지 않아야 염상(炎上)격이 성립된다. 사람됨이 예의가 바르고 대인관계를 중요시 한다.

 

염상격(炎上格)

 

四柱의 격(格) 정하는 법의 하나로 이는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에 속하며 즉 종강격(從强格)이다.염상격이 이루어지려면 丙丁 火日生이 지지에 巳午未 또는 寅午戌을 모두 만나거나 巳午火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火를 극하는 壬癸亥子의 水가 없어야 한다.

 

불(火)은 그 근본이 위로 활활 타 올라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火日主 태왕에 火에 종하는 것을 염상격(炎上格)이라 이름한 것이다. 운에서 木火土를 만나는 것을 기뻐하고 金水를 꺼리게 된다.

 

오미합(午未合)

 

지합(支合) 또는 육합(六合)의 하나로 지지 午와 未는 서로 合이 되어 火가 된다.

 

오인합(午寅合)

 

지지(地支) 寅午戌이 三合이지만 午와 寅이 만나도 午寅이 合을 이루어 五行은 火가 된다.

 

오자충(午子沖)

 

午와 子는 서로 沖한다.

 

("충" 참조)

 

오행(五行)

 

木 火 土 金 水를 총칭.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 참조

 

오행상극(五行相剋)

 

오행이 서로 극하는 관계.

 

즉 木土相剋·土水相剋·水火相剋·火金相剋·金木相剋

 

또는 木剋土·土剋水·水剋火·火剋金·金剋木.

 

(역학사전의 "상생/상극 조견표" 참조)

 

오행상생(五行相生)

 

오행이 서로 生하는 관계.

 

즉 木火相生·火土相生·土金相生·金水相生·水木相生

 

또는 木生火·火生土·土生金·金生水·水生木.

 

(역학사전의 "상생/상극 조견표" 참조)

 

오화(午火)

 

오(午)는 오행의 화(火)에 해당되니 불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이고, 午는 十二支 가운데 7번째이며, 계절로는 五月이다. 띠로는 午를 말(馬)이라 한다.

 

외유내강(外柔內剛)

 

겉으로 보기에는 부드럽고 순하나 속은 꿋꿋하고 곧음.

 

용신(用神)

 

사주팔자(四柱八字) 가운데 나에게 가장 필요한 오행(五行)을 말한다. 이 용신이 정해지면 용신을 기준으로 길흉화복(吉凶禍福)과흥망성쇠(興亡盛衰)를 예측하는 관건이 된다. 사주가 강하면 기운을 설기(洩氣)해 주는 것이며, 나를 극제(剋制)해 주는 오행이 용신(用神)이다. 사주가 신약(身弱)할 때는 나를 도와주는 인성(印星)이용신이 된다. 사주는 중화(中和)된 사주가 가장 좋은데 중화(中和)된 사주가 드물고 대개 한쪽으로 치우친 경우가 가장 많다. ▶용신(用神)법 사주팔자(四柱八字)에서는 언제나 일간(日干)이 기준이 된다.일간은 나 자신에 해당하므로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일간의 역할이 나의 일생 운세를 판가름한다. 일간을 위주로 다른 오행과 비교하여 생극제화(生剋制化)의 관계를 분석하고 사주격국을 정하여그릇의 크고 적음과 빈부귀천(貧富貴賤)을 안다. 사주는 너무강해도 안되고 너무 약해도 안된다. 사주가 약하면 도와주는 오행이 용신이다. 사주가 강하면 일간을 극제(剋制)하는 것이 용신이고 설기(洩氣)하는 것이 용신이 된다. 사주가 한냉(寒冷)하면 따뜻하게 해주는 오행이 용신이다. 사주가 건조(乾燥)하면 윤습(潤濕)하게 해주는 오행이 용신이다.

 

우수(雨水)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2번째 절기로 음력 正月의 중기인데 양력으로는 매년 二月 十九日에서 二十日 사이에 든다. 우수(雨水)란 빗물이라는 뜻이니 봄기운이 다가오고, 눈(雪)은 녹고 만물을 소생케하는 단비가 눈 대신 내리게 되는 때이다.

 

원진(怨嗔)

 

십이지(十二支)를 짐승에 분류하고, 이 십이지(十二支)에 속한 짐승끼리는 서로 미워하는 관계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 관계를 원진(怨嗔)이라 하는데 이 살(殺)은 사주(四柱) 및 남녀궁합(男女宮合) 등 여러 방면에 참고(參考)하여 본다. 명(命)에 원진살이 있거나 유년(流年)으로 원진이 닿는 해는 인덕이 없고 배은망덕(背恩忘德)을 당하며 골육(骨肉) 간에도 정이 없다고 한다. 원진(怨嗔)을 보통 쓰기 쉽게 원진(元辰)이라 많이 쓴다.

 

子-未 丑-午 寅-酉 卯-申 辰-亥 巳-戌

 

가령 子年生이 사주 가운데 未가 있으면 원진이다. 또 사주 어느 기둥이거나 막론하고 子와 未가 있으면 원진이 성립된다. 남녀궁합법에는 남녀가 가령 子年生과 未年生이 만나면 원진살이라고 한다.

 

원진은 싸움을 하고 난 다음에 풀어지지 않고 서먹서먹한 관계로 서로 미워하게 된다

 

월간(月干)

 

월주에서 생월의 천간(天干)을 말한다.

 

월령(月令)

 

태어난 달.

 

 

월주(月柱)

 

태어난 연월일시 중에서 월(月)에 대한 천간과 지지를 말한다

 

월지(月支)

 

달의 지지(支持).

 

 

正月은 寅,

 

二月은 卯,

 

三月은 辰,

 

四月은 巳,

 

五月은 午,

 

六月은 未,

 

七月은 申,

 

八月은 酉,

 

九月은 戌,

 

十月은 亥,

 

十一月은 子,

 

十二月은 丑月이 된다.

 

이 月支는 어느 해를 막론하고 일정하다. 단 월간(月干)은 년월(年月)에 따라 다르다.

 

유금(酉金)

 

유(酉)는 오행의 금(金)에 해당되니 돌, 쇠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이며, 十二支 가운데 10번째로 8월에 해당된다. 띠로는酉를 닭이라 한다.

 

유두(流頭)

 

음력 六月 十五日을 유두절 또는 유두일이라 한다. 이날을 명절로 정한 것은 신라 때부터 내려온 유속(遺俗)인데, 이날이 되면 부녀자들은 동(東)으로 흐르는 물을 찾아가서 머리를 감는다. 이유는 액(厄)을 면하고 여름철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이날에 친한 벗들이 모여 계(契)를 하고 마시며 노는 것을 유두(流頭)라 한다. 이 풍속이 지금까지 전해져 과일이나 참외 등으로 조상(祖上)에게 천신한다.

 

유묘충(酉卯沖)

 

지지 酉와 卯는 서로 沖이 된다.

 

("충" 참조)

 

유축합(酉丑合)

 

巳酉丑이 三合이지만 巳나 丑이 만나도 반합(半合)하여 오행은 金이 된다.

 

("합", "반합" 참조)

 

육십갑자(六十甲子)

 

천간(天干)의 처음글자인 갑(甲)자와 지지 처음글자인 자(子)가 시작하여 순서대로 진행하여 육십개가 조직된 것을 말한다. (甲子, 乙丑, 丙寅, 丁卯.....)

 

육친(六親)

 

부모·형제·처자의 혈육관계로 어떤 오행(五行)을 나로 가정하여, 오행의 생극비화(生剋比和)에 의하여 정해진다.

 

육합(六合)

 

("지지육합" 참조

 

육해(六害)

 

육해(六害)는 일명 육액(六厄)이라고도 하며 육친을 말하는데 부모, 형제, 자매, 처자가 해당된다. 사주에 육해가 있으면 육친에게어려움이 생기고 아니면 질병을 앓던가 또는 자연 재해나 관재수에휘말릴 수 있다.이 살이 있는 사람은 성격이 급하여 모든 일을 빨리 처리하는 습성이 있고 비밀이 많다. 여성의 경우는 산액이 예상되고 병에 조심하여야 한다.

 

윤하(潤下)격

 

임계(壬癸)일간이 되어야 하고, 생월이 해자축(亥子丑)월에 생하여야 되고, 지지(地支)에 해자축(亥子丑) 기운과 신자진(申子辰) 삼합 수국(水局)이 되어야 하고, 천간에 경신(庚辛)의 생조가 있으면좋다. 사주(四柱)에 무기(戊己)나 술미(戌未)의 극을 받지 않아야윤하(潤下)격이 성립된다. 사람됨이 두뇌가 좋고 꾀가 많다.

 

을목(乙木)

 

을(乙)은 오행의 목(木)에 해당되니 나무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으로 감각이 섬세하고 유행과 멋을 추구하고 문학이나 예술방면에 재주가 많다. 특히 손재주가 우수하다.

 

음금(陰金)

 

음에 속하는 금. 천간은 辛이 음금이요, 지지는 酉가 음금이며, 숫자로는 九가음금이다. (사주사전의 "오행조견표" 참조)

 

음목(陰木)

 

음에 속하는 木.

 

천간 乙과 지지 卯와 숫자 六은 음목(陰木)에 속한다.

 

음수(陰水)

 

음에 속하는 水.

 

천간은 癸가 음수요, 지지는 子가 음수이며, 숫자로는 六이 음수이다.

 

음일간(陰日干)

 

천간에는 10개의 간이 있어 십간이라 한다.그 중에서 일간에 있는 음양의 성질을 말한다. 양의 성질 甲 丙 戊 庚 壬 음의 성질 乙 丁 己 辛 癸("십간", "음일간" 참조, 사주사전의 "음양오행조견표" 참조)

 

음토(陰土)

 

음에 속하는 土.

 

천간 己와, 지지 丑未와, 숫자 十은 음토(陰土)에 속한다.

 

음화(陰火)

 

음에 속하는 화. 천간은 丁이 음화요, 지지는 午가 음화이며, 숫자로는 七이음화이다. (사주사전의 "오행조견표" 참조)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사주팔자(四柱八字)를 산출하기 위하여 월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절기(節氣)를 기준한다. 태양은 하루에 1도(度)씩 동에서서쪽으로 이동하여 365.2422일 걸려 1공전(空轉) 하는 것이 일년이다. 일년은 열두달이고 한달이 시작되는 날을 절(節)이라 하고, 그달의 중간을 기(氣)라고 하여 일년은 이십사(二十四)절기(節氣)가있다. 십이월 이십사(二十四)절기(節氣) 1 월 : 입춘(立春)부터 경칩(驚蟄)전까지 인월(寅月) 입춘(立春)우수(雨水) 2 월 : 경칩(驚蟄)부터 청명(淸明)전까지 묘월(卯月) 경칩(驚蟄)춘분(春分) 3 월 : 청명(淸明)부터 입하(立夏)전까지 진월(辰月) 청명(淸明)곡우(穀雨) 4 월 : 입하(立夏)부터 망종(芒種)전까지 사월(巳月) 입하(立夏)소만(小滿) 5 월 : 망종(芒種)부터 소서(小暑)전까지 오월(午月) 망종(芒種)하지(夏至) 6 월 : 소서(小暑)부터 입추(立秋)전까지 미월(未月) 소서(小暑)대서(大暑) 7 월 : 입추(立秋)부터 백로(白露)전까지 신월(申月) 입추(立秋)처서(處暑) 8 월 : 백로(白露)부터 한로(寒露)전까지 유월(酉月) 백로(白露)추분(秋分) 9 월 : 한로(寒露)부터 입동(立冬)전까지 술월(戌月) 한로(寒露)상강(霜降) 10월 : 입동(立冬)부터 대설(大雪)전까지 해월(亥月) 입동(立冬)소설(小雪) 11월 : 대설(大雪)부터 소한(小寒)전까지 자월(子月) 대설(大雪)동지(冬至) 12월 : 소한(小寒)부터 입춘(立春)전까지 축월(丑月) 소한(小寒)대한(大寒)

 

인목(寅木)

 

인(寅)은 오행의 목(木)에 해당되니 나무의 기운을 말한다. 양의 기운이며 절기로는 正月의 초봄이다. 十二支 가운데 3번째로짐승으로는 범(虎)에 속한다.

 

인성(印星)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을 합칭한 말이니 일간(日干)을 생해 주는 오행이 인성이다.

 

인성격(印星格)

 

정인격(正印格) 편인격(偏印格)을 합칭한 말이다. 월지의 지장간(支藏干)이 사주 천간에 인성(印星)이 투출(透出)하면 인성격(印星格)이 된다. 인성(印星)이란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인성(印星)은 생하는 정관이나 편관을 좋아한다. 가장 꺼리는 것은 인성을 극제(剋制)하는 재성(財星)이다. 인성격(印星格)은 정인, 편인이 많으면 부모와 인연이 없어 일찍고향을 떠나고 만년(晩年)이 외롭다. 인성격(印星格)은 문장 교육 계통으로 출세하고 명예를 드날린다

 

인수(印綬)

 

일간(日干)을 생하는 자로 음양이 다르면 정인(正印)이라 하고, 같으면 편인(偏印)이라 한다. 정인은 대인관계로 남녀가 같이 친 어머니(生母) 또는 손자로 보고, 남자는 또 장인(丈人)으로 본다. 편인이 서모·계모·이모뻘이 되니, 정인은 나를 직접 낳은 어머니가 되며, 남녀가 모두 식신(食神)을 자식으로 볼 때, 정관(正官)은 며느리, 정관이 낳은 이수는 며느리가 낳은 子이니 바로 손자가 된다. 그리고 남자의 경우(正財)가 아내이니, 아내의 어머니는 나의 장모(丈母)로 식신(食神)이요, 장모인 식신(食神)의 남편(식신(食神)의 正官)은 인수가 되니 나의 장인(丈人)으로 본다.

 

甲日-癸子 乙日-壬亥 丙日-乙卯 丁日-甲寅 戊日-丁午

 

己日-丙巳 庚日-己丑未 辛日-戊辰戌 壬日-辛酉 癸日-庚申

 

인오합(寅午合)

 

寅午戌 삼합(三合)인데 寅午 두 가지만 있어도 寅午로 合이 되고, 오행(五行)은 火로 변한다.

 

("합" 참조)

 

인해파(寅亥破)

 

지지 寅과 亥는 파(破)관계가 된다.

 

("파" 참조)

 

인해합(寅亥合)

 

寅과 亥는 육합(六合)이 된다.

 

("육합", "합" 참조)

 

인해합목(寅亥合木)

 

寅과 亥는 육합이 되는데, 그 合하여 이루어지는 오행은 木이다

 

일간(日干)

 

일진(日辰)의 천간 또는 생일의 천간인데, 이 생일간(生日干)을 일주(日主)라고도 한다.

 

일주(日柱)

 

태어난 연월일시 중에서 일(日)에 대한 천간과 지지를 말한다.

 

일지(日支)

 

생일의 지지

 

임병상충(壬丙相沖)

 

간충(干沖) 또는 천간상충(天干相沖)의 하나.

 

壬과 丙은 서로 沖이 된다.

 

즉 壬과 丙은 서로 대립한다.

 

임수(壬水)

 

임(壬)은 오행의 수(水)에 해당되니 물의 성질을 말한다. 양의 기운으로 융통성이 있고 도량이 넓다. 남과 잘 어울리고 지혜가 우수하다. 인내심이 강하지 못한 편이며 인정이 많고 정에 약하다

 

입동(立冬)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19번째로 음력 시월절(十月節)이며, 이날부터 겨울이 비로소 시작되는데 입동이 되어서야 시월월건(十月月建)을 쓴다. 그리고 양력으로는 매년 11월 7∼8일 사이에 들며 이 무렵에 논이며 밭에 보리씨를 뿌린다.

 

입추(立秋)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13번째로 가을이 비로소 시작되는 때이며 음력 칠월절(七月節)이다. 따라서 입추가 되어야 칠월 월건(七月月建)이 시작되며, 양력으로는 8월 8∼9일 사이에 든다.

 

입춘(立春)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1번째로 이날부터 새해와 음력 정월의 월건(月建)이 시작되며, 양력으로는 2월 4∼5일 사이에 든다. 그리고 입춘은 봄이 시작되는 절기이다.

 

세시풍속(歲時風俗)에 의하면 이날에 대궐과 시골에서는 입춘첩을 써서 입춘 시간을 맞추어 벽이며 기둥 그리고 대문 등에 붙인다

 

입하(立夏)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7번째로 음력 四月의 절기이며, 이날부터 四月의 월건(月建)이 시작되고, 또는 여름이 들어가는 절기이다. 그리고 양력으로는 5월 6일∼7일경에 든다.

 

자미해(子未害)

 

子와 未는 해(害)한다

 

자수(子水)

 

자(子)는 오행의 수(木)에 해당되니 물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이며, 子는 오행이 水이니 그 빛이 검고, 1년 중 十一月을 사령하고, 十二支 가운데 1번째요 짐승에 비유하면 쥐가 된다.

 

자오상충(子午相沖)

 

子와 午는 서로 만나면 沖이 된다

 

자오충(子午沖)

 

자오상충(子午相沖)과 같음.

 

자축합토(子丑合土)

 

지지 子와 丑이 만나면 合이 되는데 그 합한 오행(五行)은 토(土)다.

 

 

자형(自刑)

 

같은 支끼리 형하는 것인데, 辰刑辰·午刑午·酉刑酉·亥刑亥를 말한다.

 

잔질(殘疾)

 

몸에 병이나 탈이 남아 있는 일.

 

장생(長生)

 

장생은 탄생(誕生)의 뜻이 있는 고로, 12운성(運星) 중에서도 길신(吉神)이다. 탄생한다는 것은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창조(創造)하거나 개척(開拓)하고 규모를 확장하는 뜻이 내포 되어 있다.사주가 좋고 장생이 있으면 성격이 명랑하고 후덕(厚德)하다. 독창성이 있고 두뇌가 영리하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장성(將星)살

 

장성(將星)은 권위(權威)를 상징하며 사주에 장성(將星)이 있으면 문무(文武)를 겸비하고 승진이나 출세를 하거나 하는 사업이 번창한다. 자존심(自尊心)과 인내심이 강하고 남에게 굽히기를 싫어하기때문에 군인, 경찰, 의사, 법관계자, 스포츠맨 등이 많고 높은 지위에까지 오를 수 있다. 머리가 총명(聰明)하고 용맹스러우며 진취적이다. 또한 집념이 강해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여성이 장성살이 있으면 남편을 극하고 적극적으로 활동하기를좋아해 가정살림을 잘 돌보지 않는다. 년월에 장성이 있으며 통솔력이 뛰어나서 경찰이나 군인 등의 직업을 가지면 성공한다. 생시에이 살이 있으면 노후에 안정된 생활을 하게 된다.

 

재다신약(財多身弱)

 

사주(四柱)에 재성(財星)이 많은 반면에 일주(日柱)가 약한 것

 

재성(財星)

 

정재(正財)와 편재(偏財)를 합칭한 말.

 

일간(日干)이 극하는 오행을 재성(財星) 또는 처성(妻星)이라 한다.

 

(絶)

 

절이란 한 세대(世代)의 기운이 끊겨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것과 같다. 절처봉생(絶處逢生)이란 말이 있으니 끊어지는 것은 곧 다른 생을 만나는 것과 같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정관(正官)

 

정관은 음과 양의 극이 되는 고로 극을 하여도 피해가 없고 오히려 좋은 작용을 하게 된다. 음금(陰金)이 양목(陽木)을 극하는 것인데 이는 음금(陰金)이 전정가위가 되어 양목(陽木)인 나무를 다듬어 주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나라에는 국법이 있고 가정에는 가장(家長)이 있어 집을 다스리는 것과 같다. 정관은 귀중한 신이므로형충파해(刑沖破害)를 크게 꺼린다. 육친으로는 남자는 자식(子息)과 명예(名譽)에 해당하고 여자는 남편(男便)에 속한다

 

정관격(正官格)

 

정관격은 월지에 정관(正官)이 천간(天干)에 투출(透出)하여야 격국(格局)이 성립된다.월주(月柱)가 모두 정관이면 정관격(正官格)이 좋다. 정관은 음양(陰陽) 배우(配偶)의 극(剋)이 되어 갑(甲)일간이 신금(辛金)을 보는것과 같다. 음과 양의 극이 되니 마치 나무를 전정가위로 전지(剪枝) 해주는 것과도 같아 극이 되어도 피해가 없고 오히려 좋다. 여자에게는 정관이 남편이 된다. 정관은 나라를 다스리는 법률(法律)과 같고 가정을 다스리는 가법(家法)과 같다. 국가에는 대통령이 있고 가정에는 가장(家長)이 있는 것과 같다. 정관격은 형충파해(刑庶破害)를 크게 꺼린다. 정관격(正官格)에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많으면 파격(破格)이되어 가난하게된다.정관격(正官格)은 일간(日干)이 강하고 정인이 있으면 국가의 관리(官吏)나 교육자(敎育者)로 승승장구 하여 귀하게 된다. 만약 관(官)이 있고 인성(印星)이 없으면 명예를 얻기 힘들고 인수(印綬)가있고 관(官)이 없으면 입신출세(立身出世)가 늦다.

 

정인(正印)

 

정인은 음양이 다른 오행이 나의 일간을 생하는 데, 부모신 또는 공부신 이라고도 한다. 또다른 말로는 인수(印綬)라고도 한다. 육친(六親)으로는 어머니에 해당하고 상관(上官), 문서, 인장과 같고인정과 신망이 있다. 사주에 재성(財星)이 있는 것을 가장 꺼리게되니 인수(印綬)가 극제(剋制)를 받기 때문이다. 사주가 약한 사람은 인수(印綬)가 가장 필요하다.

 

정재(正財)

 

정재는 나의 일간에서 극제(剋制)하나 음양이 다른 것이다 재성(財星)은 정관을 생하므로 좋은 신이다. 재물은 양생(養生)하는 신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사주가 강하면 심신이 건전하여 가정생활이원만하고 재물을 마음대로 부릴 수 있으나 신약(身弱)하면 활동력이약해 돈을 벌지도 못하고 관리도 잘하지 못한다. 오히려 재물로 인해 화를 당할 수 있다. 육친에 비유하면 나의 부인이고 시부모로도본다. 정재는 정정당당한 재물이니 정기적으로 내가 노력하여 들어오는 봉급(俸給)과 같고 보수적이며 융통성은 부족하다

 

정재격(正財格)

 

정재격(正財格)은 근면 성실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며 한가지 일에 집착하여 일을하고 가정생활에 충실하다. 돈을 아껴쓰고 인색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신왕하면 자기노력으로 재산을 일으킨다. 조상의 유업(遺業)을 물려받거나 전답을 물려받아 가업을 이어 나가게된다. 성격이 완만하고 보수 적이며 개방된 것을 싫어한다.

 

정편재격(正偏財格)

 

월지의 지장간(支藏干)이 사주 천간에 재성(財星)이 투간(透干)되면 재격(財格)이라고 한다. 정재(正財)와 편재(偏財) 의 작용이 대동소이(大同小異)하므로 구분하지 않고 열거 한다. 재격(財格)은 일간이 신왕(身旺)함을 원칙으로 한다. 신왕하면식신과 상관이 좋다. 재격(財格)은 재성(財星)을 극하는 겁재(劫財)와 형충(刑庶)을 꺼린다 편재가 정재보다 재능이 있고 활동적이며 재물을 융통성 있게 잘활용하니 정재보다 나으며, 편재는 중인의 재물이므로 신왕하면 큰 재물을 모으게 되며 정재는 내가 노력하여 얻게되는 봉급과 가정의 재산과 같다

 

정화(丁火)

 

정(丁)은 오행의 화(火)에 해당되니 불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으로 예민하고 날카로우며 자기 몸을 아끼지 않고 남을 헌신적으로 돌보며 미세하고 정밀분야에 재주가 있다. 다소 성격이 급한편이나 뒤끝은 없다.

 

제왕(帝旺)

 

제왕은 크게 창성(昌盛)하다는 뜻으로 군왕과 같은 지배력과 불굴의 투지가 있으며, 남에게 간섭받는 것 을 싫어하며 대체로 좋은 별이다. 왕성한 것은 극(極)에 달한 것과 같다. 운세가 쇠퇴할징조가 보이니 경거 망동이나 오만한 행동은 금물이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조후(調候)용신법

 

사주가 춥고 덥고 건조하고 습할 때 그 기후를 조절해주는 오행이 조후(調候)용신이다. 사람의 명(命)은 천지자연과 음양오행(陰陽五行) 및 춘하추동(春夏秋冬) 사계절의 기후(氣候)에 영향을 받고 태어나는데 사람의 길흉은 사주의 구성과 격국(格局)의 좋고 나쁨으로 구분되지만 조후(調候)용신의 작용이 지대(至大)한 것이다. 중화(中和)된 사주에 조후(調候)가 적당하다면 금상첨화(錦上添花)가 될 것이다. 기후(氣候)가 조화(調和)가 되었나 안되었나가 운명의 흥망성쇠(興亡盛衰)에 많은 작용을 하게된다. 조후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따뜻하고 건조함이 태과(太過)하면 물로서 윤택하게 해야되고,두 번째는 춥 고 습한 것은 마땅히 태양으로서 따뜻하게 해야한다. 예) 甲 辛 癸 壬 午 丑 丑 辰♠위의 사주는 신금(辛金)일주가 축월(丑月)에 출생하니 금한수냉(金寒水冷)하여 흙이 모두 얼어 얼음이 되니 시지(時支)의 오화(午火)가 얼음을 녹이니 불이 추운 기후를 조절할 수 있으니 용신(用神)이 된다. 辛 壬 己 辛 亥 午 亥 亥

 

종강격(從强格)

 

종강격이란 일간이 너무나 강하고 사주가 나를 돕는 오행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인성(印星)이나 비겁(比劫)만으로 구성된 사주가 종강격이다. 사주에 재관(財官)이 하나도 없어야 된다. 대운에서 비겁운 건록, 양인운이 제일좋고 인성운도 좋다. 식상운은 강한 인성과 충극(庶剋)이 되니 반드시 두려워하고 재성운이 가장 나쁘다.관성운은 살인상생(煞印相生)이 되니 흉하지는 않다

 

종관살격(從官煞格) : 종관살이라 하는 것은 일간이 극히 신약(身弱)하고 지지(地支)에 일체의 뿌리가 없어야 한다. 사주가 일간(日干)을 제외하고 거의 관살(官煞)로만 이루어져야 이 격에 속한다.사주에 인성(印星)과 비겁(比劫), 건록과 양인(羊刃)의 도움이 없어야 된다. 사주에 재성이 있어 관살을 생해 주는 것은 좋다. 만약식상(食傷)이 있으면 파격이 된다. 음일간은 생하는게 하나쯤 있어도 쉽게 종(從)을 하지만 양(陽)일간은 생하는게 하나만 있어도 종(從)을 하지 않는다. 대운에서는 재성과 관성운을 좋아하고 식상운을 두려워한다. 만약 사주에 재성이 있으면 식상운도 꺼리지 않는다. 대운 인성(印星)운과 비겁, 건록(建祿), 양인(羊刃)운은 관살을설기(洩氣)하고 일간을 도우며 재성을 극하니 두려워하고 위험하며패망하게된다.

 

종살격(從殺格)

 

관살(官殺)에 종(從)하는 격. 관살(官殺)이란 정관(正官)·칠살(七殺)을 합칭한 말인데 원칙상 종관살격(從官殺格)이라고 해야 옳겠지만 관(官)도 많으면 살(殺)이 되기 때문에 종살격(從殺格)이라 한다. 이 격이 이루어지려면 사주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관살이 차지하므로써 신(身)이 태약(太弱)해야 한다.

 

인수(印綬)나 비겁이 있으면 인수·비겁의 힘을 믿고 종(從)을 말설임으로 진종(眞從)이 못되며, 식상(食傷) 있으면 그 왕한 살(殺)과 대항하므로 격을 이루는 데 방해가 된다. 고로 종살격을 놓으면 인수·비겁·식상이 있음을 꺼리고, 운에서도 인수·비겁·식상운을 만나면 크게 흉하다

 

종세격(從勢格)

 

종세격이란 일간이 지지(地支)에 뿌리가 없고 인성이나 비겁, 건록, 양인 등이 힘이 없으며, 사주에 관살(官煞)이나 식상(食傷)이 강해서 일간이 이를 감당할 수 없을 때 그 세력을 비교하여 오직 재성, 비겁, 식상중에서 그 강한세력을 따른다. 대운에서는 재성운이제일 좋고 관성운이 그 다음이고 식상운이 그 다음이다. 대운 비겁,건록, 양인운은 반드시 흉하게 된다.

 

종아격(從兒格)

 

종아격이란 종식상격(從食傷格)이라고도 한다. 일간이 극히 신약(身弱)하고 지지(地支)에 일간을 생조하는 일체의 뿌리가 없어야 한다. 사주가 일간(日干)을 제외하고 거의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으로만 이루어 져야 이 종아격(從兒格)에 속한다. 사주에 인성(印星), 비겁, 건록 ,양인이 없어야 된다. 사주에 재성(財星)이 있어도꺼리지 않으며 관성(官星)을 보면 파격(破格)이 되어 꺼린다. 대운에서는 식상(食傷)운, 비겁(比劫)운, 재성(財星)운을 좋아하고 인성운과 관살운을 가장 두려워한다.

 

종왕격(從旺格)

 

종왕격이란 일간이 극히 왕성하고 사주가 비겁(比劫)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건록(建祿)이나 양인(羊刃) 혹시 인성이 있는 사주가 종왕격(從旺格)이다. 관살의 극제(剋制)가 없어야 된다. 대운은 비겁운과 인성운에 좋고 사주에 인성(印星)이 약하면 식상(食傷)운도 좋다. 관살(官煞)운은 흉화(凶禍)가 생기며 재성(財星)운도 군비쟁재(群比爭財)되어 죽을 고비를 넘기게 된다.

 

종재격(從財格)

 

종재격이란 일간이 극히 신약(身弱)하고 지지(地支)에 일간을 생조하는 일체의 뿌리가 없어야 한다. 사주가 일간(日干)을 제외하고거의 정재(正財)나 편재(偏財)로만 이루어 져야 이 종재격에 속한다. 한점의 인성과 비겁(比劫), 건록(建祿)양인이 없어야 된다. 음(陰)일간은 쉽게 종(從)을 하나 양(陽)일간은 생하는 오행이 하나만있어도 종(從)하지 않는다. 종재격은 대운에서 식상운과 재성(財星)운을 좋아하고 비겁, 건록, 양인은 중도에서 의지가 변하고 크게두려워하는 운이다.

 

종혁(從革)격

 

경신(庚辛)일간이 되어야 하고, 생월이 신유술(申酉戌)월에 생하여야 되고, 지지(地支)에 신유술(申酉戌)의 기운과 사유축(巳酉丑)삼합 금국(金局)이 되어야 하고, 사주에 병정(丙丁)이나 오미(午未)의 극을 받지 않아야 종혁(從革)격이 성립된다. 사람됨이 정의롭고의리가 많으며 약한자를 돕는다

 

종혁격(從革格)

 

명리사주(命理四柱)의 격국용신법(格局用神法)의 분류에 있어 일행득기법(一行得氣法)의 하나인 庚辛 金日主에 종(從)하는 격. 이격이 이루어지려면 庚이 辛金日生이 지지에 申酉戌이나 巳酉丑으로 되어 있고,金을 극하는 丙丁午火가 없어야 한다(巳火는 酉丑이 있으면 金으로 化한다).

 

이렇게 되면 金日主가 사주의 대부분에 金으로 구성되므로 金이 극왕(極旺)하여 다른 세력으로 억제 못하니 金에 종(從)해야 한다. 金이란 西方의 숙살지기(肅殺之氣)요, 검극(劍戟)을 상징하고, 검극은 살벌(殺伐)한 혁명(革命)과 관계되므로 한번 창칼이 번쩍이므로 혁명이 이루어지고, 정변(政變)·개혁(改革)이 단행되므로 종혁격(從革格)이라 한다.

 

종화격(從化格)

 

이 격은 종격(從格)과 마찬가지로 진화(眞化)와 가화(假花)가 있다. 진화란 이 격을 이루는 데 방해가 없이 순수하게 이루어진 것이고. 가화(假化)란 쟁합(爭合) 또는 투합(妬合) 등으로 인해 화(化)하는 데 방해가 되거나 그 화신(化神)을 극(剋)하는 오행이 있으면 가화(假化)가 된다.

 

합화(合和)하는 데는 사주의 천간에 간합(干合)되는 것끼리 만나면 자연히 합화(合化)되지만 이 干合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화격(化格)이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그럴만한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합신(合神)이란 甲己合·乙庚合·丙辛合·丁壬合·戊癸合 등의 합이고, 합하여 다른 오행으로 변화(變化)하는 것을 화신(化神)이라 한다.

 

이 격이 이루어지려면 반드시 日干과 合하는 자가 月日時干 중에 있고 그 합화된 오행 월(五行月)에 출생하여 사주 가운데 화신(化神)과 같은 오행이 干支에 많아야 한다. 예를 들어 甲日主의 합은 己인데 己土가 月이나 時干에 있으면 甲己가 합하여 화신은 土이니 월령(月令)에 辰戌丑未의 土를 만나고 기타에 戊辰戌丑未의 土를 많이 만나면 이것이 즉 화격(化格)이다

 

주자시야자시(晝子時 夜子時)

 

子時는 오후 11시에 시작되고 날짜는 오전 0시(子正)에 바뀌어 시작된다. 2시간 사이에 子時는 전날과 다음날에 이어지는 까닭에 날짜나 日辰으로는 2일 간에 든다. 그러므로 子時하면 어느 날에 해당하는 子時냐가 문제되므로 이를 엄밀히 구분하려면 주자시·야자시를 따져야 한다.

 

원칙상 주간(晝間)은 해가 뜨면서 해가 지기 전까지이고, 야간(夜間)은 해가 지면서 해가 뜨기 전까지이지만, 편리상 午前을 주간으로 하고 오후를 야간으로 간주하여 子時에 대한 시간을 구분함이다

 

주작(朱雀)

 

육신(六神)의 하나로 丙丁日의 사령신(司令神)이다.

 

즉 甲乙日은 청룡(靑龍), 丙丁日은 주작(朱雀), 戊日은 구진(句陳), 己日은 등사(騰蛇), 庚辛日은 백호(白虎), 壬癸日은 현무(玄武)가 사령함.

 

("등사" 참조)

 

지지(地支)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의 十二支를 말한다.("간지" 참조)

 

지지반합(地支半合)

 

지지에 반합이 있는데 삼합중 가운데 자(子), 오(午), 묘(卯), 유(酉)가 포함되어 양쪽 한군데 글자만 있어도 반합(半合)이 된다. 인오(寅午) 또는 오술(午戌)이 반합이 되나 가운데 글자를 빼고 인술(寅戌)은 반합이 되나 합의 힘은 미약하다 반합은 삼합의 힘보다 미약하다.

 

지지삼합(地支三合)

 

지지(地支)에서도 천간(天干)과 같이 합이 있으며 천간(天干)의 합보다 합하는 힘이 더욱 강력하다.예를들면 인(寅)은 목(木)이고 술(戌)은 토(土)이나 오(午)를 만나면 화국(火局)이 된다. 인(寅)은 불이 장생(長生)하는 자리이며, 오(午)는 불이 왕성(旺盛)한 자리이며, 술(戌)은 불이 입묘(入墓)하는 자리가 되나 세글자가 모이면 전부 불로 변하게 된다. 합이 되면 인(寅)은 나무의 성질을 버리고 불의 성질로 바뀌며 술(戌)도 흙의 성질을 버리고 불의 성질로 변하게 된다. 사유축(巳酉丑)이 만나면 금국(金局)이 되며, 신자진(申子辰)이 모이면 수국(水局)이 되고, 해묘미(亥卯未)가 모이면 목국(木局)이 된다. 지지(地支)삼합은 자오묘유(子午卯酉)의 사정신(四正神)이 위주(爲主)가 된다. 모름지기 삼합은 세 개가 다 구비 되어야 비로소 삼합이 되나 그중 하나만 없어도 반합(半合)이 된다. 삼합이 되어 나에게 필요한 오행으로 변하면 길(吉)의 작용이 많고, 나에게 나쁜 영향을 주는 오행(五行)이라면 흉(凶)의 작용이 크다

 

지지삼형(地支三刑)

 

삼형 혹은 지형(支刑)과 같은 뜻인데 모든 지형(支刑)을 포함한 말도 되고, 그냥 寅巳申三刑·丑戌未三刑형을 뜻하기도 한다.

 

("형" 참조)

 

지지상충(地支相沖)

 

충(庶)이란 오행의 성질이 상반(相反)되고 서로 극(剋)하는 것으로 방향(方向)적으로도 마주보며 대립되는 것을 말하며 서로 충돌(衝突)하는 현상이 생기게 된다, 동(東)과 서(西), 남(南)과 북(北), 물과 불, 나무와 쇠가 충(庶)이 된다. 지지상충(地支相沖)은 지지삼합(地支三合)의 반대되는 뜻을 가지고 있다. 충은 모든 살(煞)중에서 가장 흉한살이 된다. 사주에 상충(相庶)살이 있으면 매사 어려움이 많고 불안정한 생활을 하게 되고 육친과 인연이 박하고 병약(病弱)하거나 단명(短命)하는 수가 있다. 자(子)오(午) 상충(相沖) 축(丑)미(未) 상충(相沖) 인(寅)신(申) 상충(相沖) 묘(卯)유(酉) 상충(相沖) 진(辰)술(戌) 상충(相沖) 사(巳)해(亥) 상충(相沖)(예시) 甲 庚 壬 壬 申 辰 子 午♠위의 사주는 년지(年支)와 월지(月支)가 자오상충(子午相沖)되었다. 그런데 지지(地支)가 신자진(申子辰) 삼합(三合) 수국(水局)이됨으로서 충(沖)이 해소 되었다. 사주에 물이 많으니 오화(午火)가위력(威力)이 없다.

 

지지육합(地支六合)

 

지지(地支)의 합에는 삼합(三合)과 육합(六合)이 있는데 육합은 서로 다른 오행이 합(合)을 이루어 다른 오행(五行)으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 자(子)와 축(丑)이 만나면 토(土)가 되고 인(寅)과 해(亥)가 만나면 목(木)이 되고 묘(卯)와 술(戌)이 만나면 화(火)가 되고 진(辰)과 유(酉)가 만나면 금(金)이 되고 사(巳)와 신(申)이 만나면 수(水)가 되며 오(午)와 미(未)가 만나면 오(午)는 태양(太陽)이고 미(未)는 태음(太陰)이 된다. *오와 미는 합만 되고 변하지는 않는다.

 

지지장간(地支藏干)

 

지지 가운데 천간을 간직하고 있음

 

지지충(地支沖)

 

지지상충, 지충(支沖)이라고도 한다. 十二支는 서로 만나면 충하는 것이 있다.

 

즉 子午가 만나면 沖이요, 丑未사 만나면 沖이요, 寅申이 만나면 沖이요, 卯酉가 만나면 沖이요, 辰戌이 만나면 沖이요, 巳亥가 만나면 沖이다.

 

子↔午 丑↔未 寅↔申 巳↔亥 卯↔酉 辰↔戌

 

지지회방(地支會方)

 

지지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어져 있는데 자기계절의 오행이 다 모이면 방향의 국(局)을 이룬다 하여 회방(會方) 또는 방국(方局)이라고 한다. 인묘진(寅卯辰) 동방 목국(木局) 사오미(巳午未) 남방 화국(火局) 신유술(申酉戌) 서방 금국(金局) 해자축(亥子丑) 북방 수국(水局)*지지삼합 보다 그 작용은 약하고 방향과 계절을 나타낸다.

 

진토(辰土)

 

진(辰)은 오행의 토(土)에 해당되니 흙의 기운을 말한다. 양의 기운이며, 절기로는 三月의 늦은 봄에 속한다. 그리고 辰은 十二支가운데 5번째가 되고 辰을 용이라 한다.

 

 

처서(處暑)

 

二十四節氣 가운데 14번째로 七月 中氣이며, 양력으로는 매년 8월 23∼24일 사이에 든다. 처서가 되면서부터 더위가 한고비 지나고 초목은 극도로 성하여, 즉 그 해의 농사가 처서 때면 풍년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천간(天干)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의 십간(十干)은 地支의 六十甲子위에 있는 것이므로 천간(天干)이라 한다. 干 또는 십간(十干)이라 한다.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 및 그림 참조)

 

천간극(天干剋)

 

무(戊)와 갑(甲),경(庚)과 병(丙),임(壬)과 무(戊),을(乙)과 기(己),신(辛)과 정(丁),기(己)와 계(癸)는 서로 극(剋)하는 관계이다.

 

천간성(天奸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다섯 번째이다. 꾀가 많으며, 재주로써 성공을 하니 어려운 일을 당해도 극복할 수 있는능력이 있다. 권세와 부를 얻으니 즐거움이 가득하다.

 

천간오행(天干五行)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천간에 속한 오행으로 아래와 같다.

 

甲-木 乙-木 丙-火 丁-火 戊-土

己-土 庚-金 辛-金 壬-水 癸-水

 

(역학사전의 "오행조견표" 참조)

 

천간지지(天干地支)

 

간(干)은 위에 있어 하늘을 상징하므로 천간(天干)이라 하고, 지(支)는 아래에 있어 땅을 상징하므로 지지(地支)라 한다.

 

天干 -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十干)

地支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十二支)

 

천간충(天干沖)

 

천간은 여섯 번째를 지나서 일곱 번째는 서로 대립이 되니 양일간(陽日干)은 양일간(陽日干)끼리 충이 되고 음일간(陰日干)은 음일간(陰日干)끼리 충(庶)하는 것이다. 천간(天干)의 수가 여섯 번째를 만나면 합을 하지만 일곱 번째는 서로 상충이 된다. 충(庶)이란 서로 부딪치고 대립되는 것이니 한쪽은 크게 손상을 입게 된다. 갑(甲)과 경(庚)은 충(庶)하여 나무가 부러지며, 병(丙)과 임(壬)이 충(庶)하여 불이 꺼지게 되며, 을(乙)과 신(辛)이 충(忠)하여 초목(草木)이 베어지고, 정(丁)과 계(癸)가 충(庶)하여 불이 꺼지게 된다.

 

천간합(天干合)

 

간합(干合).

 

 

천고성(天孤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아홉 번째이다. 자태가 빼어나고 용모가 단정하여 모두 부러워 하지만 의지할 데가 없는고독한 사람이다.

 

천권성(天權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세 번째이다. 총명하고, 두려움없는 빼어난 용기로 문무를 겸비한 뛰어난 인물이다.권력과 덕망을 얻으며 모두의 존경대상이 된다.

 

천귀성(天貴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첫 번째이다. 부귀가 부족함이 없이 충족된다. 심신이 허약하지만 가정이나 권속이 모두정정하니 더 바랄것이 없는 부귀겸전의 생을 누린다.

 

천덕합(天德合)

 

월가길신(月家吉神)의 하나로 천덕귀인이 닿는 곳과 간합(干合) 또는 육합(六合)이 되는 곳인데 그 작용력은 천덕귀인과 같다.

 

正月-壬 二月-巳 三月-丁 四月-丙

五月-寅 六月-己 七月-戊 八月-亥

九月-辛 十月-庚 十一月-申 十二月-乙

 

천문성(天文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여섯 번째이다. 용모가 단정하고 학문에 뜻을 두어 명성과 얻고 출세을 하나 어려움이뒷따른다. 학문이 아니면 상업에 관련한 사람이 많다.

 

천복성(天福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일곱 번째이다. 말이 바르고 행실이 착하니 귀인의 도움이 많다.

 

천수성(天壽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열 두 번째이다. 천성이 정직하고, 타의 모범이 된다. 공과 사가 분명하여 모두의 존경대상이 된다.

 

천액성(天厄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두 번째이다. 노력하며 살게되고 결코 꾀를 부리거나 거짓되지 않다. 부모의 은덕을 많이받지 못하고 질병으로 고생하기 쉽다.

 

천역성(天驛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여덟 번째이다. 사방을 두루 돌아 다녀야 출세하며 부귀를 얻을 수 있으나 고생이 심하다.

 

천예성(天藝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열 한 번째이다. 문무를 겸비하였으니 재주가 출중하다. 비록 어렵더라도 중년에 성공하게된다

 

천인성(天刃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열 번째이다. 크게 실패해도 한 잔술에 지워버리는 호탕한 성품이다. 고향을 떠나새롭게 시작하면 성공하게 된다

 

천파성(天破星)

 

당사주법에서 칭하는 십이성 가운데 네 번째이다. 호기심이 많아, 일에 대한 욕심이 많다. 우직해 보이지만 재치가 있으며친구들간에도 잘 어울리고 장난도 잘하며 말이 적은 온순한 사람이많다.

 

청명(淸明)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5번째로 음력 삼월절(三月節)이며, 이날부터 三月의 월건(月建)이 된다. 양력으로는 매년 4월 4∼5일경에 든다. 이 무렵이면 완전히 따뜻해지고 온갖 꽃이 아름답게 피는 화창한 봄날이다

 

초복(初伏)

 

삼복(三伏) 가운데 맨 첫 번재 복날(伏日)인데 하지후 3번째 경일(庚日)을 초복이라 한다.

 

추분(秋分)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16번째로 팔월 중기(八月中氣)이며 가을의 한가운데이니 이 무렵이면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다. 백로(白露)와 한로(寒露)사이의 절기로 양력 9월20일경에 든다

 

축토(丑土)

 

축(丑)은 오행의 토(土)에 해당되니 흙의 기운을 말한다. 음의 기운이며, 1년중 十二月을 사령하고, 십이지 가운데 2번째이며 짐승으로는 소에 해당한다.

 

춘분

(春分)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4번째로 음력 이월 중기(二月中氣)이며 양력으로는 매년 3월 21∼22일 사이에 든다.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사이로 주야의 길이가 같다.

 

()

 

상충(相沖)의 준말. 충(沖)에는 간충(干沖)과 지충(支沖)이 있다.

 

충(沖)이란 서로 싸운다, 서로 대립한다. 적대관계를 의미.

 

충극(沖剋)

 

충은 상충을 의미하며, 상충은 천간충과 지지충으로 나눈다. 극은 오행의 상극을 말한다.

 

天干沖:甲庚沖 乙辛沖 丙壬沖 丁癸沖

地支沖:子→午 卯←酉 寅←申 巳←亥 辰 - 戌 丑 - 未

 

칠살(七殺)

편관(偏官)을 식신이나 상관으로 극제(剋制)할 때 칠살이라 한다

 

(胎)

 

태란 어머니 뱃속에 잉태 되는 것과 같다. 천지 만물이 음양(陰陽) 상교하여 새 생명이 생기는 것처럼 편안한 생활을 한다. 안정적이고 희망이 있으며 윗 사람의 인정을 받으며 길흉(吉凶)은 어머니에 의하여 결정되니 사주의 좋고 나쁨에 의해서 결정된다.("십이운성" 참조)(사용자의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이 표시되어 있음)

 

토극수(土剋水)

 

오행상극(五行相剋)의 하나.

 

즉 土는 水를 극한다.

 

(역학사전의 "상극관계표" 참조)

 

토생금(土生金)

 

오행상생(五行相生)의 하나.

 

즉 土는 金을 생한다.

 

(역학사전의 "상극관계표" 참조)

 

투간(透干)

 

사주의 지지장간에 있는 오행이 사주 천간(天干)에 나타나 있는 것.

 

(破)

 

파는 너무 과하여 넘쳐서 파손(破損)됨을 의미한다. 자(子)에서 시작하여 열번째가 유(酉)가 되는데 이것이 바로 파(破)가 된다. 자(子)유(酉), 오(午)묘(卯), 사(巳)신(申), 인(寅)해(亥), 진(辰)축(丑), 술(戌)미(未)

 

파격(破格)

 

사주(四柱) 또는 기타의 길흉을 판단하는 데 있어 구성 형태를 간단하게 표시하는 대명사(代名詞)를 격(格)이라 하는데, 이 격을 이루는 조건에 부합되지 않거나 해치는 것이 있으면 이를 파격(破格)이라 한다

 

팔자(八字)

 

생년월일시(生年月日時)의 간지(干支). 생년월일시를 사주(賜酒)라 하고 연주(年柱)·월주(月柱)·일주(日柱)·시주(時柱)에는 각각 간지(干支)의 두 글자씩 있으므로 모두 합하면 여덟 글자가 되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편관(偏官)

 

편관은 나의 일간을 극제(剋制)하며 나에게 반항하며 괴롭히는 신이다. 사주가 강하여 식신이 있어 편관을 극제(剋制)하면 오히려 나에게 권력을 안겨 다 주는 중요한 신이다. 사주가 신약 한데 다시 편관운을 만나면 흉한일이 발생한다. 육친(六親)으로는 남자는 자식에 해당하고 여자는 남편형제, 형부, 제부 등이며 무관권력 등에 속한다.

 

편관격(偏官格)

 

편관은 월령(月令)에 뿌리를 박고 천간에 편관이 투출(透出)되어 있으면 편관격이다. 갑일간(甲日干)이 경금(庚金)을 보는 것과 같다.편관은 나를 극(剋)하는 신이니 노동자와 깡패에 비유한다. 적당히통제(統制)를 하면 일간을 위하여 크게 이롭지만 통제를 못하면 일간(日干)에게 반항하며 괴롭힌다. 사주에 편관을 극(剋)하는 식신(食神)이나 편관을 화(化)하는 인성(印星)이 있으면 나에게 유용한신이 된다.전체적으로 편관격은 일간이 강해야 된다. 편관이 많으면 식신으로제하거나 인성으로 화해야 된다. 편관격(偏官格)에 편관을 극제(剋制)하는 식신(食神)이 있으면 편관(偏官)이라 하고, 식신(食神)이 없으면 칠살(七煞)이라고 한다. 편관격(偏官格)에는 일간이 강해야 편관을 제압할 수 있으며 귀(貴)하게 된다.

 

편인(偏印)

 

편인은 나와 같은 오행이 나를 생하는 것이니 재성(財星)이 없어 편인을 극제(剋制) 못하고, 식신을 보면 일명 도식(倒食)이라고도한다. 나의 귀중한 신인 식신(食神)을 극제(剋制)한다하여 넘어뜨릴 도(倒), 식신의 머리글자를 따서 식(食), 도식이라 한다. 그러나재성(財星)이 있어 극제(剋制)를 하면 편인이라고 한다. 육친(六親)으로는 이모(姨母) , 계모, 할아버지에 해당한다.

 

편인격(偏印格)

 

이를 도식격(倒食格)이라고도 하는데 편인으로 격이 이루어짐을 말한다. 甲木이 壬水를 보면 이것이 편인으로 양간(陽干)이 양간을 생하면 편인성(偏印星)이라 한다. 편인격도 다른 격과 마찬가지로 편인이 투출하여 월령(月令)에 뿌리를 박고 있으면 이루어지고 그렇지 않으면 사주 가운데 편인이 왕해 있으면 편인격으로 본다.

 

이 사주는 癸日의 편인인 丑中辛金(月令)이 月干에 투출하여 편인격이다. 癸水가 丑月에 실령(失令)이나 水 분야의 겨울 生인 중 丑中癸水에 근하여 태약(太弱)은 면하였다. 다행히 月干辛金이 생해주니 辛金 편인으로 용(用)한다.

 

月日支 丑未土 살(殺)이 무서우나 土는 生金하므로 살인상생(殺印相生)되었고, 時柱 甲寅 상관(傷官)은 인수의 제지를 받아 염려할 것 없다. 불행히 火土의 역운(逆運)을 계속 만나 일생 뜻을 펴지 못하였다.

 

편재(偏財)

 

편재는 일간에서 음양이 동일한 것을 극제(剋制)하는 것이다 편재는 중인(衆人)의 재물이니 나의 사주일간이 강해야 노력하여 재물을얻을 수 있는데 일간이 약하면 재물을 감당할 수 없다. 재물은 양명(養命)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귀중한 신이다 현대사회에서 재물이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과 같다. 사주가 강하면 재능(才能)이 우수하고 융통성이 많으며 자유자재로 활용하여 큰 재물을 얻게 된다 육친으로는 아버지 애인 처남 숙부 고모 가 해당하며 여자에게는 시어머니가 된다.

 

편재격(偏財格)

 

편재격(偏財格)은 재물을 가볍게 생각하고 요령이 좋고 융통성이 많아 여자관계가 복잡하다. 고향떠나 타향에서 자수성가하며 신약하면 재물이 모이지 않는다. 풍류를 즐기고 가정을 돌보지 않는 습성이 있다. 성격이 급하고 초조한 형상이고 운이오면 발재(發財)가빠르다.편재격(偏財格)은 비견을 두려워 하고 정재격(正財格)은 겁재를 두려워 한다

 

하지(夏至)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10번째 절기이다. 음력 오월의 중기(中氣)며 여름의 한중간절기로 이 무렵에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의 길이가 가장 짧다. 하지는 양력으로 6월21∼22일 사이에 든다.

 

한로(寒露)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가운데 17번째 절기로써 음력 九月節이다. 한로는 추분의 다음으로 양력으로는 매년 10월 8∼9일 사이에 드는데 이 무렵에 내리는 이슬이 서리같이 차다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한식(寒食)

 

동지일부터 105일째가 한식이다. 세시풍속(歲時風俗)에 의하면 이날에 나라에서는 종묘(宗廟)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을 지내고, 민간에서도 성묘를 한다

 

()

 

모든 합(合)의 총칭.

 

합에는 간합(干合)·지합(支合)·암합(暗合)등이 있다.

 

("간합", "삼합", "육합" 참조)

 

해수(亥水)

 

해(亥)는 오행의 수(木)에 해당되니 물의 기운을 말한다. 양의 기운이며, 亥는 十二支의 맨 마지막으로 띠로는 돼지에 해당한다.절기로는 十月의 첫겨울에 속한다

 

현달(顯達)

 

지위가 높아지고 세상에 이름을 알림. 입신양명(立身揚名)

 

현무(玄武)

 

오방신(五方神) 가운데 북방(北方)을 맡은 신(神).

육신(六神)의 하나로 壬癸日을 사령한 신(神).

 

("등사" 참조

 

()

 

지형(支刑) 또는 삼형(三刑)의 준말이다.

 

삼형에는,

 

인사신(寅巳申), 축술미(丑戌未), 자묘(子卯)가 삼형이고,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가 자형(自刑)이다.

 

형이란 서로 싸우고 충돌하고, 죽이는 관계로 충(沖)과 비슷한 작용력을 발휘하는데, 충보다 작용력이 더욱 강렬한 경우가 있고, 또 충보다 작용력이 약한 경우가 있다.

 

화개(華盖)

 

화개(華盖)는 학문과 예술, 종교 등을 상징하는데 이 살이 사주에 들면 문학, 예술, 종교계로 진출하는 사람이 많다. 인수가 화개이면큰 학자가 되고 화개가 공망(空亡)되면 수도자가 되는 운명이다.

 

화격(化格)

 

화토(火土)격 : 갑일(甲日)생이 기시(己時)나 기월(己月)에 태어나고 혹은 기일(己日)생이 갑시(甲時)나 갑월(甲月)에 생하고 토(土)계절인 진술축미(辰戌丑未)월에 태어나고 지지(地支)가 모두 토(土)의기운이 강해야 된다. 간지(干支)에 갑을(甲乙)이나 인묘(寅卯)목의극제(剋制)가 없어야 되고 년간(年干), 월간(月干)에 일간과 쟁합(爭合), 투합(妬合)이 없어야 된다.

 

화극금(火剋金)

 

오행상극(五行相剋)의 하나.

 

불로써 금을 녹이게 되니 극하는 관계라 볼 수 있다.

 

(역학사전의 "상극관계표" 참조)

 

화금격(化金格)

 

을일(乙日) 경시(庚時)나 경월(庚月)에 태어나고 혹은 경일(庚日)에 을시(乙時)나 을월(乙月)에 생하고 생월 지지(地支)에 사유축(巳酉丑)이나 신(申)월에 생하고 간지(干支)에 화(火)의 오행이 없어야된다. 혹은 년간(年干)이나 월간(月干)에 화(火)가 없어야 하며, 일간(日干)에 쟁합(爭合)이나 투합(妬合)이 되면 안된다.

 

화기격

 

이 격은 종격(從格)과 마찬가지로 진화(眞化)와 가화(假花)가 있다. 진화란 이 격을 이루는 데 방해가 없이 순수하게 이루어진 것이고. 가화(假化)란 쟁합(爭合) 또는 투합(妬合) 등으로 인해 화(化)하는 데 방해가 되거나 그 화신(化神)을 극(剋)하는 오행이 있으면 가화(假化)가 된다.

 

합화(合和)하는 데는 사주의 천간에 간합(干合)되는 것끼리 만나면 자연히 합화(合化)되지만 이 干合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화격(化格)이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그럴만한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합신(合神)이란 甲己合·乙庚合·丙辛合·丁壬合·戊癸合 등의 합이고, 합하여 다른 오행으로 변화(變化)하는 것을 화신(化神)이라 한다.

 

이 격이 이루어지려면 반드시 日干과 合하는 자가 月日時干 중에 있고 그 합화된 오행월(五行月)에 출생하여 사주 가운데 화신(化神)과 같은 오행이 干支에 많아야 한다. 예를 들어 甲日주의 합은 己인데 己土가 月이나 時干에 있으면 甲己가 합하여 화신은 土이니 월령(月令)에 辰戌丑未의 土를 만나고 기타에 戊辰戌丑未의 土를 많이 만나면 이것이 즉 화격(化格)이다

 

화생토(火生土)

 

오행상생(五行相生)의 하나. 나무를 의지해서 불이 타고나면 그 자리에는 재가 남는다. 그재는 결국 기름진 흙으로 변하여 나무를 기를 수 있게 되니, 불(火)에서 흙(土)이 생겨난다는이치이다. (사주사전의 "상생관계표" 참조)

 

화화격(化火格)

 

 

무일(戊日)생이 계시(癸時)나 계월(癸月)에 태어나고 혹은 계일(癸日)생이 무시(戊時)나 무월(戊月)에 생하고 생월 지지(地支)에 인오술(寅午戌) 화국(火局)이나 사월(巳月)에 생하고 간지(干支)에 화(火)를 극하는 수(水)의 오행이 없어야 된다. 혹은 년간(年干)이나월간(月干)에 수(水)가 없어야 하며, 일간(日干)에 쟁합(爭合)이나투합(妬合)이 되면 진격(眞格)이 안된다.

 

 

 

 

 

 

 

 

 

 

 

 

 

 

 

 

 

 

 

 

 

 

 

 

 

 

 

 

 

 

 

 

 

학생 입시 진로 & 성인 사주 진로 상담료

학생/성인

컨설팅명

상담료(1명당)

1.초중고등학생

입시 & 진로 적성 컨설팅

 

100,000원(전화) 150,000(방문)

2.고3 & 재수생

수시 정시 & 진로 컨설팅

200,000원(전화) 300,000(방문)

 

3.성인 & 대학생

사주 & 진로 종합 컨설팅

 

100,000원(전화) 150,000(방문)

4.개인 & 그룹

명리적성학 오프라인 현장강의

1개월분(25만원) 3개월분(60만원,20% 할인)

5.개인 & 그룹

명리적성학 온라인 동영상강의

초급과정 중급과정 고급과정 진로적성 전 과정

30주년 기념으로 지금 등록시 수강료 50% 할인

6.택일 & 작명

출산 택일+사주 진로+작명

500,000(택일+사주) 700,000원(택일+사주+작명)

7.개인 & 법인

작명 개명 아호 상호 컨설팅

300,000원(작명) 500,000원(상호)

 

 

 

상담 신청 방법

1.신상 정보

학생은 한글 이름 생년월일시(양력/음력,남녀 구분),성적,장래희망,

거주 지역,상담 방법(전화/방문) 등을 문자나 메일로 알려주세요.

 

 

 

성인은 한글 이름 생년월일시(양력/음력,남녀 구분),직업,거주지역

현재 상황이나 궁금한 사항 등을 문자나 메일로 알려주시면 됩니다

메일 주소☞ bbss7202@naver.com

2.상담 신청

심산 원장 ☎ 010 6382 7206

3.입금 계좌

국민은행 639002 01 200896 이민호

4.예약 방법

신상 정보를 문자나 메일로 알려주시고 상담료를 입금하시면

예약이 완료되며 상담 일시는 예약이 완료된 후 알려드립니다

 

자녀들을 함께 신청하는 것이 좋으며 가족을 모두 신청하시면

부모님의 사주 진로 상담료에 한해서 50%를 할인해 드립니다

5. 상담 방법

전화와 방문 컨설팅 중에 선택하시면 됩니다

상담 방법 선호도 ☞ 전화(70%) 방문(30%)

6. 대기 기간

예약 대기자가 20~30명인 관계로 입금 예약후 대기 기간

전화 상담(당일~2일) 방문 상담(3~10일) 작명(5~7일)

7.주소/교통

경기도 군포시 당동 904-5 그린프라자 4층

군포초등학교 건너 편 육교 바로 옆 건물

도로명 주소☞군포시 고산로 264번길 13

 

○금정역 4번 출구 승차 군포 초등학교앞 하차(5분 소요)

(초록색 시내버스 5624번 또는 5531번 탑승)

 

○당정역(1호선) 3번 출구 승차 군포 초교 하차(5분 소요)

(노란색 마을버스 3번 탑승/당정역에서 도보로 10분)

 

※자가용 이용시 건물 뒷편 그린프라자 지하 주차장 무료.

중화 요리집과 굽네 치킨집 바로 옆이 지하 주차장 입구.

 

※ 본 건물 5층에 새론 정형외과,4층에 가우스 수학학원,

1층에 연두약국,두두림 커피숍 간판이 있는 건물 4층 좌측

심산 입시 진로 오행 컨설팅


 

 

 

 

 

 

 

 

 

 

 

 

 

 

 

 

 

 

 

 

 

 

 

 

 

 

 

 

 

 

 

 

 

말 잘하는 사람이 성공한다

 

양보는 미덕이 아니라 실력이 없어서 환경에 밀려난 것이다.명분 없이 그냥 양보하다가 밀려나면 상대가 독버섯처럼 커서 부메랑으로 돌아온다.상대에게 밀린 것을 양보했다고 변명하는 것이며 양보를 하면 할수록 상대의 나쁜 버릇이 커져서 결국 자신이 당하게 된다.지식과 경제력으로 실력을 갖춘 사람은 절대 양보를 하지 않으며 실력이 모자라면 물러나야 되는 것이 대자연의 근본 원리이다.착하게 살면 안 되며 냉철한 분별력으로 바르게 살아야 한다.

 

 

누구 때문에 고생했다고 남탓을 하는 사람은 몸에 탁한 기운이 가득하다는 증거이며 계속 남탓을 하면 병(病)이 오게 된다.과거를 놓아야 미래가 온다.가령,형사나 민사 소송이 진행될 때 조정 기간에 서로 합의를 봐야 하며 판결까지 가면 악한 감정이 쌓여서 쌍방이 손해를 본다.실력이 없으면 욕심만 가득 차지만 실력을 갖추면 헛된 욕심이 사라진다.모르면 슬럼프에 빠지고 자신감이 없어지지만 알면 바른 분별력이 생겨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상대에게 잘못 해서 어려움을 준 게 있다면 죄책감을 느끼지 말고 편하게 대하면서 자신의 실력을 키우면 언젠가 그 사람이 필요할 때 힘이 되어줄 수 있다.물질과 경제로 돕는 것은 적게 돕는 것이며 배우고 깨달아서 지혜로 돕는 것이 큰 도움을 주는 것이다.실력이 부족하면 머리를 숙이고 겸손하게 배워서 도움을 받아 에너지 기운을 살려야 한다.재주는 작은 돈을 움직이지만 지혜는 큰 경제를 움직이며 밀도가 커져서 문리가 터지면 만인을 움직일 수 있다.

 

 

지금은 유리알 처럼 맑은 세상이므로 사람은 솔직해야 하며 이중 성격자는 왕따를 당한다.고집은 만병의 근원이며 계속 아집을 부리면 부릴수록 탁한 기운이 쌓여 암(癌) 등 중병(重病)에 걸린다.고집이 세고 기운이 커서 남에게 기죽기 싫어하는 사람은 시간이 흐를수록 비굴한 삶을 살아야 함은 인지상정(人之常情)이다.어려운 사람이 고개를 숙이지 않으면 숙일 때까지 대자연이 시험지로 계속 담금질을 하게 되며 자존심을 죽이고 겸손하면 내일의 빛이 된다.

 

 

사람들이 주고 받는 말의 질량(質量)에 따라 사람과 돈의 인연이 온다.잘 살고 싶으면 질량(質量) 있는 말을 예쁘게 해야 한다.막말이나 헛된 말을 함부로 하면 있던 복(福)도 다 나간다.귀한 말을 나누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풍요로워지고 주위에 맑은 기운의 좋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환경이 바껴서 삶의 터닝포인트가 된다.생각의 틀을 바꿔서 내가 먼저 변하면 상대의 단점도 장점으로 변하게 된다.앞으로는 질량(質量)을 갖춰 말을 잘 하는 사람이 성공한다.

 

 

 

수승화강(水昇火降)

 

 

수승화강(水昇火降)사람의 몸에서 차가운 기운(氣運)은 올라가게 하고 뜨거운 기운(氣運)은 내려가게 해야 건강(健康)하게 살 수 있다는 음양오행의 원리이다.어린 아이들은 수기운(水氣運)이 머리에 있으며 손과 발의 끝이 따뜻한 반면 어른들은 수기운(水氣運)이 손과 발에 있어서 손과 발의 끝이 차다.밤에 잠을 잘 때 어린 아이들은 발을 내놓고 자도 되지만 어른들은 발을 덮고 자는 것이 건강(健康)에 좋다.

 

 

유아기부터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다닐 시기인 7세 정도 까지는 양기(陽氣)가 무릎 아래로 몰리기 때문에 몸을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 하고 꼼지락거리며 천방지축이다.이는 자연적인 현상인데도 어른들은 아이들이 부산스러우면 예의가 없고 점잖치 못 하다고 혼을 낸다.10~20대에는 양기(陽氣)가 생식기 주위로 몰리기 때문에 성적(性的)인 문제에 관심이 많고 성욕이 강해져서 성(性)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30~40대에는 양기(陽氣)가 배로 몰리기 때문에 자기 주장과 배짱이 강해지는데 명리학의 12운성론으로 건록과 제왕에 해당한다.50~60대에는 양기(陽氣)가 가슴에 있기 때문에 우울증,조울증,홧병 등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부부 갈등 등의 정신적인 문제가 발생하며 이 시기에 신세 비관으로 자살율이 가장 높다.70~80대에는 양기(陽氣)가 입으로 몰리기 때문에 잔소리가 많아진다.가만히 있으도 문제가 잘 해결되는데 말이 많아서 긁어 부스럼을 일으킨다.나이가 들면 입은 닫고 지갑을 열어야 환영을 받는다.

 

 

90~100세에는 양기(陽氣)가 머리로 올라오기 때문에 이 시기에 가장 많이 죽게 된다.양기(陽氣)는 손과 발에 있어야 가장 건강하므로 나이가 들더라도 산책,걷기,운동을 해야만 한다.100세 이상 건강하게 살기 위해서는 반신욕과 족욕이 으뜸이다.날마다 반신욕이나 족욕을 하면 뜨거운 열기는 하강(下降) 하고 차가운 수기운(水氣運)은 상승(上昇)하므로 건강하게 살 수 있다.수승화강(水昇火降)의 원리를 바르게 알아서 100세까지 88하게 살다가 2~3일만 앓고 편안하게 죽는 것이 따봉이다.

 

 

♡심산 진로 컨설팅과 함께 하시는 분들 모두 질량(質量) 있는 말로 성공하시길 축원합니다♡

 

 

 

  [입력화면으로 돌아가기]

 

 

위의 명식은 오행을 모두 갖춘 오행구족격(五行具足格)이다.천간의 각기 다른 4개의 오행이 모두 통근(通根),투간(透干),투출(透出) 하고 있으므로 중상급 이상의 사주(四柱)이다.통근(通根),투간(透干),투출(透出)은 월지,일지,시지,년지순으로 힘이 있으며 록왕지에 뿌리를 내렸을 때가 가장 강하다.가령,갑목과 을목 일간 모두 묘월(卯月)에 통근(通根) 했을 때가 인월(寅月)에 통근(通根) 했을 때보다 힘이 있다.

 

 

위 사주의 년간 계수는 왕지인 해수에 뿌리를 내렸고,월간 을목은 록지인 묘목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또한 일간 경금은 축술토(丑戌土)에 뿌리를 내리고 있고,시지 정화는 술토(戌土)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사주상 특징은 정재격에 비겁(比劫)이 억부 용신(用神)이다.천간은 을경합,지지는 묘술합,해묘합이 되어 사교성이 좋고 정이 많아 친근감이 장점이다.또한 지지의 축술형(丑戌刑)은 정계충(丁癸沖)으로 축중 계수(癸水)가 술중 정화(丁火)를 극(剋)하는 형태이므로 시간(時干)에 고립된 정관 정화(丁火)의 힘이 약한 편이다.

 

 

가령,진술충(辰戌沖)의 경우는 술중 신금(辛金)이 진중 을목(乙木)을 꺾는 것을 의미한다.경술(庚戌) 일주의 공망(空亡) 인묘(寅卯)이므로 위 사주에서 월지의 묘목(卯木)이 공망에 해당한다.직업과 관련이 있는 월지가 공망일 경우에는 진로가 불안정하여 학과 진로 직업의 변화가 생긴다.공망은 격국,용신,세운,일운에 적용하며 대운과 월운에는 적용하지 않는다.묘목(卯木)이 공망일 경우는 묘운(卯運)이 올 때 공망이 다소 해소가 된다.

 

 

오행(五行) 공망(空亡) 중에서 금(金)이 공망이면 울림 현상으로 소리가 잘 나고,수(水)가 공망이면 가라앉는 쪽으로 물이 흐르고,목(木)이 공망이면 나무가 썪고 꺾어지고,화(火)가 공망이면 더욱 밝아져서 길(吉)하다.토(土)가 공망이면 흙이 무너져서 흉(凶)하다.위치 공망 중에서 시지(時支)가 공망이면 삶의 가치관이 바껴서 진로가 변경되며 자식과의 인연이 약하다.육친이 공망이면 해당하는 육친(六親)의 작용력이 50~70% 정도로 줄어든다.

 

 

가령,여자가 관성(官星)이 공망이면 남편복과 직장운이 약화된다.신살(神殺) 공망 중에서 길(吉)한 살(殺)이 공망이면 나쁘지만 흉(凶)한 살(殺)이 공망이면 좋다.사절 공망은 힘이 없는 고립된 육친(六親)이 공망을 맞으면 힘이 더욱 없어진다.격(格)의 근원지인 월지(月支)가 공망은 생왕 공망으로 젊은 시절에 방황을 많이 하고 일탈을 하는 등 원래의 전공을 잘 써먹지 못한다.대운과 월운은 공망이 적용되지 않지만 세운과 일진은 공망이 작용한다.

 

 

가령,세운이나 일진이 공망인 날에 시험을 보면 준비물을 빼먹는다든가,답안 번호를 밀려쓴다든가,건강상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또한 공망에 해당하는 날에 경찰서,검찰청,법원 등에 출석일이 잡히면 날짜를 미루는 것이 유리하다.수험생의 경우에 공망에 해당하는 해와 날짜에 시험을 보면 시험운이 불리하다.위의 여자는 월지가 공망이고 정관(丁官)이 시천간(時天干)에 있으면서 고립되어 진로 변경 뿐만 아니라 결혼을 늦게 하게 된다.

 

 

위 여자의 육친별 점수는 금비겁(10점) 수식상(20점) 목재성(40점) 화관성(10점) 토인성(30점)으로 강점 지능은 목재성(木財星)과 토인성(土印星)과 수식상(水食傷)이다.문과 적성 60%,이과 적성 40% 정도인데 부모님의 권유로 이과를 선택했지만 대입 진학시에서는 본인이 원하는 문과로 교차 지원을 했다.월지가 공망이면 젊은 시절에 진로 때문에 방황을 하게 된다.목화(木火) 오행은 문과:이과 적성이 7 대3,금수(金水) 오행은 문과:이과 적성이 3 대 7 정도이다.

 

 

화(火) 오행이 강하면 방송 연예 예술 컴퓨터 계통에 유리하고,무진술토(戊辰戌土)는 문과:이과 적성이 6 대 4 정도이며,기축미토(己丑未土)는 문과:이과 적성이 4 대 6 정도이다.육친별(六親別)로 문과 이과 적성을 판단할 때 식신,편재,정관,편관,정인은 문과에 가깝고,정재,편인,상관은 이과에 가까우며 비견과 겁재는 문과 이과 공통이다.중학교때는 최상위권이었으나 고등학교때는 상위권 성적으로 서울시내 사립대 경영대에 진학하였다.

 

 

자녀의 대학 진학시에 개인별 사주상 필요한 용신과 희신 오행이나 고립을 해소시켜 주는 오행에 유리한 대학은 다음과 같다.서울대(수금),연세대(금화),고려대(목화),성균관대(목토),서강대(금수),한양대(수화),중앙대(토금) 경희대(화목),동국대(목금) 홍익대(화토),서울교대(수목),서울시립대(금수),이화여대(화목),숙명여대(수화).성신여대(토금),숭실대(토금),세종대(금수),건국대(수목),단국대(목화),아주대(수화),인하대(목수) 등이다.

 

 

위 사주와 같이 년월일시의 천간과 지지가 년(수수),월(목목),일(토금),시(화토) 모두 같거나 상생 관계일 경우는 간지(干支)가 상통이 되어 순리적이다.또한 월주와 일주가 천지합덕(天地合德)이 되므로 중년기에 일이 잘 풀리고 인기짱이다.만약 일주와 시주가 천지합덕(天地合德)일 경우는 장년운와 말년운이 잘 풀린다.사주는 격국과 용신이 신살 보다 우선한다.위 사주는 천을귀인(丑土),문창살(亥水),도화살(卯木)이 있어서 대인 관계가 원만하다.

 

 

경술 괴강,정축 백호,축술 삼형에 뿌리가 튼튼한 식재관(食財官)이 천간에 떠서 수려한 외모에 전형적인 커리어우먼이다.사주상 화관성(火官星)이 약한데 2대운인 14세부터 지금까지 사오미(巳午未) 남방운으로 흐르니 금상첨화(錦上添花)이다.특히 학창시절에 해당하는 14세부터 23세까지 정사(丁巳) 대운에는 정재격이 정관격으로 바뀌므로 문과 이과를 비롯해 학과 진로에 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되는데 대운의 변화에 따라 직업도 변할 수 있다.

 

 

위의 사주 명식은 비겁이 약하기 때문에 일반고가 유리하며 특목고,자사고는 비겁과 관성의 뿌리가 튼튼해야 경쟁자들를 누를 수 있다.위 여자도 실제로 문과 이과 교차 지원,대기업 입사후 퇴직,다국적 기업 입사후 퇴직 등의 진로 변경이 많았던 케이스이다.특히 상관이 정관을 바라보는 상관 대운과 세운에 진로 변경을 했다.시천간에 관성(官星)인 정화(丁火)가 록지에 해당하는 무오(戊午) 대운에 직장을 그만 두고 의학전문 대학원 시험에 합격하여 현재는 의료 계통에 종사하고 있다.

 

 

또한 아직 미혼인 이유는 관성(官星)이 시주(時柱)에 있기 때문이며 연하의 남자와 인연이 될 가능성이 높다.결혼에 적합한 시기는 식상운(食傷運)이 오는 2019년과 2020년이 좋으며 관성운(官星運)이 와야 결혼한다는 단식 판단은 오류이다.이 여자 인생의 터닝포인트 시기는 접목 대운이면서 간여지동의 대운인 4대운(己未),5대운(庚申),6대운(辛酉)이다.이 시기에는 흑과 백이 분명하고 소신껏 깔끔하게 일을 처리하며 직업에 대한 확고한 가치관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게 된다.

 

 

축술형(丑戌刑)을 짜고 있고 묘목(卯木)이 공망이므로 의료 계통 중에 간이식과,산부인과,피부과,성형외과 등이 적합하다.위 사주는 재성이 강하기 때문에 억부 용신은 금비겁(金比劫)이 되며 조후는 맞기 때문에 조후 용신은 필요하지 않다.정재격을 살려주는 제1 격국 용신은 수식상이며,묘월(卯月)에 묘목(卯木)이 꽃이 필려면 화(火)가 필요하므로 정화(丁火)가 제2 격국 용신이다.또한 화관성운(火官星運)에 시천간 정화(丁火)의 고립이 해소된다.

 

 

위 여자는 정재격에 격국 용신이 정관이므로 양심적이고 바른 생활을 한다.자기에게 맡겨진 일은 밤을 새워서라도 끝까지 처리하는 책임감이 강하다.상관견관(傷官見官)과 대비되는 상관패인(傷官佩印) 구조로 년주에 식상이 날뛰지 못하도록 일지와 시지의 축술토(丑戌土) 인성(印星)이 제어를 하므로 쓸 데 없는 구설수를 일으키지 않는다.년주에 있는 식상은 스피커를 상징하며 사회적이고 공적인 일과 대중을 위한 언변술로 활용된다.

 

 

괴강 일주에 백호까지 있는 커리어우먼 스타일로 돈이 많은 남자 보다는 가치관과 이념이 맞는 착하고 정직한 배우자를 선택해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구조이다.일지에 편인을 깔고 있어서 직업과 결혼에 관련하여 어머님이 간섭을 많이 하게 되는데 가급적이면 딸이 스스로 판단해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018년 무술년(戊戌年)에 술토(戌土) 지장간에 정관에 해당하는 정화(丁火)가 있고 2019년(기해년)과 2020년(경자년)이 식상운이므로 이 시기에 결혼할 가능성이 높다.

 

 

식상과 재성이 튼실하면서 식신생재와 상관생재가 원활하게 되어 실속 있는 일을 하며 결과도 확실하다.다만 격국 용신에 해당하는 정화(丁火)가 년월간에 있으면 큰 중앙무대에서 크게 활약을 하는데 시천간에 위치한 것이 옥의 티가 된다.진로 적성에 따른 전공과 직업을 정할 때는 격국,용신,신살은 물론 월지와 일지의 지장간 구조를 바탕으로 기질 진로 적성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현재는 화기운이 강한 관성 대운이므로 직업운과 남자운이 보완되어 안정적인 생활을 하게 된다.

 

 

명리학은 세상의 이치를 깨달아서 미래를 예측하는 논리학이다.세상의 일은 일정한 규칙성을 갖고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말과 같이 실력이 있는 사람은 가만히 있어도 그 역량이 드러나는 법이다.근묘화실론(根苗花實論)과 같이 아무리 능력이 좋은 사람도 때를 잘 만나지 못하면 무용지물(無用之物)이 된다.

 

 

인생의 오르막과 내리막 시기를 아는 것은 운명을 개척할 수 있는 힘이 된다.사람마다 자신의 그릇의 크기와 질량에 따라 노력으로 이루어 낼 수 있는 결과는 천양지차(天壤之差)이다.미래는 융합시대이므로 천지인(天地人)의 운용 법칙을 설한 천부경(天符經)은 물론 명리학과 사상체질 공부는 필수이다.기질과 진로 적성을 바탕으로 장점을 찾아 희망을 주는 것이 진정한 카운셀러의 몫이다.

 

 

 

  [입력화면으로 돌아가기]

 

 

위의 명식은 언론사에 근무중인 성인 남자로 직업 적성과 직장 이직운에 대해 사주 진로 컨설팅을 한 결과이다.수인성(40점) 목비겁(30점) 화식상(25점)이 발달한 반면 금관성(15점)이 약하며 토재성(0점)이 없는 무재(無財) 사주이다.인성(印星)에 의해 일간이 강해진 경우이므로 신강(身强)하며 조후(調候)가 잘 갖추어져 있으므로 수다부목(水多浮木)의 우려는 없다.사주상 특징은 정임합목,해묘목,묘유충,오미 공망 등이다.정인격(正印格)에 억부 용신은 토재성(土財星)이나 원국에 없고 지장간에만 약하게 있어서 노력에 비해 결실이 약하다.

 

 

조후 용신은 화식상(火食傷)이며 정인격에 정관이 없고 편관만 있으므로 격국 용신은 일지에 있는 금관성(金官星)이다.일간인 을목의 뿌리가 튼튼하고 조후가 잘 맞기 때문에 일지의 유금(酉金)은 칠살(七殺)의 역할을 하지 않으며 살인상생(殺印相生)으로 귀살(貴殺)의 역할을 한다.온실속에 있는 을목(乙木)은 남들이 많이 키우지 않는 특용작물로 병화(丙火)가 있으면 꽃이 활짝 피는데 오화(午火)와 정화(丁火)가 있다.정화(丁火)는 뿌리가 있고 특수한 분야에 소질이 있으며 일간인 을목(乙木)은 수생목과 목생화로 입력과 출력이 잘 된다.

 

 

격국과 조후 용신이 시주(時柱)에 치우쳐 있고 격국 용신이 년월주(年月柱)에 없으며 일지(日支)에 있으므로 대외적인 활동보다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다.토재성(土財星)이 없으므로 노력에 비해 결과가 부족하며 운(運)의 흐름에 따라 굴곡이 큰 편이다.위 남자가 직장 업무에 만족하지 목하는 사주상 요인은 일지의 관성(官星)이 고립되어 있기 때문이다.강한 인성(印星)에 비해 관성(官星)인 유금(酉金)의 역할이 약하므로 직장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특별한 라이센스를 바탕으로 한 자유전문직 적성이며 재성이 없으니 재야 선비와 같은 꼴이다.

 

 

언론사 기자 출신으로 인사총무팀에서 근무하다가 노무팀으로 발령이 났는데 직업에 회의를 느끼고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을목 일간에 정인격이므로 일을 원리원칙 대로 꼼꼼하게 처리하는 능력이 있어서 내근 부서로 발령이 났는데 위 남자는 화식상(火食傷)을 써 먹어야 하므로 외부에서 취재를 하는 업무가 적성에 맞는데 노무팀에게 근무하니 답답한 형국이다.39세 계미(癸未) 대운에 편인(偏印)이 투간되어 정인과 편인이 혼잡되니까 직장에 갈등을 느끼다가 무술년과 기해년에 재성운이 오니 이직(移職) 욕구가 강하게 든다.

 

 

또한 직장 이직(移職) 을 하려고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계미(癸未) 대운에 해묘미(亥卯未) 목국(木局)을 짜게 되면 목비겁(木比劫)이 강해지므로 친구 동료 선후배 등이 이 남자를 부르게 된다.2019년 기해년(己亥年)에 수기운(水氣運)이 강해지면 목비겁(木比劫)으로 설기(洩氣)를 해야 하므로 지인들에 의해 스카우트 될 가능성이 높다.이직(移職) 을 하고 2020년 경자년(庚子年)이 되면 일간인 을목(乙木)과 관성(官星)이 을경합(乙庚合)이 되어 자리를 확실히 잡게 되고 승진운(昇進運)도 강하며 대운이 사오미(巳午未) 용신운으로 흘러서 매우 고무적이다.

 

 

성공하려면 갑과 을의 관계를 잘 분별해야 한다.갑(甲)은 말할 수 있는 자리이고 을(乙)은 말을 들어야 하는 자리이다.자신이 을이라고 생각되면 남의 말을 70% 들으면서 질문해야 하며,내 주장은 30%만 해야 한다.자신이 을이면서 30% 선을 넘어 주장을 하면 할수록 찍혀서 실패한다.대자연의 원리는 3:7의 법칙으로 운용되므로 갑과 을의 관계를 바르게 알아야 성공할 수 있다.

 

 

주변에서 어떤 말을 하면 당장 움직이지 말고 2박 3일간 생각을 해보고 난 후에 결정을 하면 탈이 생기지 않는다.누가 돈을 빌려달라고 할 때도 돈이 쓰이는 용도가 사리에 맞고 분명해야 하며 명분에 맞지 않는 돈을 빌려주면 떼이게 된다.지금까지 바른 분별로 살지 못한 것을 반성하고 새로운 삶을 살겠다고 지극정성(至極精誠)으로 고하면 대자연이 스스로 동하여 어려움이 풀린다

 

소음인의 특징과 소음인에 좋은 음식

 

 

소음인 특징

 

1. 마른 체형 ;

 

소음이라는 단어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소음인의 일반적인 특징은

보통 체격이 작은 편에 속하고 마른 몸매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키가 평균보다 작은 경우가 많고, 상체가 작으며 엉덩이는 큰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2. 건강

 

소음인은 특히나 소화기관이 약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주 체하거나 소화불량 증상이 자주 나타나는 분들은 소음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족냉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혈액순환에도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3. 몸이 차다

 

몸이 뜨거운 사람이 있는 반면 차가운 사람도 있는데요.

소음인의 경우 몸이 찬 편에 속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더운 여름임에도 이불을 따듯하게 덥고 자는 경우가 많고,

찬물로 샤워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4. 성격

 

소음인의 성격은 소심하거나 조심스러운 성격을 가진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먼저 나서지 않으며 조용히 혼자 지내는 걸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물론 적극성과 활발함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소음인에 좋은 음식

 

소음인이 먹으면 좋은 음식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체질별로 잘 어울리는 음식이 있고, 또 먹으면 좋지 않은 음식이 있는데요.

 

 

소음인의 경우에는 삼계탕이나 찹쌀, 대추, 생강, 부추, , 닭고기 등이 있다고 합니다.

물론 소음인에게 좋은 음식이 있다면 나쁜 음식도 있을 텐데요.

맥주나 메밀처럼 찬 성질의 음식은 소음인에게 좋지 않다고 합니다.

 

 

소음인에게 좋은 운동

 

이 체질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대게 허약한 경우가 많은데요.

꾸준히 운동을 해서 건강을 유지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소음인의 경우에는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요.

팔굽혀펴기나 조깅, 골프, 덤벨운동 등이 좋다고 합니다.

다른 체질과는 다르게 과격하게 운동을 하는 경우

오히려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하니 조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소음인 특징과 소음인에게 좋은 음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소화기관과 건강에 신경을 많이 쓰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소양인, 소음인 특징

 

 

 

소양인 외형의 특징:

 

기본적으로 양인은 상체가 튼튼하고 그에 비해 하체가 덜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양인은 가슴부위가 튼튼하지만 엉덩이 아래로는 좀 약한 모습을 지니고 있어

걸음걸이가 가벼워 보일 수 있습니다.

소양인은 대체적으로 머리 위쪽이 넓고 턱으로 갈 수록 좁아져서

얼굴형이 역삼각형처럼 생긴 얼굴이 많으며 목도 가늘고 긴 편입니다.

소양인 중에서도 이렇게 생기지 않으신 분이 있을 수 있으며

외형만으로 소양인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소양인의 다이어트:

 

소양인은 다이어트로 운동을 할 때

하체를 튼튼하게 하는 운동으로 살을 빼는 것이 좋습니다.

전신운동과 하체운동을 병행하면 좋은데

그 중에서도 소양인에게 가장 좋은 운동은 요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양인은 따뜻한 체질이기에 식단을 짤 때

몸의 열을 내리는 음식 위주로 식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질이 차가운 음식에는 오리와 돼지고기

그리고 비교적 찬 성질의 채소인 오이, 우엉, 버섯 등이 있습니다.

 

 

소양인의 전반적 특징:

 

소양인은 비장이 크고 신장이 작은 체질입니다.

눈빛이 강렬하며 눈썹이 고운 편이며

성격은 순간순간 본인의 감정에 충실한 편입니다.

피부가 하얀편이기도 하고 소음인처럼 마른사람이 많습니다.

소양인은 다른사람의 기분을 파악하는 감정 기능은 발달하였으나,

혼자 궁리하고 몰입하여 보는 사고 기능은 취약한 편이라고 합니다.

 

 

소음인의 외향적 특징:

 

소음인의 얼굴은 작거나 갸름한 달걀형이 많으며

, , 입이 작고 오밀조밀하여 짜임새가 있고 야무져 보입니다.

미남과 미녀가 많은 체질이며 많은 연예인이 가지고 있는 체질이기도 합니다.

체형은 엉덩이 부위가 크고 가슴이 좁고 빈양하며 약간 등이 굽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체구는 작지만 안정감이 있고 약해보이는 면이 있습니다.

키가 큰사람도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체력이 약하고 마른경우가 많습니다.

 

 

소음인의 다이어트:

 

소음인이 다이어트를 향 때 식이요법만으로는 건강하게 살을 뺄 수가 없습니다.

평소 먹는 양이 적었는데 먹는 양을 더 줄이는 것은 위험합니다.

오히려 근력운동을 통해 근육을 늘려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음인은 체지방과 근육량을 적절히 조절해 기초대사량을 높여주어야 합니다.

소화기가 약한 소음인은 따뜻한 성질의 음식을 먹는 것이 좋은데요

닭고기, 명태, 토마도, 양파, 피망, 부추, 쑥갓 등의 음식이 좋으며

찹쌀이 들어간 음식도 좋습니다.

 

 

소음인의 전반적 특징:

 

소음인는 소양인과는 반대로 신장이 크고 비장이 작은 체질입니다.

위장이 약한 편이라 소화기 질환에 많이 걸립니다.

소음인은 공동체 생활을 싫어하며 내성적이고 수줍음이 많은

사람이 많습니다.

소음인의 체형은 하체가 발달한 편이라 골발이 넓으며

걸음걸이가 안정적이나 상체를 구부정하게 숙이고 걷는 사람 또한 많습니다.

달걀형의 미남미녀가 많으며 육식을 좋아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소음인은 직접 경험해 보지 않아도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결론을 얻는

사고 능력이 뛰어난 편이라고 합니다.

 

 

소음인에게 좋은 음식 과 소음인 특징

 

소음인은 소화기능이 약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것이 태음인 소음인 차이 중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태음인은 소화기능이 좋습니다,

 

또한 소음인은 성격은 신경이 예민하기 때문에 몸을 항상 따뜻하게 해주고

어떤 음식에 대해서 소화가 얼마나 잘되느냐가 소음인 음식 선택의 기준입니다.

본인이 소음인 태음인 중에 헷갈린다면 소화기능을 보고 판별 할 수 있습니다.

 

소음인 음식 중에서도 가장 걱정 없이 먹을수 있는 음식은 대추차(인삼, 생강 넣은)입니다.

만드는 법은 대추, 인삼, 생강을 같은 비율로 넣고 달여 주면 됩니다.

 

만약 기력이 약하다고 느껴지면 인삼의 양을 늘려주고

소화가 잘되도록 한다면 생강을,

신경이 불안정하다면 대추를 늘려주면 됩니다.

인삼 뿐 만아니라 소음인 홍삼도 좋습니다.

 

소음인 음식관리 중 잘 받는 육류는 닭고기, 양고기가 체질에 맞습니다.

어류는 조기, 미꾸라지가 잘 맞습니다.

그 외에 소음인에게 좋은 차는 쑥차, 귤차, 유자차 등이

쉽게 먹을 수 있는 차 중에 소음인에게 좋습니다.

 

소음인 여자라면 익모초차가 있는데

이 차는 여자의 자궁 기능회복에 좋은 차입니다.

또한 귤차, 유자차는 기의 순환에 도움을 줍니다.

 

 

소음인 특징

 

소음인의 체형은 일반적으로 둔부가 큰 편이고 가슴은 좁은 편입니다.

대체적으로 체구는 작은 편에 속합니다.

또한 이목구비도 오목조목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소음인 성격

 

매사에 정확하게 일을 처리하고 원칙주의자로써

예의에 어긋나는 일은 잘 하지 않습니다.

단정하고 야무진 편이고 모든 일을 세세하게 분별해냅니다.

외부에서 일하기보다는 안(사무실)에서 일하는 것이 어울립니다.

여성적인 성향이 강하고 온순한 편이고 다정합니다.

 

 

소음인 운동 , 다이어트

 

소음인은 체력을 심하게 요구하는 운동보다는

가볍게 즐길 수도 있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은데

이를테면 탁구, 배드민턴, 테니스 같은 운동이 적당합니다.

웨이트트레이닝 같은 과하게 힘을 많이 쓰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음인 다이어트 운동을 할 때도 주의해서 운동하시기 바랍니다.

 

 

소음인 조심해야할 것 , 주의점

 

적정시간에 소화를 잘 시킬 수 있는 정도의 양만 먹습니다.

또한 땀을 많이 내면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여유 있는 마음으로 매사를 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음인의 성격 및 특징

 

1) 얼굴형 용모가 오밀조밀 잘 어우러져 있으며,

입이 그다지 크지 않고 입술은 얇으며 눈에 정기가 없습니다.

 

2) 체형상체에 비해 하체가 발달되었으며

살과 근육이 비교적 적으나 골격은 굵은 편입니다.

키와 몸집은 대체로 작은 편이지만, 몸매에 균형이 잡힌 사람이 많습니다.

얌전하고 온화한 인상이고 미남미녀가 많습니다.

 

3) 체질적 특징

소음인은 신대비소하여 신장의 기능이 실하고 비위(脾胃)의 기능이 허하게 태어난다.

허약체질, 냉성 체질입니다.

땀이 별로 없으며 땀을 많이 흘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미각이 특히 발달되었고 피부가 보드라우며, 여자는 겨울철에 손발이 잘 트지 않습니다.

무의식 중에 한숨을 잘 쉽니다.

 

소음인은 내성적으로 비교적 소심한 사람이 많다.

겉으로는 유연해도 속은 강하다.

작은 일에도 세심하고 과민성이 있어 늘 불안정한 마음을 갖는다.

자기 본위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실리를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머리가 총명하여 판단력이 빠르고 매우 조직적이며 사무적이다.

맡은 일은 빈틈없이 처리를 잘하고 윗사람에게 비위를 잘 맞추며 지나친 아첨도 한다.

자기가 한 일에 남이 손대는 것을 가장 싫어하고 남이 잘하는 일에는 질투가 심하다.

또한 지능이 발달되어 잘못 흐르게 되면 끔찍한 사건을 저지른다.

편사심이 많아 남을 오해하기 쉽고

한 번 꽁해진 마음은 좀처럼 풀리지 않으며

같은 말을 여러 번 되풀이한다.

 

전형적인 소음인의 경우,

인색하고 짜다는 수전노 소리를 듣는 일도 많다.

살림살이는 소음인 여자가 제일 잘한다.

깔끔하고 착실하며 아기 잘 낳고 매사에 치밀하고 밖으로 나가지 않고,

그야말로 알뜰살뜰한 가정을 꾸민다.

그러나 모든 것이 지나치기 때문에 식구들과 조화를 잘 이루지 못하며,

또한 질투가 심하여 작은 일에도 마음을 끓이고 늘 불안정한 마음을 가지므로

신경성 질환이 가장 많다.

다른 체질에 비하여 소음인이 병이 많은 이유도 이에 있다고 하겠다.

 

4) 소음인의 신체적 특징

소음인은 소화기가 허약하고 신, 방광의 기능이 발달되어 있어서

하체보다는 상체가 실하며, 체형은 대체로 위 아래가 균형이 잘 잡혀 있다.

몸은 비교적 마른 편이며 용모는 잘 짜여 있어 여자는 오밀조밀하고 예쁘며 애교가 있다.

이마가 솟고 눈, , 입이 크지 않으며 눈에 정기가 없다.

눈빛이 소양인이 반사형이라면 소음인은 흡수형이다.

 

피부가 매우 부드럽고 밀착하여 땀이 적으며 겨울에도 손이 잘 트지 않는다.

몸이 균형이 잡혀 걸을 때 자연스럽고 얌전하며,

말할 때 눈웃음을 짓고 조용하고 침착하며 조리가 있다.

그러나 지나친 이론이나 천박한 제스처를 쓸 때는 도리어 야비하게 보인다.

가끔 한숨을 쉬는 일이 있어 남 보기에 고민 있는 사람 같다.

 

5) 소음인이 잘 걸리는 질환

소음인은 비 기능이 약하고 반대로 신() 기능은 튼튼한 채 태어났다.

그러므로 항상 남들보다 소화기장애와 관련된 질환이 많이 나타날 수 있다.

소화가 잘 안된다거나 속이 더부룩하거나 미식미식하고 차멀미가 잘 난다거나

소화될 무렵이나 식사전 속이 비었을 때 속 쓰림 등의 현상이나

입맛이 없다거나 잘 체한다거나 하는 등의 증상이 다른 체질에 비하여 월등히 많다.

 

또한 소화액의 분비기능도 다른 체질보다 약한 편이므로

갑자기 많이 먹거나 굶거나 하는 경우 쉽게 소화기 질환에 걸린다.

소화장애가 있거나 소화액 분비가 잘 안 되는 경우에는

빈혈이나 순환장애로 인한 손발의 저린 증세가 잘 나타난다.

 

또 소음인은 다른 체질에 비하여 비교적 내성적이고 예민한 사람이 많다.

자신의 감정을 밖으로 잘 드러내지 않고 꾹 참는 경향이 있으므로

신경성 증세가 잘 나타난다.

 

별일도 아닌데 불안하거나 초조해 하는 경우가 많고

꿈이 많으며 몹시 예민하여 잠을 깊이 못자고 불면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으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에는 기울증 증세가 나타난다.

 

기울증이란 기운이 울체되는 것인데

명치끝에서 뭉치게 되면 잘 체하고 명치끝이 더부룩해지기 쉽다.

일반적으로 신경성 소화 장애의 경우에 잘 나타나며

소음인들 대부분이 신경성 소화 장애에 시달리기 쉽다.

 

또 가슴 부위에서 기운이 울체되면 가슴이 두근두근하거나 잘 놀라고

심하면 가슴이 조이는 느낌이나 콕콕 쑤시는 증세가 있으며

가슴이 답답하고 한숨을 자주 쉬게 된다.

 

또 극심한 스트레스를 계속해서 강도 있게 받게 되는 경우

기운이 목에서 뭉치게 되는데 꼭 가시가 목에 걸린 것과 같은 증세가 나타난다.

이것을 매핵증이라고 하는데 보통 잘못 알고 이비인후과에 다니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또 소음인은 비교적 마른 경우가 많고 손발이 차며 속이 냉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랫배가 차고 아픈 사람이 많으며 월경통이 심하고 허리가 잘 아프며

생리가 10일 이상 늦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많이 먹지 못하며 과식하면 머리가 아프고 토할 것 같다는 경우는 많이 보게 된다.

 

6) 소음인의 건강 관리법

 

비만인 경우 소음인은 주로 부분비만 형태로 나타나며,

비만의 부위는 강한 부위와 약한 부위로 대별될 수가 있다.

 

강한 부위는 하체인데 하체와 얼굴은 나이가 들어도 예쁘나

배 이상과 어깨 상박부에 불균형적인 지방 축적이 일어나거나 상체는 잘 균형이 잡혀 있는데 하체만 지방 축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며 전체적인 비만은 거의 없다.

 

소음인은 주로 부분비만이 대부분이나

오랫동안의 식생활 습관과 질병에 의하여 전체비만인 경우도 가끔 있다.

소음인은 주로 신경이 예민하며 소화장애에 걸리기 쉽다.

 

소음인의 비만은 대부분이 스트레스와 소화장애의 의한 비만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므로 소음인은 스트레스를 이기기 위한 적당한 운동과 소화장애가 생기면

곧바로 치료해 비만을 예방해야 한다.

 

소화 장애로 비만이 생긴다는 말은 언뜻 듣기에 이해가 잘 안될 것이다.

비만인 중에는 오히려 정상적인 사람보다 훨씬 소식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살이 빠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심한 경우는 1일 기초대사량에도 못 미치는 식사를 하며

억지로 음식을 먹어도 곧 토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한의학에서 위장과 비장은 소화흡수만을 담당하지는 않는다.

비 기능은 인체의 가장 중요한 운화작용(運化作用)을 주관하는 장기이다.

 

운화작용이란 체내에서 발생되는 운행과 변화를 조절하는 작용을 말한다.

에너지 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바로 운화작용이 원활해야 한다.

운동중 발생하는 지방의 에너지 대사도 일종의 운화작용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비위장이 약하면 운화작용의 능력이 떨어지게 되면

이로 인하여 지방의 에너지 대사가 떨어지고,

조금밖에 먹지를 못하는데도 살이 빠지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소음인은 소화기장애, 혈액공급 장애, 신경증세, 심장쇠약,

몸이 차서 오는 증상들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므로 소음인은 항상 몸을 따뜻이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음식에 절제가 있고 따뜻한 음식을 많이 먹고 찬 것을 삼가며

규칙적인 식생활을 가져야 한다.

 

원래부터 신경이 예민한 편이므로

가급적 활동적인 생활과 일을 하는 것이

불안신경증이나 심장쇠약 등을 예방하는 길이다.

 

7) 이로운 차

 

쑥차, 현미차, 차조기차, 옥수수차, 귤차, 대추차, 미역차, 인삼차, 영지차, 꿀차,

생강차, 쌍화차, 감초차, 당귀차, 천궁차, 두충차 등이 있음.

 

8) 알맞은 운동법

 

열 명 중 2~3명 정도이며 하체가 발달하였으며,

골격이 굵은 편으로, 근육과 살은 적습니다.

내성적이며 허약체질이어서 심한 운동은 좋지 않습니다.

 

덤벨을 사용하여 상체를 강하게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과,

가벼운 운동으로 수영이나 체조가 좋습니다.

 

당신은 다른 체질에 비해 체력이 약한 편이여서

너무 무리한 운동은 피해 주어야 하는데

땀을 너무 많이 쏟으면 금방 피곤함을 느끼고 쉽게 지쳐

오히려 역효과로 인해서 병이 생길 수 있어서 조심 하여야 합니다.

 

당신은 상체보다 하체가 잘 발달 되어있어

상체를 강화해주는 테니스나 탁구와 같은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은데

한꺼번에 무리해서 하는 것 보다는 짧은 시간 동안

장기적으로 꾸준히 해주는 것이 건강에 좋습니다.

 

또한 당신은 성격이 소심하고 소극적이어서

적극적으로 서로 경쟁을 하면서 할 수 있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아서

축구나 배구를 할 경우에는 수비 쪽 보다도

공격을 맡아 적극성을 키워주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끝으로 당신 건강에 좋은 운동은 체력소모가 적고

단시간에 끝날 수 있는 역기, 아령, 철봉과 같은 상체 운동과

적극적이고 투쟁정신을 키워줄 수 있는 태권도, 복싱, 검도와 같은 것입니다.

 

 

 

소음인에게 해로운 식품 ;

보리, , 흰 밀가루, 메밀, 수수, 검은콩, 녹두,율무, 땅콩, 검은깨 들깨, 흰 설탕, 흰 소금,

배추,양배 추,케일, 유색상추, 미나리, 셀러리,도라지,더덕,당근,오이,참외수박,멜론,

 

돼지고기,조개,새우게,,오징어,낙지,갈치, 고등어, 청어,

,곶감,포도,,,은행배,바나나,영지,결명자,구기자, 오미자,

비타민E, 찬음식, 얼음,

 

 

 

소음인에게 이로운 식품 ;

,현미,찹쌀,차조,통밀가루,흰콩,옥수수,감자,고구마, 황설탕, 천일염, 푸른 상추,

시금치,,양파,생강,마늘,고추,후추,카레,참기름,무연근,미역,,다시마,파래,가지,호박,

 

닭고기,개고기,쇠고기,양고기,염소고기,보통생선,

사과,,오렌지,토마토,복숭아,대추,인삼,녹용,,구연산,

비타민B.C, 소주,우엉

 

 

             
 
             
 
             
정인 편인 편인 정인





辛司令


 

 

 

 

위 남자의 기질은 내향 세밀형이며 예민하고 깐깐한 성격으로 두뇌가 명석한 반면

게으른 편이며 용두사미격으로 시작은 좋으나 뒷심이 부족해 마무리가 약합니다.

 

 

 

 

창의성과 임기응변이 뛰어나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으며 다양한 지식

습득과 활용능력의 장점이 있으며 마음속에 칼날을 세우는 무서운 면도 있습니다.

 

 

 

 

 

예의 바르고 강한 개성의 소유자로 체면과 명분을 중시하며 인자하고 자상합니다

자존심이 지나치면 자만이 되므로 항상 겸손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한 분야에 몰입해 전문적 실력을 갖추는 형으로 자기만족감을 아주 중요시합니다

직관력,추리력이 우수하고,순발력 있는 문제 해결능력을 갖춘 자기만족형입니다

 

 

 

 

 

계열별 학과적성은 문과적성과 예체능 적성이며 국어 영어 사회 과목이 강한 반면

수학 과학이 취약하며 대학 진학은 인문 어문 계열이나 예체능 계열이 적합합니다.

 

 

 

 

직업 선택시 직장형 사업형 자유형 중에서 자유형이 맞고 리더형 참모형 전문가형

중에서 전문가형이므로 자유 전문가형에 맞는 전문적인 노하우 계발이 필요합니다.

 

 

 

 

 

강점은 정신적인 사고 인식지능과 자존 경쟁지능이 강한 반면에 설계 평가지능은

약한 편이며 이밖에 연구 표현지능,설계 평가지능,도덕 행동지능은 평균치입니다.

 

 

 

 

사고와 인식지능이 강하므로 교육자 문학가 스타일이며,자존 경쟁지능이 강하므로

운동가 모험가 스타일인 반면,수리 능력이 요구되는 경제분야 사업성은 약합니다

 

 

 

 

 

문학과 예술 분야와 관련 자신만의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키우고 새롭고 기발한

아이디어 개발업무에 적합하지만 현실성이 부족하고 논리적 계산 능력이 약합니다.

 

 

 

 

특목고나 자사고 보다 일반고가 맞으며 문이과 적성은 문과이며 대학 학과 선택은

문예창작과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육학과 국문학과 민속학과 심리학과 적성입니다

 

 

 

 

 

대학졸업후의 직업 선택은 수직적인 구조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전문직에 적합하며

독자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가 맞습니다

 

 

 

 

사업성이 약하고 일반 직장에서 오래 못 버티므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프리랜서,

컨설턴트,중개업,강사,예술가 직업이 적합하며 독자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학문적 이론 정립과 활용을 담담하는 연구직, 학자, 상담가 등 지식체계의 새로운

창출능력이 강하며 확실한 아이템이 있다면 새로운 패러다임에 도전도 가능합니다

 

 

 

학술적인 전문지식과 자격증을 취득해 전문화된 능력을 발휘하는 자신만의 기술을

축적하면 소득은 창출되며 임대업 수익이나 문화사업 구조가 소득창출에 좋습니다

 

 

 

 

건강은 위장과 소화기관이 약하므로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며 폐 기관지

계통이 약해서 금연은 필수이며,고지혈증 등 혈관질환이 예상되니 관리해야 합니다

 

 

 

옷이나 소지품은 청색 적색계통이 운기를 강화시켜주며,비밀번호 전화번호 등에는

행운의 숫자인 2,7,3,8을 권장하며,바위산 등산보다 숲길 산책이 건강에 좋습니다

 

 

 

 

용신은 화(火)이며 희신은 목(木)과 조토(燥土)에 해당하는 무술미토(戊戌未土)이며

기신은 수(水)고,구신은 금(金)과 습토(濕土)에 해당하는 진축기토(辰丑己土)입니다

 

 

대운의 흐름이 희신인 인묘진과 용신인 사오미로 흐르고 있어 말년운까지 좋습니다

희신에 해당하는 배우자복과 자녀운까지 금상첨화인 동량지재의 큰 재목감입니다

 

 

 

진정한 카운셀러의 자세는 상담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확히 제시하는 것이며

희망을 갖고 보다 진취적인 마인드로 살아갈 수 있도록 용기를 심어줘야 합니다.

 

 

 

 

自命者 得道者 他命者 解道者

스스로 삶에 이치를 깨달은 자만이 타인의 명을 올바로 풀 수 있다.


知道者不惑 知命者不憂

갈 길을 아는 자는 헤매지 않고 자신의 운명을 아는 자는 근심하지 않는다

 

 

 

 

 

 

 

 

 

 

 

 

 

심산멘토의 유명인 진로 90% 적중 사례

 

심산 진로컨설팅 심산멘토가 천부경,주역,명리학,진로예측학을 바탕으로 국민들의 관심사인 사회 지도층 및 유명인 진로 대해 심산 진로컨설팅 카페와 블로그의 심산칼럼란에 진로를 예측해서 적중한 사례이다.

 

 

 

1.이완구 국무총리 퇴진 적중(4월 15일 예측/4월 21일 사의 표명)

 

2.황교안 국무총리 임명안 국회통과 적중(6월10일 예측/6월18일 임명)

 

3.유승민 새누리당 대표 퇴진 날짜 적중(6월 30일 예측/7월 8일 퇴진)

 

4.롯데그룹 위기설 적중(6월 17일 예측/8월 1일부터 형제난 진행중)

 

5. 롯데 신동빈 회장 주주총회 승리 적중(8월 6일 예측/8월 17일 적중)

 

6.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퇴 적중(1월17일 예측/1월27일 적중)

 

7.4.13일 국회의원 총선 여소야대 적중(3월 30일 예측/4월 13일 적중)

 

8.미국 대선 트럼프 대통령 당선 적중(10월 11일 예측/11월 8일 적중)

 

9.박근혜 대통령 탄핵 통과 적중(11월 14일 예측/12월 9일 적중)

 

10.이재용 삼성 부회장 구속 적중(2월 14일 예측/ 2월 17일 적중)

 

11.특검 수사 기간 연장 불승인 적중(2월26일 예측/2월 27일 적중)

 

12.박근혜 대통령 탄핵 인용 예측 적중(2월 20일 예측/3월 10일 적중)

 

13.박 전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적중(3월 27일 예측/3월 31일 적중)

 

14.이낙연 국무총리 임명안 통과 적중(5월 29일 예측/5월 31일 적중)

 

15.이재용 부회장 특검 구형량 10년~15년 예측 적중(12년 구형 적중)

 

16.8월 남북 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8월 13일 예측/8월 31일 적중)

 

17. 이재용 징역 4년~6년 선고 예측 적중(8월 17일 예측/25일 적중)

 

18.한국 축구 9회 연속 월드컵 진출 적중(9월 5일 예측/9월 6일 적중)

 

19.김명수 대법원장 임명안 통과 예측 적중(9월 20일 예측/21일 적중)

 

 

20.기아 타이거즈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우승(10월 3일 예측/30일 적중)

 

21.바른정당 원내 교섭 단체 실패 적중(10월 3일 예측/11월 6일 적중)

 

 

22.최순실 특검 구형량 징역 25년 적중(12월 12일 예측/14일 적중)

 

 

23.우병우 구속영장 발부 적중(11월 18일 예측/12월 15일 적중)

 

 

24.홍준표 대표 대법원 무죄 판결 적중(12월 21일 예측/22일 적중)

 

25.이명박 검찰 소환 수사 예측 적중(11월 9일 예측/3월 14일 적중)

 

 

26.정현 선수 테니스 4강 진출 예측 적중(1월 23일 예측/24일 적중)

 

27.정현 선수 테니스 결승 진출 실패 적중(1월 24일 예측/26일 적중)

 

28.이재용 항소심 집행유예 석방 예측 적중(2월 4일 예측/5일 적중)

 

29.최순실 징역 20년 1심 선고 예측 적중(2월 12일 예측/13일 적중)

 

30.박근혜 전 대통령 징역 30년 특검 구형 적중(2월 27일 예측 적중)

 

31.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적중(11월 9일 예측/ 3월 22일 적중)

 

32.박근혜 전 대통령 징역 24년 선고 적중(4월 2일 예측/6일 적중)

 

33.김기식 금융감독원장 사퇴 예측 적중(4월 12일 예측/16일 적중)

 

34.6.13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더불어민주당(13~14곳) 자유한국당 (2~3곳) 무소속(1곳) 당선 예측 적중(6월 7일 예측/13일 적중)

 

35.김경수 경남도지사 당선 예측 적중(4월 23일 예측/6월 13일 적중)

 

36.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사퇴 예측 적중(6월 7일 예측/14일 적중)

 

37.한국 대 스웨덴 축구 경기 결과 예측 적중(6월 16일 예측/18일 적중)

 

38.월드컵 한국 축구 16강 진출 실패 적중(5월 23일 예측/28일 적중)

 

39.최저 임금제 시급 7530원 실패 적중(3월 30일 예측/7월 12일 적중)

 

40.러시아 월드컵 프랑스 우승 예측 적중(7월 8일 예측/7월 16일 적중)

 

41.김경수 지사 구속영장 신청 예측 적중(8월 8일 예측/8월 15일 적중)

 

42.김경수 지사 구속영장 기각 예측 적중(8월 8일 예측/8월 18일 적중)

 

43.이해찬 민주당 당대표 당선 예측 적중(7월 29일 예측/8월 25일 적중

 

44.아시안게임 축구 한국 우승 예측 적중(8월 30일 예측/9월 1일 적중)

 

45.이명박 전 대통령 징역 15년 적중(10월 4일 예측/10월 5일 적중)

 

46.한화 이글스 가을야구 진출 예측 적중(6월 23일 예측/9월28일 적중)

 

47.양진호 회장 구속영장 발부 예측 적중(11월 9일 예측/ 9일 적중)

 

48.김정은 연내 서울 답방 불가능 예측 적중(12월 4일 예측/31일 적중)

 

49.양승태 전 대법원장 사법처리 적중(10월 3일 예측/1월 24일 적중)

 

50.김경수 징역 2년 선고 예측 적중(12월 28일 예측/1월 30일 적중)

 

51.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당선 예측 적중(2월 7일 예측/27일 적중)

 

52.정의당 여영국 자유한국당 정점식 당선(3월 29일 예측/4월3일 적중)

 

53.김경수 도지사 보석 석방 예측 적중(3월 9일 예측/4월 17일 적중)

 

54.U-20 축구 대한민국 결승 진출 적중(6월 9일 예측/6월 12일 적중)

 

 

55.U-20 축구 우크라이나 우승 한국 준우승(6월 15일 예측/16일 적중)

 

56.문무일 검찰총장 2년 임기 만료 퇴진 예측 적중

(2017년 11월 20일 예측/2019년 7월 24일 적중)

 

57.조국 법무부 장관 사퇴 예측 적중

 

(2019년 9월 10일 예측/10월 14일 사퇴 적중)

 

58.북한 김정은 회복후 복귀 예측 적중

(2020년 4월 21일 예측/5월 2일 적중)

 

59.이재명 지사 대법원 무죄 판결 적중(2020년 7월 16일 예측 적중)

 

60.이만희 사법 처리 예측 적중(2020년 2월 29일 예측/8월 1일 적중)

 

 

 

심산 원장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전공

○고려대학원 사회교육 최고경영자 과정

MBC TV 뉴스투데이 진로 컨설팅 방영

○30년간 학생 3만여명 입시진로 컨설팅

○30년간 성인 2만여명 사주진로 컨설팅

○명문대 & 특목고 합격생 3,000명 배출

○한국 선천적성평가원 재능분석 상담사

○정법강의 9년간 10,000강 내공 멘토링

○중고등학교,대학교,관공서,방송 강연

○新패러다임 명리학 & 진로적성학 교수

○천부경,황제내경,우주변화의 원리 연구

○자평진전,적천수,궁통보감 관법 집대성

○가드너 다중지능,홀랜드 직업탐색 연구

○진로 맞춤형 출산 택일 국내 최고 권위자

○백민 역학연구회 진로 적성 특강 교수

○대치동 & 군포 심산 국어 논술 학원장

○군포 심산 입시 진로 오행 컨설팅 대표

○널리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진정한 멘토

 

 

 

 

 

 

 

 

 

 

심산 진로 컨설팅 카페 http://cafe.daum.net/YOUTWO

 

 

학생 입시 진로 & 성인 사주 진로 상담료

학생/성인

컨설팅명

상담료(1명당)

1.초중고등학생

입시 & 진로 적성 컨설팅

 

100,000원(전화) 150,000(방문)

2.고3 & 재수생

수시 정시 & 진로 컨설팅

200,000원(전화) 300,000(방문)

 

3.성인 & 대학생

사주 & 진로 종합 컨설팅

 

100,000원(전화) 150,000(방문)

4.개인 & 그룹

명리적성학 오프라인 현장강의

1개월분(25만원) 3개월분(60만원,20% 할인)

5.개인 & 그룹

명리적성학 온라인 동영상강의

초급과정 중급과정 고급과정 진로적성 전 과정

30주년 기념으로 지금 등록시 수강료 50% 할인

6.택일 & 작명

출산 택일+사주 진로+작명

500,000(택일+사주) 700,000원(택일+사주+작명)

7.개인 & 법인

작명 개명 아호 상호 컨설팅

300,000원(작명) 500,000원(상호)

 

 

 

상담 신청 방법

1.신상 정보

학생은 한글 이름 생년월일시(양력/음력,남녀 구분),성적,장래희망,

거주 지역,상담 방법(전화/방문) 등을 문자나 메일로 알려주세요.

 

 

성인은 한글 이름 생년월일시(양력/음력,남녀 구분),직업,거주지역

현재 상황이나 궁금한 사항 등을 문자나 메일로 알려주시면 됩니다

메일 주소☞ bbss7202@naver.com

2.상담 신청

심산 원장 ☎ 010 6382 7206

3.입금 계좌

국민은행 639002 01 200896 이민호

4.예약 방법

신상 정보를 문자나 메일로 알려주시고 상담료를 입금하시면

예약이 완료되며 상담 일시는 예약이 완료된 후 알려드립니다

 

자녀들을 함께 신청하는 것이 좋으며 가족을 모두 신청하시면

부모님의 사주 진로 상담료에 한해서 50%를 할인해 드립니다

5. 상담 방법

전화와 방문 컨설팅 중에 선택하시면 됩니다

상담 방법 선호도 ☞ 전화(70%) 방문(30%)

6. 대기 기간

예약 대기자가 20~30명인 관계로 입금 예약후 대기 기간

전화 상담(당일~2일) 방문 상담(3~10일) 작명(5~7일)

7.주소/교통

경기도 군포시 당동 904-5 그린프라자 4층

군포초등학교 건너 편 육교 바로 옆 건물

도로명 주소☞군포시 고산로 264번길 13

 

○금정역 4번 출구 승차 군포 초등학교앞 하차(5분 소요)

(초록색 시내버스 5624번 또는 5531번 탑승)

 

○당정역(1호선) 3번 출구 승차 군포 초교 하차(5분 소요)

(노란색 마을버스 3번 탑승/당정역에서 도보로 10분)

 

※자가용 이용시 건물 뒷편 그린프라자 지하 주차장 무료.

중화 요리집과 굽네 치킨집 바로 옆이 지하 주차장 입구.

 

※ 본 건물 5층에 새론 정형외과,4층에 가우스 수학학원,

1층에 연두약국,두두림 커피숍 간판이 있는 건물 4층 좌측

심산 입시 진로 오행 컨설팅


 

 

 

 

심산 진로 컨설팅 카페 http://cafe.daum.net/YOUTWO